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의학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경찰관들의 뇌혈관 질환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n Cerebrovascular Disease of Korean Police Officers)

  • 전우진;조재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93-29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요인별 뇌혈관 질환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경찰관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국립경찰병원을 방문한 경찰관을 대상으로 뇌혈관 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의학과 검사 중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한 경찰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나이가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 보다 2.63배 뇌혈관 질환이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 있는 사람의 경우는 고혈압이 없는 사람 보다 1.63배 뇌혈관 질환이 높게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는 없는 경우 보다 1.95배 높았다. 이외에 음주를 하는 사람이 안 하는 사람 보다 0.54배 뇌혈관 질환이 높게 나타났으며 Homocysteine 수치에서는 비정상인 사람이 정상인 보다 0.32배 뇌혈관 질환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적 요꼬가와흡충증에서의 특이 IgG 항체 반응 (Specific IgG antibody responses in experimental cat metagonimiasis)

  • 조승열;김석일;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49-153
    • /
    • 1987
  • 요꼬가와홉충을 고양이 등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키면 그 기생부위인 소장의 점막에는 융모의 위축, 융합 등의 병적 변화가 일정기 간 나타나며 점막기 질(stroma)에는 심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일어난다. 이상의 병리학적 소견을 기초로 생각할 때 요꼬가와흡충 감염 경과중 특이 항체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요꼬가와흡충의 피낭유충을 10,000개 및 80,000개씩 감염시킨 고양이 25마리에서의 혈청내 특이 IgG 항체가를 면역효소측정법 으로 조사하였다. 자연감염된 은어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실험감염 개의 소장에서 4주일후 분리한 성충의 생리식염수 추출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감염된 충체의 수를 부검때에 세어 실제 감염략으로 하였다. 특이 IgG 항체가는 대조군 혈청에 비하여 감염 7일째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후 2∼4주일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그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이 IgG항체는 피낭유충 항원보다는 성충 항원에 대하여 더 높게 반응하였다. 그리고 감염충체수가 적은 고양이의 혈청내 IgG 항체가는 같은 감염기간의 대 량감염 고양이에 비하여 음았다.

  • PDF

암 환자의 FoMO(Fear of Missing Out)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FoMO (Fear of Missing Out) in cancer patients)

  • 김미애;이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29-5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FoMO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암 환자에서의 FoMO 개념을 통해 암 환자의 FoMO에 대한 중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Walker & Avant(2010)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개념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국내외 선행연구 중 최종 82편을 분석하였다. 개념속성은 상대적 박탈감, 사회적 배제, 소속감의 결핍, 타인과 상호작용의 부재, 부정적인 감정이었으며, 선행요인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소외감, 타인과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욕구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정신적 고통이 증가하고, 우울, 불안 등 부정 정서가 촉발되며, 삶의 만족감과 자존감이 저하된다. 암 환자에서도 이러한 FoMO의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암 환자의 FoMO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파민이 적용된 히알루론산 가교 하이드로겔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Dopamine-Modified Hydrogels Contain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 유근창;황정희;이철우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3-521
    • /
    • 2018
  • 목적 : 이 연구에서는 도파민이 적용된 히알루론산 가교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먼저 히알루론산과 p(HEMA)로 구성된 상호침투고분자구조로 후처리 한 p(HEMA) 기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아마이드 결합반응을 통해 도파민이 적용된 항산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평가는 ABTS 와 DDPH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유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히알루론산의 가교는 하이드로겔 표면의 습윤성을 개선시킨 반면에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높은 광투율을 나타내었다. (>88%) 결론 : 도파민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의 가교에 기초한 항산화 하이드로겔의 개발이 안의료 및 생물의학 재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구직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Conduct and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박주영;김훈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9-98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department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D colleg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1, 2018 to July 30, 201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ere 3.61 (${\pm}0.59$), 3.58 (${\pm}0.61$) and 3.31 (${\pm}0.66$) respectively.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scor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t=-2.13, p=.03) and grade point average (F=15.01, p=.00). The job searching efficacy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point average (F=3.40, p=.0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reparation behaviors amo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ge, grade and grade point aver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job searching efficacy (r=.675, p<.01), betwee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55, p<.01),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702, p<.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t is necessary to repeat this study with a greater number and range of subject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progress of study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ed and refin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the application of a curriculum to promot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job searching efficacy should be a priority.

