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연구 수준

Search Result 3,86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Level Estimation of Key Competencies in Automobile Production Management Fields (자동차 생산 관리 분야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평가 연구)

  • Park, Sung-Jong;Park, Myoung-Ho;Han, Myoung-Seo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2 no.2
    • /
    • pp.155-17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levels in order to understand person's ability in automobile fields of school and workplace. For this study, key competencies consisting of mathematical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communications skills, self management and development skills, resources recycling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echnological skills, information skills,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skills were determined. We examined the related literature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diverse opinions were accommodated with visits to workplace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estimation of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levels was possible and valid.

van Hiele의 이론에 의한 국민학교 기하도형 학습의 분석연구

  • 서성보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2
    • /
    • pp.141-202
    • /
    • 1995
  • van Hiele의 사고수준 이론에는 기초수존, 제1수준, 제2수준, 제3수준, 제4수준 등 5가지가 있고, 이 중에서 국민학교에 해당되는 것은 기초수준 (1학년), 제1수준(2, 3학년), 제2주순 (4, 5, 6학년) 등 세 가지 뿐이다. 그리고 기하학적의 구조 인식론에는 관제, 구성, 정의, 공리, 정리, 증명, 척도, 자호, 응용 등 9가지 단계가 있고, 이 9가지 단계를 기초수준, 제 1수준, 제 2수준의 각 수준에 대응시켜서 거기에 해당되는 기하도형 학습을 연구·분석하였다. 기하도형에 관한 학습은 주로 경험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기문제를 제시하여 그 흐름을 해결함으로써 각 수준의 각 단계들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특히 여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기하학의 구조 인식론이라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9가지 단계를 차례로 거쳐 가야만 아동들은 도형을 올바르게 빠짐없이 인식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의 특징을 예를 하나 들어서 설명해 보면, 흔히들 정의를 단순히 무정의어와 정의어로 구분하고 있는데 반하여, 이 이론에서는 서로 역동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기초정의, 상황정의, 포괄정의, 기본정의, 부수정의, 특수정의 등으로 나누었다는 점이다.

  • PDF

Analysis of the Computer Proficiency of the College Freshmen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기초소양 비교 분석)

  • Kim, Jong-S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61-266
    • /
    • 2007
  • 제7차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많은 논란과 개선방안이 제기되어 왔지만 경험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성취수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에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행했던 컴퓨터 소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5년도와 2006년도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차별로 컴퓨터 소양과 활용수준 그리고 양 집단간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도에 개발된 설문지 사용하여 각 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다섯가지의 영역에서 영역간의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통신, 기초기능 그리고 정보윤리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반면에 기초지식과 소프트웨어 활용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연차별 수준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컴퓨터통신과 정보윤리 영역에서 미미하나마 2005년도에 비하여 평균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세 개의 소프트웨어 활용과 기초지식 및 기초기능 영역에서는 각각의 평균이 0.05 이하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소양교육을 위한 두 집단간의 연차별 선수 지식의 수준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Teaching Method of Basic Mathematics for the Matriculants by Ability Grouping (대학 입학예정자를 위한 기초수학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 Kim, Hee-Jin;Seo, Jong-Jin;Pyo, Y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4 no.3
    • /
    • pp.339-35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improvement for managing the special lecture of basic mathematics which is grouped by the level of low achievement students who are matriculants. From the result, we want to know how the lecture with teaching method of differentiated learning affect on the students, especially who have under achievement, to be interested and confidential in mathematics.

  • PDF

기초과학수준을 높이는 길

  • Jo, B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8 s.315
    • /
    • pp.10-11
    • /
    • 1995
  • 기초과학 바탕없이 핵심기술 집중투자만으로 과학한국을 기대할수 있는가 기초과학수준을 높이기 위해선 장기안목의 투자, 교수2배증원, 연구기기는 연구인에게 지원, 우수한 대학원생 확보등 4대 현안을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한다.

