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원물질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Geochemistry of the Daebo Granitic Batholith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 A Preliminary Report (중부 옥천대에 분포하는 대보 화강암질 저반의 화학조성 : 예비보고서)

  • Cheong, Chang-Sik;Chang, Ho-Wa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9 no.4
    • /
    • pp.483-493
    • /
    • 1996
  • The tectonic environment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Daebo granitic batholith in the central Ogcheon Belt were investigated based upon major and trace element geochemistry. The batholith is comprised of three granite types; a biotite granite (DBBG), K-feldspar megacryst-bearing biotite granite (DBKG), and a more mafic granodiorite (DBGD). The variations of Na and K in the granites can not be explained by simple fractional crystallization from the same primary magma. The irregular behavior of these alkali elements indicates a variety of source materials or incomplete mixing of different source materials. The large ion lithophile (LIL) element enrichment and low Ta/Hf ratios of the granites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calc-alkaline continental arc granitoids. Based upon REE patterns of the granites, it seems to be unreasonable to regard the felsic DBBG as a late stage differentiate formed by residual melts after the fractionation of major constituent minerals of the more mafic DBGD. Inconsistent variations in ${\varepsilon}_{Nd}(t)$ and LIL element concentrations of the granites preclude a mixing model between primitive melt and LIL element-enriched upper crustal materials. The irregular geochemical variation of the granites is taken to be largely inherited from an already heterogeneous source region.

  • PDF

A study on origin of fresh water in fresh and salt water interface (담·염수 경계면의 담수 기원에 관한 연구)

  • Kim, Byung-Woo;Choi, Ilhwan;Baek, Keon-Ha;Ryu, Kyongsik;Lee, Sang-W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7-217
    • /
    • 2019
  • 해안과 하천이 위치해 있는 낙동강하구의 담 염수 경계면 추적 연구에서 담 염수 경계면의 담수기원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담 염수 경계면을 이루는 담수의 기원이 하천 혹은 지하수 인지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담 염수 경계면에 있는 담수는 일반적으로 하천과 지하수에 의한 것으로, 낙동강하구 일원을 대상으로 지하수공 내 해수침투 여부 파악을 위해 화학적(유기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낙동강하구 일원에서 담 염수 경계면에서 채취한 수질시료의 담수기원을 분석하기 위하여 K-water연구원 수질안전센터에 지하수공 7개지점(BH-1~7호공)의 심도별 물시료 2~4개지점(총 23개 지점), 하천(1개 지점), 해수 및 해안유출수(각 1개 지점)를 포함한 26개 시료를 LC-OCD(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or)로 분석하였다. LC-OCD 분석결과 특성은 기본적으로 유기물질이 물에서 유래한 aquagenic 혹은 토양층에서 유래한 pedogenic 유기물질 인지에 달려있다. 댐 또는 하천에서 pedogenic 유기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유역분지의 수문 또는 수리지질학적 경로에 의존한다. pedogenic 유기물들은 주로 상대적으로 작은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높은 사슬밀도 및 내화성 분자특성을 갖는 펄빅산으로 구성된다. aquagenic 유기물질은 수생 식물성 생물이나 플랑크톤의 분해 산물로서 세포벽에서 유래된 peptidoglycans와 고분자량의 polysaccharides 등을 포함한다(Chio & Jung, 2008; Buffle, 1988). 담 염수 경계면 추적을 위한 7개 관측공의 심도별 수질시료는 하천, 해수, 그리고 해안유출수의 용존유기탄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LC-OCD로 정밀분석하였다. 그 결과, humic, 휴믹물질의 산화물질인 building blocks, 생물고분자 물질(bio-polymers), neutrals, acids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적인 자연유기물질의 기원은 pedogenic과 aquagenic 유기물질로 분류된다. IHSS 표준물질 분석 등을 통한 SUVA 값으로부터 자연유기물질의 기원정보를 제공하는 HS-Diagram으로 도시한 결과, 2018년 11월 2일 조사한 26개의 원수시료 전체는 pedogenic fulvic acid〉aquagenic fulvic acid으로 하천의 기원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H-1호공과 BH-6호공의 특정 1개구간 GL.-6m를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aquagenic FA의 지하수 기원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지하수공(BH-2, 3, 4, 5, 7)과 하천 및 해안유출수는 유역분지 수문학적 경로인 pedogenic FA의 하천 기원의 담수인 것으로 분석된다.

  • PDF

Geochemistry and Sm-Nd isotope systematics of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core at the Muju area, middle Yeongnam Massif (영남육괴 중부 무주 지역에 위치하는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 시추코아의 Sm-Nd 연대 및 지구화학적 특징)

  • Lee Seung-Gu;Kim Yongje;Kim Kun-Ha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s.41
    • /
    • pp.127-140
    • /
    • 2005
  • The Samyuri area of Jeoksang-myeon, Muju-gun at the Middle Yeongnam Massif consists of granitic gneiss, porphyroblastic gneiss and leucocratic gneiss, which correspond to Precambrian Wonnam Series. Here we discuss a geochemical implication of the data based on major element composition, trace element, rare earth element (REE), Sm-Nd and Rb-Sr isotope systematics of the boring cores in the granite gneiss area. The boring cores are granitic gneiss (including biotite gneiss) and amphibolite. The major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s of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suggest that the protolith belongs to TTG (Tonalite-Trondhjemite-Granodiorite) and tholeiitic series, respectively. Chondrte-normalized REE patterns vary in LREE, HREE and Eu anomalies. The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have Sm-Nd whole rock age of $2,026{\pm}230(2{\sigma})$ Ma with an initial Nd isotopic ratio of $0.50979{\pm}0.00028(2{\sigma})$ (initial ${\epsilon}_{Nd}=-4.4$), which suggest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derived from old crustal material. Particularly, this initial ${\epsilon}$ Nd value belongs to the range of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Archean basement in North-China Craton, and also corresponds to the initial Nd isotope evolution line by Lee et al. (2005). In addition,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 and initial Nd value of amphibolite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juvenile magma in crustal formation process.

