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존 공조방식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공기순환형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

  • 이정재;정광섭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8
    • /
    • pp.15-18
    • /
    • 2002
  • 축열 공조방식 중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방식은 빙축열 방식과 수축열 방식이다. 본래 축열식 공조는 열원 용량을 감소하고, 값싼 심야전력을 통해서 운전비용(running cost)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지만, 열을 저장하기 위한 "축열조"가 필요하므로, 필연적으로 초기투자비(intial cost)의 증가를 동반하며, 기존의 건물에는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축열을 위한 초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는 축열식 공조방식으로서 건축물 자체가 가지는 높은 열용량에 착안하여 구조체 축열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성화되고 있다. 구조체 축열은 건축물 그 자체를 축열 매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축열조가 필요 없고, 구조체 로부터의 "복사"형태로 거주영역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실내의 온열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2차측 공조기의 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고, 축열 부위에서의 열반송이 필요없는 등, 구조체 축열 시스템은 기존의 빙축열과 수축열 방식에서는 없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은 기존의 공조시스템 중에서 급기구 부위만을 변경하여 주간에서 종래의 공조시스템과 같이 실내로 공조 공기를 급기하고, 야간에는 급기구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천정면으로 공조 공기를 급기함으로써 구조체에 열을 축열시키는 방안이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설비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구조체를 축열, 공조개시전 및 주간의 부하를 대폭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은 "지구환경 유지.전력부하 평준화.안전성.에너지 절약.비용절감.쾌적성"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력한 차세대 공조 방식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보에서는 공기순환형 구조체 축열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eat Gains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in Computer Room (컴퓨터실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 연구)

  • 김원태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조방식 및 본 연구에 제안된 개별환경제어시스템(PEM)으로부터 재실자가 거주하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룸(CR)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CR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을 감성공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바닥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천정으로 유출하는 바닥취출공조(TAM)방식이 실내 환경 개선에 유리하고 디퓨저만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천정과 바닥으로 공가가 유출되는 개별공조(PEM) 방식은 열적 냉각 성능은 좋으나 컴퓨터와 재실자 주변에 강력한 ㅐ순환 유동을 유인하여 실내 환경의 쾌적감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그러나 PEM과 TAM방식의 결합이 감성공학적 온열특성 분포로부터 CR의 재실자 주변온도 분포에 최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The Analysi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for Air Condition System in Dome Stadium (돔경기장의 공조방식에 따른 겨울철 열환경 분석)

  • Seok, Ho-Tae;Yang, Jeong-Hoon;Chae, Mun-Byoung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9 no.2
    • /
    • pp.53-63
    • /
    • 2009
  • In this study selected the domestic dome stadium, and analyzed the indoor air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pplication to existing or abroad air condition system in winterabWe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flow guiding fans installed to mitigate the high-temperature.

  • PDF

Occupant's Thermal Comfort and Heat Gains in CR by PEM (개별공조에 의한 CR에서의 Heat Gain과 재실자 온열성 연구)

  • 김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3-18
    • /
    • 1999
  • 기존의 공조방식 및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별환경제어시스템(PEM)으로부터 열유체 유동 헤석용 PHOEN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재실자가 거주하고 있는 CR(컴퓨터실)에서의 Heat Gain과 재실자 온열성 특성을 감성공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바닥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천정으로 유출하는 바닥취출공조방식이 실내 환경 개선에 유리하고 diffuser만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천정과 바닥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PEM 방식은 열적 냉각 성능은 좋으나 PC와 재실자 주변에 강력한 재순환 유동이 발생되어 실내 환경의 쾌적성 측면에서는 불리하나 PEM과 TAM방식의 결합이 감성공학적 온열특성 분포로부터 CR실의 재실자 주변 온도 분포에 최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Performance for Air-Barrier Air-conditioning System in Perimeter Zone by Scale Model Experiment and Simulation (모델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페리미터존 에어배리어 공조방식웨 열성능 평가)

  • Ham Heung-Don;Park Byung-Yoon;Sohn Jang-Yeul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7 no.10
    • /
    • pp.947-955
    • /
    • 2005
  •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thermal performance for air-barrier air conditioning system in perimeter zone, two air-conditioning systems, conventional perimeter air-conditioning system and air-barrier system, are evaluated and compared by scale model experiment and simulation during cooling season. As a result, measurement shows that supply air velocity of 1 m/s in the upstream direction at perimeter is more effective. Air-barrier system could reduce the cooling energy by $10\sim20\%$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considering solar effect for reliable result. This method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space affected by the solar radiation. Both measurement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supply air velocity of 1 m/s at perimeter is the most effective.

