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대사

Search Result 38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Predicted Basal Energy Expenditure in Female College Students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실측 휴식대사량과 예측 기초대사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Chang, Un-Jae;Lee, Kyeong-R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2
    • /
    • pp.196-201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validit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the calculation of basal energy expenditure (BEE). One hundred twent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was measured by indirect calorimetry for 30 minutes following an 12 hour overnight fasting. Among the available equations for predict BEE, Harris-Benedict, WHO/FAO/UNU and Cunningham methods were selected. Body composition was estimat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for the equation of predicted BEE. The mean of measured REE was 1257.2$\pm$147.9 kcal/day, while the predicted value by Harris-Benedict, WHO/FAO/UNU and Cunningham were 1373.3$\pm$45.4 kcal/day, 1290.0$\pm$61.7 kcal/day and 1187.6$\pm$49.2 kcal/day, respectively. The Cunningham equation was more closed to measured values than Harris-Benedict and WHO/FAO/UNU equation b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mpar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fat-free mass (FFM), body surface area (BSA) and body weight were higher than others such as height, body mass index (BMI), fat and fat%. The FFM'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e highest as 0.74. Thu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in determinant of BEE was FFM, and we derived a prediction equation as follows: BEE=-569.86+48.27 (FFM).

Studies of Basal Metabolism and Energy Expenditure of Koreans in Daily Life (한국인(韓國人)의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과 1일소비열량(日消費熱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Dong-J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 no.1
    • /
    • pp.49-62
    • /
    • 1971
  • 한국인(韓國人)의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과 1일소비열량(日消費熱量)을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Douglas씨(氏) ${\ulcorner}$${\lrcorner}$과 Scholander씨(氏) ${\ulcorner}$가스${\lrcorner}$ 분석기(分析器)를 사용(使用)하여 넓은 연령(年齡), 직종(職種), 활동(活動)의 영역(領域)에 긍(亘)하여 실험(實驗)을 행(行)하였다. 938 예(例)의 기초대사측정치(基礎代謝測定値)는 Boothby, Fleish, Robertson and Reid 등(等)의 표준치(標準値)와 근사(近似)하였다. 겨울에는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은 9.9%의 증가(增加)를 또한 수면중(睡眠中)의 대사량(代射量)은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의 약(約) 94%이었다. 또한 Sanborn Metabulator를 사용(使用)하여 1,000 명(名) 이상(以上)의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을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동작(動作) 활동중(活動中)의 소비열량(消費熱量)이 측정(測定)되었다. 하루의 전소비열량(全消費熱量)은 $3{\sim}7$일간(日間)에 긍(亘)하여 하루 24시간(時間)의 활동상황(活動狀況)을 분단위(分單位)로 기록(紀錄), 집계(集計)하고 이것과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 및 개별활동시(個別活動時)의 소비열량(消費熱量)을 참작(參酌), 계산(計算)하였다. 수면중(睡眠中)의 소비열량(消費熱量)은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에 준(準)하였는데 사무원(事務員), 교원(敎員), 의사(醫師), 약사(藥師), 점원(店員), 운전수(運轉手), 건축기사(建築技師), 설계사(設計師), 응원사(應園師), 목공(木工), ${\ulcorner}$펜기${\lrcorner}$ 공등(工等)의 1일소비열량(日消費熱量)은 FAO 한국협회책정(韓國協會策定)의 한국인(韓國人) ${\ulcorner}$칼로리${\lrcorner}$에 근사(近似)하였고 ${\ulcorner}$${\lrcorner}$, ${\ulcorner}$웨이터${\lrcorner}$, 농부(農夫), 사공(士工), 기계공(機械工), 석공(石工)은 중등정도(中等程度)의 노동(勞動)의 3,000 ${\ulcorner}$칼로리${\lrcorner}$나 또는 중(重)한 노동(勞動)의 3,900 ${\ulcorner}$칼로리${\lrcorner}$에, 가정주부(家政主婦), 하녀(下女), ${\ulcorner}$디자이너${\lrcorner}$는 여자(女子)의 중등정도(中等程度) 노동(勞動)의 2,200 ${\ulcorner}$칼로리${\lrcorner}$, 간호원(看護員), 청소부(淸掃婦), ${\ulcorner}$${\lrcorner}$ 방(房)바닥연마공(硏磨工)은 중(重)한 노동(勞動)의 2,800${\ulcorner}$칼로리${\lrcorner}$에 모심기 하는 날의 농부(農夫)는 격심(激甚)한 노동(勞動)의 4,100${\ulcorner}$칼로리${\lrcorner}$에 각각(各各) 가까웠다. 여자(女子)일지라도 포제용(鋪製用) 돌까기와 돌날르기는 남자(男子)의 중노동정도(重勞動程度)의 ${\ulcorner}$칼로리${\lrcorner}$를 소비(消費)하였다.