내과계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번들 적용의 효과 (Impact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 유송이;정재심;최상호;김미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4호
    • /
    • pp.205-21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ompliance of the application of a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and understand its effects on the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history control group design. Subjects were selected from January to June 2014, prior to the intervention using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Subjects were also sele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3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2 before the intervention, and 107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number of nurses who followed the bundles increased from 8 out of 29 (27.6%) before the intervention to 19 out of 29 (65.5%) after the intervention (odd ratio= 4.99, confidence interval= 1.63-15.25, p= .004). There were 3 case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efore the intervention and 1 case after the intervention. The ventilator days were 2,143 day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2,232 days after the intervention.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ate of the 1,000 ventilator days was 1.40 before the intervention and decreased to 0.45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질병 코딩 불일치성 분석 : 외래환자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Disagreement in Disease Coding in South Korean Medical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Health Insurance Claim Data of Outpatients)

  • 전윤희;강길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33-540
    • /
    • 2018
  • 이 연구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하여 동일 환자의 동일 질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의료기관이 부여하는 질병 코딩의 불일치성을 분석하여 국가 보건 통계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년 전체 환자 데이터셋(HIRA-NPS)에서 9,976,826건의 진료비 명세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의 이동 경로에 따라서 질병 코딩 불일치의 차이가 존재 하였고 불일치율은 보건기관 이외의 타 의료기관에서 보건기관으로 이동하였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고, 상급종합병원 간 이동하였을 때는 불일치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본 연구의 의료기관 간 질병 코딩 불일치 현황 분석은 국내 의료기관에서 일관성 있는 질병 코딩이 이루어지기 위한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복부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지방간과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 연구 (The Study for the Relation between Fatty Liver Di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yperlipidemia)

  • 이가희;석종민;전우진;고은주;이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1-537
    • /
    • 2019
  • 본 연구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된 지방간 환자의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총 41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부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여 지방간이 확인된 환자 중 초음파 검사 시행일 기준 3개월 이내의 혈액학적 데이터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수치는 중성지방, AST, AL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지방간은 전체 변수 중 성별, 중성지방, AST, ALT와 관련성이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지방간 정도는 고지혈증의 혈액학적 수치와 직접적인 영향인자는 아니었지만 그 관련성 확인을 통해 지방간과 고지혈증 동반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당뇨병 유병률 및 관리 실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추세: 2007-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Trends in socio-economic inequalities on diabetes prevalence and management status in Korea, 2007-2017)

  • 신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37-3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07년-2017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수준별 당뇨 유병률 격차의 추세 및 당뇨 관리실태 격차의 추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의 지표로는 가구소득수준을 이용하였으며,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가구소득수준별 당뇨병 연령표준화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 혈당조절률을 산출하고 연도별 추세 및 조사연도와 소득수준간의 교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지난 11년간, 우리나라에서 소득수준별 당뇨 유병의 격차는 남녀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는 소득수준별 격차가 증가하였다 (p for interaction=0.034). 그러나 당뇨의 관리지표인 인지율, 치료율, 혈당조절률은 같은 기간 동안 뚜렷한 소득수준별 격차나 소득수준별 격차의 증감을 보여주지 않았다. 향후 개인의 건강행태, 의료접근성, 지역사회 자원 등 당뇨의 사회경제적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생애 전주기적인 심층 연구가 필요하며, 당뇨병 예방관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사회경제적 불평등 추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근육자극 훈련이 복부비만 중년 여성의 복부지방, 체간 근 두께와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raining on Abdominal Fat, Trunk Muscle Thickness and Activity in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 유승아;유기웅;임창하;김창용;김형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3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w frequenc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training on abdominal obesity in middle-aged women through electromyography and ultrasound. METHODS: Twenty-two middle 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 low-frequency NMES device was used on the abdomen and waist of each subject for 20 minutes each (a total of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waist-hip ratio (WHR), weight and BMI (Body Mass Index) were measured. Electromyography (EMG) and ultrasou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ree times in total (pre-intervention, four weeks into the intervention, and eight weeks post-interven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frequency NMES on the abdominal muscle activity, muscle thickness, and subcutaneous fa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difference in the WHR and waist circumferen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5). The external oblique muscle (E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uscle activity during all measurements taken post-intervention (p<.05).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each measurement (p<.05).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values taken eight weeks post-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taken pre-intervention and four weeks into th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low-frequency NMES device training can be applied to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to improve their body shape and exercis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