(A Simulation of Neural Networks Control for Building HVAC) (신경망을 이용한 건물 공조시스템의 최적제어 관한 연구)

  • Yuk, Sang-Jo;Yoo, Seung-Sun;Lee, Geu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9
    • /
    • pp.1199-1206
    • /
    • 2002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PI control and to simulate the applicability of Neural Networks control HVAC TRNSYS program. Each performance of HVAC by PI control and by Neural Networks is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imulation, Neural Networks control is favorably applicable than previous PI control for the variation of weather condition and systematic changes.

  • PDF

Application of CFD Simulation to Cooling System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Workplace (농산물산지유통센터 작업장의 냉방 설계를 위한 CFD 시뮬레이션 적용)

  • Kwon, Jin-Kyung;Lee, Sung-Hyun;Moon, Jong-Pil;Lee, Su-Jang;Kim, Keyong-W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4
    • /
    • pp.195-202
    • /
    • 2010
  • Cooling air-conditioning of 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workplace is important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summer season. As existing cooling systems for air-conditioning of whole workplace are inefficient because of their high equipment operating costs, relatively inexpensive cooling system is requir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imulate the thermal flow fields in APC workplace hav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type fan and pad systems and spot cooling system by using CFD software (FLUENT, 6.2) and estimate the cooling effectiveness of respective cooling syste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pressure type fan and pad system was inappropriate for the present APC workplace because of excessive outside air influx from open gateway and the positive pressure type fan and pad system created relatively low temperature field but non-uniform velocity field at worker positions. The spot cooling system could supply cool air to worker positions with relatively constant air velocity and temperature.

Remote Refrigeratio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냉동 공조 제어시스템)

  • Park, Jin-Su;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113-114
    • /
    • 2013
  • 일반적인 소규모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배출시설인 주유소, 세탁소, 도장시설 등의 환경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휘발유 유증기, 세탁용제(솔벤트유) 증기 등을 포집하여 포집된 유증기를 다시 액화처리 과정을 통하여 휘발유, 솔벤트로 재생산하는 기존의 PLC(Programable Logic Control) 방식의 처리과정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한 VOCs 액화장치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기존의 주유소 휘발유증기액화장치는 타이머와 릴레이 등을 조합하여 냉동 공조 장치로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전기제어로 동작하여 관리자가 항시 주의를 요하며 전력소비가 심해 생산량에 비해 손해가 발생하게 되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생산량과 현 상황을 확인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항상 관리자가 직접 수기로 기록하게 되어 많은 불편사항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을 대부분 유지하고 자동화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New Intelligent Control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성능향상을 위한 새로운 지능형 제어방식 고찰)

  • 김문성;곽훈성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6 no.4
    • /
    • pp.60-67
    • /
    • 2001
  •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by the typical PI (Proportional-Integral) control and the HVAC by the new neural network control, it will show the applicability of neural network control algorithm to HVAC of buildings. These show that neural network system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system can replace PI control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in buildings.

  • PDF

A Study on the Cooling Energy Saving System for Data Centers Using Multi-Machine Learning (다중 기계 학습을 활용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ang, H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58-460
    • /
    • 2019
  • 최근 클라우드 시스템 환경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 센터(IDC) 구축이 점차 늘어나가고 있다. 데이터 센터는 최근 부각하고 있는 4 차 산업 영역에서 사물 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에서 처리될 대용량 데이터로 인한 이를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운영에는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수 많은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대량의 전력 냉방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냉방 공조 운영은 데이터 센터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유는 많은 컴퓨터를 가동하는 비용보다 부대 시설로 운영되는 냉방 에너지를 보다 많이 소비하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 데이터 센터 냉방 공조 운영을 효율화하는 것에 연구를 맞추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냉방 공조 운영 효율화 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중 기계 학습을 활용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단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머신 러닝의 모델구현 방식이 아닌 다중의 기계 학습을 통하여 최적화된 모델을 일일 배치로 생성하여 예측을 하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사전에 최적화된 냉방 운영을 하여 기존 데이터 센터의 운영되는 과다 냉방을 감축 시켜 에너지를 절감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 시스템 연구 결과는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고, 클라우드 사업에서 경쟁력을 줄 수 있는 운영 시스템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