  • PDF

건강의 새로운 화두,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준들

  • Kim, In-Ju
    • The Monthly Diabetes
    • /
    • s.188
    • /
    • pp.8-10
    • /
    • 2005
  • 대사증후군이란 비만, 당대사이상, 고혈압 및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다양한 대사이상이 한 개인에게 중복되어 나타나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사증후군도 생활 습관병 중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을 막을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효육적인 방법으로는 적절한 운동과 식사요법이라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여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기초적인 건강수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DF

The Energy Expenditure of Female Farmers in Kyungki Area (경기일부지역 농촌주부의 농작업에너지 대사)

  • Kim, Hwa-Nim;Lee, Dong-Tae;Rhie, Seung-G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8 no.2
    • /
    • pp.189-19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10 persons of female farmers to determine the energy expenditure of agricultural work. Their mean age was 44 year-old, mean daily urinary nitrogen excretion was 11.3g, and creatinine excretion was 0.183g. The energy metabolism was determined by indirect calorimetry using Douglas bag and Scholander's gas analyzer. The measured basal metabolism was 1,273 kcal per day and rest metabolism was 1,614 kcal per day. To remove seedling from the seedplot, they spent 2.479kcal per minute, to weed 2.805kcal/min, and to reap with sickle 4.58kcal/min. Energy expenditure of the same work, only sitting on the stool, was significantly reduced. Prolonged work did not change energy expenditure per minute significantly.

  • PDF

Characterization of a Human Intestinal Bacterium, Enterococcus sp. GLY Capable of Converting Glycyrrhizin to Glycyrrhetic Acid (감초의 주성분인 glycyrrhizin을 대사하는 사람 장내세균의 특성 연구)

  • Shin, Min-Kyoung;Jin, Jong-Si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98-98
    • /
    • 2018
  • Glycyrrhizin은 감초의 주성분으로 많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감초를 복용하게 되면, 글리시리진은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장내세균에 의해 glycyrrhetic acid로 대사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사반응에 관여하고 있는 균주가 분리 후 자원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사람의 대변으로부터 glycyrrhizin을 대사하는 균주로 분리된 strain GLY의 16S rRNA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Enterococcus faecium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Enterococcus faecium GLY (Genebank No. MH048988)로 명명하였다. 대사활성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time course, 기질의 농도에 따른 대사활성의 변화, 근연 균주와 대사활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Time course 실험에서 GLY균주가 증식함에 따라 기질인 glycyrrhizin은 줄어들고, 대사산물인 glycyrrhetic acid는 새로 생성되었다. 또한, 기질의 농도에 따른 대사활성의 차이 검토를 위해 여러 농도를 처리하여 배양하였을 때, 1.0mM을 처리한 샘플에서 최대값의 대사물 농도를 보였다. Enterococcus faecium와의 근연균주를 이용하여 glycyrrhizin 대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ain GLY 균주가 가장 큰 대사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glycyrrhizin 생체이용 및 대사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며, 장내세균에 의한 생약성분의 대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신물질의 간 독성평가 방법 개발 및 기작에 대한 연구