  • PD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level and educatkonal needs analysi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 Hahm, Seung-Ye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4 no.1
    • /
    • pp.196-20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about the time completed a course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 survey of 807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 were made of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ts priorities of actual vocation and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major. Major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3.3 average(5 full marks).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that educational needs were high respectively, were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 ability to design a system, component, or process to meet desired needs, an ability to function on multi-disciplinary teams, an ability to understand global culture and cooperate internationally, an ability to design and conduct experiment as well as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and an ability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A Study on the Basic Mathematical Competency Levels of Freshmen Students in Radiology Department (방사선과 신입생의 기초 수리능력 수준에 대한 연구)

  • Jang, Hyon Chol;Cho, Pyong K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2
    • /
    • pp.121-127
    • /
    • 2020
  •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creasingly demanding mathematical competencies for virtual reality (VR),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lik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basic mathematical competency levels of university freshman students in radiology depart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thereon. For this,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for the domain of mathematics was conducted from June 17, 2019 to June 28, 2019 among 78 freshman students of radiology department at S university and D university. As a result, the university students' overall basic mathematical competency levels were diagnosed to be excellent. However, their levels in the sectors of the geometry and vector and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were diagnosed to be moderate, with the mean scores of 2.61 points and 2.64 points, respectively, which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sections. As for basic mathematical competency levels according to genders, the levels of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ere diagnosed to be excellent, with the mean scores of 17.48 points and 16.29 points,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Given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regional restriction, there might be som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o all university freshman students and all department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programs such as student level-based special lectures for enhancing basic mathematical competencies relating to major in order to improve the basic mathematical competencies of freshman students in radiology departmen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udents' mathematical competencies by offering major math courses in the curriculum and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matching students' levels.

An Analysi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in Geography Based on NAEP in the United States (NAEP 문항 반응에 기초한 미국 학생들의 지리 성취수준 분석)

  • Park, Sun-M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5
    • /
    • pp.474-487
    • /
    • 2005
  • This paper aim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required to describe the level of achievement by analyzing students' item response in NAEP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in 2001. The geography assessment in the NAEP is aimed to test students of 4th, 8th, and 12th grades, and consists of content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The former includes 'space and place' 'environment and society' and 'spatial dynamics and connections,' and the latter includes 'knowing'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level of achievement is defined as three levels for each grade: Basic, Proficient, and Advanced. In this paper, descriptions of achievement is derived inductively from an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items which were selected by using item-mapping method. As a resul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achievement derived empirically from students' respons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designed principally suggested by the expert committee. The former could hav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in geography curriculum.

  • PDF

A Study on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for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 Jeong, Ha-Jeong;Han, Seung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7 no.1
    • /
    • pp.31-4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pectation level and perception level of service quality in 25 records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based in Seoul. For this, an evaluation index consisting of 5 factors and 31 items i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us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cords cen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as the expecta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perception level,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can be substantial in attempt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cords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and in proposing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process quality.

40 Years of Korea's Basic Research: a Comprehensive Evaluation & Future Challenges (한국의 기초연구 40년, 합리적 진단과 발전과제)

  • Park, Kwisun;Kim, Haedo;Jang, K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81-1603
    • /
    • 2017
  • 한국의 기초연구는 1977년 한국과학재단(현(現) 한국연구재단) 설립을 시작으로 1989년 기초과학진흥 원년 선포, 기초과학진흥법 제정을 통해 정부의 과감한 연구비 투자와 과학기술 인력양성 등에 힘입어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정부 R&D 투자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연구자의 낮은 정부 기초연구비 수혜 체감율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기초연구의 정의와 역할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그간의 투자와 성과 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합리적 진단을 통해 미래를 위한 발전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기초연구투자 현황과 수준 등을 분석하여 우리의 기초연구가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여섯 가지 핵심이슈별 진단을 내리고자 하였다. 핵심이슈는 대학에 대한 기초연구 투자 규모, 교수 1인당 적정 지원 규모, 기초연구비 지원 방식, 연구과제 선정률의 적정선 유지, 우수 연구자의 체계적 지원, 연구몰입환경 조성이다. 다각적 분석과 진단을 기반으로 기초연구의 지속적 혁신을 위한 다섯 가지 발전과제를 제안하였다. 발전과제는 대학연구비 증액, 기초연구 펀딩방식 다양화, 연구분야별 연구지원체계 구축 및 예측 가능한 원칙 수립, 우수연구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충분한 지원, 연구행정 부담 완화이다. 정책적 제도적 발전과제 외에 기초연구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 사회 문화적 효과를 강조하기 보다는 창의적 도전적인 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 축적되는 고유의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가 창출될 수 있음을 우리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조성이 더불어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