DOI QR코드

DOI QR Code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nd Suggestion of Design Criteria at Curve Sections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준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부) ;
  • 이정환 (광주광역시청 교통정책연구실) ;
  • 이석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부)
  • 투고 : 2009.03.20
  • 심사 : 2009.10.21
  • 발행 : 2009.11.30

초록

도로의 곡선구간에서 운전자가 주행시 느끼는 인지곡선반경은 실제곡선반경과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시각왜곡현상이라 한다. 시각왜곡현상은 운전자에게 시각변화를 일으켜 운행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한 운행속도의 변화는 각운전자들의 인지정도 차이에 따라 운행속도의 편차에 영향을 주어 곡선부 주행안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까지 곡선부의 사고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시각왜곡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산정하거나,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해 도로 곡선부 설계시 이용될 설계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곡선부의 시각왜곡현상을 경험적 실험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왜곡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하였고, 곡선부 시각왜곡도를 고려한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활용하여 인지곡선반경을 종속변수로 하고, 기하구조를 독립변수로 하는 곡선부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둘째, 도로의 유형별로 인지곡선반경에 대한 실제곡선반경의 비율을 계산하여 곡선부 시각왜곡도를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곡선부 시각왜곡도 영향인자를 분석하여 이를 고려한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Driver's perceived curve radius is different from actual curve radius at curve sections. This is called visual distortion. It has effect on operation speed according to driver's perception and finally bad effect on safety at curve sections. At present,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quantitatively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nd no criteria for curve section design considering the visual distor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finding degree of visual distortion and suggesting design criteria by visual distortion analysi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 calculaiton model of perceived curve radius was developed by survey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this model, a dependent variable is perceived curve radius and an independent variable is geometric factors. Second, degree of visual distortion was calculated from ratio of perceived curve radius to actual curve radius. Finally, design criteria were suggested through influencing factor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t curve se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설계편람.
  3. 김용석, 조원범, 정소영(2005) 도로 설계일관성 평가를 위한 복합선형 구간 주행속도조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2-094.
  4. 김홍삼, 금기정, 김명수, 박영진(2002)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국도 곡선부에서의 운전자 시각 형태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3호.
  5. 박제진, 이상하, 박광원, 하태준(2008) 설계일관성을 고려한 도로곡선반경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10권 제2호.
  6. 오동성(2001) 운전자 행태도출을 위한 신호교차로 황색신호 시 인지반응시간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7. 이은경(2000) 고속도로 IC 램프 유출구간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8. 정봉조(2002) 운전자 작업부하를 고려한 최장 허용 직선길이 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2호.
  9. Earl Babbie (2002) 사회조사방법론(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그린출판사.
  10. Fitzpatrick, K., Krammes, R. A., and Fambro, D. B. (1997) Design Speed, Operating Speed, and Posted Speed Relationship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Journal, ITE, Vol. 67, No. 2, pp. 52-59.
  11. Hassan, Y., Easa, S. M. et al. (1998) State of the art of three-dimensional highway geometric desig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2. Hassan, Y., Easa, S. M., and Abd El Halim, A. O. (1997) Design considerations for combined highway align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3, No. 1.
  13. Hirsh, M. (1987) Probabilistic approach to consistency in geometric design,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13, No. 3.
  14. Lidia Zakowska (1997) The Effect of Road Visualization Method on Drivers's Road View Perception, Cracow University of Technology.
  15. Messer, C. J. (1979) Highway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Related to Driver Expectancy (Vol II), FHWA-RD-79-35.
  16. Messer, C. J. (1981) Methodology for evaluation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TRR 757.
  17. Smith, B. L. and Lamm, R. (1994) Coord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alinement with regard to highway esthetic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TRR 681.
  18. Taiganidis, I. and Kanellaidis, G. (1999) Approximate perspective design of road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9. Veit Appelt (2000) Sichtbare Radien als ein Kriterium zur Beurteilung der Raumlichen Linienfuhrung von einbahnigen Auberortsstraben, Head of Roads Department,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