  • 차영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17-317
    • /
    • 1994
  • 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성 물질들 (이하 약물로 칭함)은 세포내에서 일련의 대사과정을 받아 수용성으로 전환되어 체외로 배설된다. 생체내에서의 지용성 약물에 대한 생화학적 방어체계중 대사적 방어기구는 약물대사의 phase I활성화 과정인 독성화 과정과 약물대사의 phase II 포합과정인 해독화 과정이 상호균형을 이루어 생체내의 향상성을 유지하도록 방어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대사는 생체내 여러 장기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주로 대부분이 간에서 이루어진다. 즉, 간에서 약물의 약리학적 알성의 시작과 종료가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간은 약물대사, 약물의 독성 및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대사의 기초연구는 물론 신물질 개발에 있어서 개발약물에 대한 간세포의 손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독성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Cell signaling and animal disease model in glucose metabolism (포도당 대사에서 세포신호 전달과 동물질환 모델)

  • Park, B. C.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46-58
    • /
    • 2002
  • 포도당 대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작용기전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에 의해서 수행된다. 지난 10여년간 이러한 세포 신호전달 흐름내 중간물질인 여러 가지 단백질의 역할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근래에는 해당 유전자에 대해 분자생물학적인 조작을 가하여 실험동물 체내에서 이러한 중간 단백질이 발현되지 못하도록 한 후, 각 조직에서의 인슐린 신호전달 체계를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 여러 연구방법 가운데서, 특히 조직 특이적으로 특정 유전자를 제거하여 태어난 개체를 이용하고, 또한 이들을 서로 교배시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여 비정상적인 포도당대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동물종에 따른 대사상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적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지만, 동물 질환모델은 포도당 대사와 같은 생체 내에서 중요한 작용을 깊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는 비정상적인 대사를 밝히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초분야의 성과를 활용하는 응용학문인 축산분야에서도 이러한 접근방법과 연구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PDF

The Comparison of Energy Expenditure and Fatigue Degree by Use of Working Table (작업대 사용에 따른 농작업 에너지 소비량과 피로도 비교)

  • 이승교;김화님
    •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 /
    • v.2
    • /
    • pp.43-49
    • /
    • 1991
  • 농촌주부의 농작업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능률 향상을 이루는데 기여하고자 농촌주부 12명과 대학생 6명을 피험자로 딸기선별작업과 파출하작업에 대하여 작업대 사용 유무에 따른 피로도와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하였다. 피험자의 신장은 한국인 평균보다 작았으며 체중은 비슷하였다. 뇨로서 하루 약 1100$m\ell$ 정도를 배설하였고 총질소 7.5g과 Creatinine 0.9g 정도를 포함하였다. 작업대의 사용으로 자각적 피로와 신체피로부위 조사에 의한 피로도는 감소를 보였으며 객관적 피로도인 Flicker값은 변화가 적었다. 그러나 Creatinine 배설량과는 양의 상관을 보였다.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은 0.0157㎉/kg/min이며 안정대사량은 0.0213㎉/kg/min이었다. 작업대의 사용으로 1kg의 작업에 드는 시간과 에너지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며 농부증과 기초대사량은 음의 상관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Secondary Metabolites in Various Cultivar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다양한 콩 자원들의 이차대사물질 함량 분석)

  • Seo, Mi-Suk;Park, Gyu Tae;Kim, Hyun Young;Lee, Sang-Beom;Kim, Yu-na;Park, Soo-Kwon;Kim, Dool-Yi;Mun, Jung K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5
    • /
    • pp.586-593
    • /
    • 2022
  •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 high-protein oilseed crop, cultivated worldwide. Soybean seeds are abundant in various secondary metabolites with physiologically active. Mature seeds of 25 soybean cultivars with variou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zed for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carotenoid, isoflavone, and soyasaponin. These secondary metabolites showed various content by genotype in 25 cultivars. Total carotenoid content ranged from 1.23 to 33.78 mg/g and three cultivars, such as IT177645, PI90763 and IT234975 with black seed coat showed high levels of total carotenoid. Total isoflavones content ranged from 20.28 to 276.35 mg/100g and were detected high levels in Savoy, PI90763 and KLG16001. In addition, total soyasaponins content ranged from 33.12 to 246 mg/100g and were detected high levels in PI90763, PI86490 and IT234975. The PI90763 was showed abundant content in all of the carotenoid, isoflavones and soyasaponins. These results could b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soybean cultivars and regul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iosynthesis in soy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