Evaluating origin of pollution load by stormwater runoff in Hongje basin -Focussing Gugi catchment (홍제천 유역의 강우유출수 오염부하 기원평가 -구기 배수분구를 중심으로)

  • Oh Kyung-Seok;Ho Jong-Kwang;Hwang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8-291
    • /
    • 2004
  • 강우유출수의 오염기원별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홍제천 유역의 구기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강우시 유량 및 오염물질 발생경향 및 오염기원별 오염도 분석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강우시 발생초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한 초기세척현상(First Flush)에 의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강우초기의 높은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해 희석되어 일시적으로 낮아졌다가 높은 강우강도에 의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이후 오염물질의 농도는 유량의 감소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수지식을 이용한 근사적인 오염부하의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에서 관거 퇴적물에 의한 오염도가 COD $27.7\%$, SS $47.5\%$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건기 하수보다도 더 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어 월류수 오염부하의 제어측면에서 정기적인 관거내 퇴적물의 준설과 세정을 통하여 상당량의 오염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o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 지각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성)

  • Lee, Seung-Gu;Kim, Dong-Ye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
    • /
    • pp.113-128
    • /
    • 2012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of crustal formation and evolution and quantifying other processes taking place within continental crust. We summarized geochemical data repor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for the crustal rock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divid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into geologic time scale. In the variation diagram normalized by average composition of the upper crustal rock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crust during Triassic period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pper crustal rocks after Jurassic period or before Precambrian. However,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urassic and Precambrian period are similar each other. Our summarized data indicate that the source material of Triassic upper crus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Jurassic or Precambrian upper crust.

Interpretation of Geological Samples Based on Ce and Nd Isotopic Ratio (Ce 및 Nd 동위원소비에 의한 지질 시료의 해석법)

  • 이승구;증전창정;청수양;조진화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135-141
    • /
    • 1996
  • La-Ce method is one of new geochronological methods developed recently. La and Ce are one of the rare earth elements, and, with Sm-Nd system. La-Ce system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processes of crust and mantle.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basic concept of the La-Ce method, and apply it in clarifying LREE pattern of source material of leuco-granitic gneisses from the Imweon area, Kangwon-do, and K-rich granite from the Anshan area in Liaoning Province, NE China. Sm-Nd data on the Anshan K-rich granites give an age of $3.16{\pm}0.06$ Ga($2{\sigma}$), with initial $^{143}Nd/^{144}Nd$=$0.50846{\pm}0.00005$ (${\epsilon}_{Nd}$=-1.5). On the basis of Ce and Nd isotopic ratio, leucogranitic gneiss and K-rich granite has been fractionated from the source material which had had similar to CHUR (chundritic uniform reservoir). And the initial ${\epsilon}_{Nd}$ value suggest that the crustal formation age of the Liaoning Province area, NE China was early Archean.

  • PDF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Carbon Isotopes on Organic Matter and River Sediments of Toil Stream in Yeongju Dam Basin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 Kang, Han;Song, Hye Won;Kim, Young Hun;Kim, Jeong J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5
    • /
    • pp.439-445
    • /
    • 2022
  • Organic pollutants that contained in stream sediments have origins of mountain soil in natural and cattle manure in human activity. Nitrogen and carbon isotope analysis for mountain soil, cattle manure and stream sediment were performed for contribution evaluation of organic pollutants in Toil stream of Yeongju dam basin. Average carbon isotope ratio(δ13C) is -25.17‰, -22.34‰, and -26.39‰ for river sediments, cattle manure and mountain soil, respectively. Result of carbon isotope analysis suggests that river sediments are more affected by acid soils. Average value of the nitrogen isotope ratio (δ15N) is 9.46% for river sediment, 1.99% for mountain soil, and 19.53% for cattle manure. Result of nitrogen isotopic analysis show that contribution of cattle mature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mountain soil in Toil stream sediments.

포천지역 하천과 지하수의 환경동위원소 및 수리지구화학 연구: 질소계 오염물질의 기원과 거동에 관한 예비 해석 결과

  • Chae Su-Ho;Yun Seong-Taek;Kim Gyeong-Ho;Jeon Jong-Uk;Gwon H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36-339
    • /
    • 2005
  • 포천지역의 포천천과 그 주변의 8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하천 8개 지점과 기존 지하수 관정 66개소를 선정하여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를 실시하였다. 복합적인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연구지역 수계에서는 오염물질 유입이 광역적으로 인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계로의 오염물질 유입이 강하게 나타나 인근 하천까지 영향을 줌이 확인되었다. 오염기원으로 해석되는 대표적인 무기이온종인 $NO_3,\;Cl,\;SO_4$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연구 지역의 지표수와 충적 지하수를 크게 3개 수질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그룹들은 각각 특징적인 충진 특성과 용존 이온의 분포/거동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 유형의 지표수/충적 지하수 외에 암반 지하수를 포함하여 연구지역 자연수의 수리지구화학 진화 경로와 오염물질의 유입 및 거동 양상에 대하여 토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