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4/JPSK.2012.21.2.113

Geo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in Korean Peninsula  

Lee, Seung-Gu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m, Dong-Yeon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v.21, no.2, 2012 , pp. 113-1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of crustal formation and evolution and quantifying other processes taking place within continental crust. We summarized geochemical data repor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for the crustal rock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divid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into geologic time scale. In the variation diagram normalized by average composition of the upper crustal rock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crust during Triassic period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pper crustal rocks after Jurassic period or before Precambrian. However,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urassic and Precambrian period are similar each other. Our summarized data indicate that the source material of Triassic upper crus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Jurassic or Precambrian upper crust.
Keywords
Korean Peninsula; crust; Triassic granite; chemical composition; rare earth el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위수민, 김은효, 2009, 여수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0, 267-28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 위수민, 박세미, 최선구, 유인창, 2005, 한반도 남서부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8, 113-127.   과학기술학회마을
3 위수민, 최선규, 유인창, 신홍자, 2006, 경상분지 서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진동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 아다카이틱(adakitic)한 특성을 중심으로. 자원환경지질, 39, 555-566.   과학기술학회마을
4 윤석태, 박희인, 1995, 용화-설천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반상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유체포유물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28, 445-454.
5 윤성효, 고정선, 김영라, 1996, 부산 남부일원의 백악기 안산암질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송도-다대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17, 472-488.   과학기술학회마을
6 윤성효, 고정선, 박기호, 이영애, 2000a, 울산 동부 마이오세 당사리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9, 169-186.   과학기술학회마을
7 윤성효, 이문원, 고정선, 김영라, 안지영, 2000b, 청송 주왕산지역 대전사 현무암의 암석화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9, 84-98.   과학기술학회마을
8 윤성효, 이준동, 이상원, 고정선, 서윤지, 1997, 거제도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6, 1-18.   과학기술학회마을
9 윤현수, 1995, 포천-의정부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산상과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4, 91-103.   과학기술학회마을
10 윤현수, 김대업, 박석환, 1999, 옥천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8, 81-91.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윤현수, 홍세선, 2004, 진안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홍색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및 물성특성. 암석학회지, 13, 161-177.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윤현수, 홍세선, 김정민, 2006, 경기북부-갈말-영북일대 백악기 홍색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의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5, 167-179.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윤현수, 홍세선, 이윤수, 2002, 포천-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1-16.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이기화, 1979,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과한 연구. 지질학회지, 15, 253-258.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이기화, 2010,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13, 256-267.   과학기술학회마을
16 이승구, 김건한, 송용선, 김남훈, 박계헌, 2007, 강원도 임원지역 우백질 화강편마암에 나타난 희토류원소 테트라드 효과의 지구화학적 의의. 암석학회지, 16, 27-37.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이승구, 김용제, 김건한, 2005, 영남육괴 중부 무주지역에 위치하는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 시추코아의 Sm-Nd 연대 및 지구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14, 127-140.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이승구, 이태종, 신홍자, 2008, 포항지구 심부 화강암류 코아로부터의 Rb-Sr년대 및 지구화학적 의의. 지질학회지, 44, 409-423.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이찬희, 이현구, 김경웅, 1997a, 충남탄전, 대동누층군의 셰일과 탄질암에 관한 암석화학 및 환경지구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30, 417-431.
20 이현구, 이찬희, 김상준, 1997b, 의성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셰일에 관한 암석지구화학. 자원환경지질, 30, 1-14.
21 정원석, 정상원, 나기창, 2006, 삼척지역 이천화강편마암의 암석화학과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15, 25-38.   과학기술학회마을
22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7, 77-97.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좌용주, 1998, 경상분지 고성지역의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II. 미량원소 지구화학과 Rb-Sr 방사성 연대. 자원환경지질, 31, 473-483.
24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중, 임창복, 2004, 영남육괴 북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40, 481-499.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정태웅, 1995, 1991-94년의 지진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구조의 정량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 152-157.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조동현, 윤성효, 고정선, 2009, 함평지역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8, 93-114.   과학기술학회마을
27 Bohlen, S.R. and Mezger, K., 1989, Origin of granulite terranes and the formation of the lowermost continental crust. Science, 244, 326-329.   DOI   ScienceOn
28 Choi, S. H., Kwon, S.-T., Mukasa, S. B. and Sagong, H., 2005, Sr-Nd-Pb isotope and trace element systematics of mantle xenoliths from Late Cenozoic alkaline lavas, South Korea. Chemical Geology, 221, 40-64.   DOI   ScienceOn
29 Choi, S. H., Mukasa, S. B., Kwon, S.-T. and Andronikov, A. V., 2006, Sr, Nd, Pb and Hf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Cenozoic alkali basalts in South Korea: Evidence for mixing between the two dominant asthenospheric mantle domains beneath East Asia. Chemical Geology, 232, 134-151.   DOI   ScienceOn
30 Christensen, N.I. and Mooney, W.D., 1995, Seismic veloc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a global view. J. Geophys. Res., 100, 9761-9788.   DOI
31 Clarke, F.W., 1889,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chemical elements. Phil. Soc. Washington Bull., XI, 131-142.
32 Clarke, F.W. and Washington, H.S., 1924, The composition of Earth's crust. USGS Professional Paper 127, 117p.
33 Gill, R., 2010, Igneous Rocks and Processes: a practical guide. Wiley-Blackwell, John Wiley & Sons, Ltd. 428p.
34 Cluzel, D., Lee, B.-J. and Cadet, J.-P., 1991, Indosinian dextral ductile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194, 131-151.   DOI   ScienceOn
35 Condie, K.C., 1989, Plate tectonics and crustal evolution (3rd ed.). pergamon Press, New York, 476p.
36 Fountain, D.M., Percival, J. and Salisbury, M.H., 1990, Exposed cross sections of the continental crust-synopsis. In Exposed Cross-sections of the Continental Crust(eds. M.H. Salisbury and D.M. Fountain). Kluwer, Amsterdam, 653-662.
37 Goldschmidt, V.M., 1933, Grundlagen der quantitativen Geochemie. Fostschr. Mineral. Jirst. Petrogr., 17, 112.
38 Hart, R.J., Andreoli, M.A.G., Tredoux, M. and Dewit, M.J., 1990, Geochemistry across an exposed section of Archean crust at Vredefort, South Africa with implications for midcrustal discontinuities. Chem. Geol., 82, 21-50.   DOI   ScienceOn
39 Ketcham, R.A., 1996, Distribution of heat-producing elements in the upper and middle crust of southern and west central Arizona: evidence from core complexes. J. Geophys. Res., (B)101, 13611-13632.   DOI
40 Kim, S.W., Kwon, S.H., Koh, H.J., Yi, K., Jeong, Y-J. and Santosh, M., 2011, Geotectonic framework of Permo-Triassic magmatism within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20, 865-889.   DOI   ScienceOn
41 Koh, J.S. and Yun, S. H., 2003, The Geochemistry of Yuksipryeong Two-Mica Leucogranite, Yeongnam Massif, Korea. Jou. Petrol. Soc. Korea, 12, 119-134.   과학기술학회마을
42 Lee, D.S., 1987, Geology of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Lee, D.S., ed.) Kyohaksa Co. Seoul, 514p.
43 Kuritani, T., Kimura, J.-I., Miyamoto, T., Wei, H., Shimano, T., Maeno, F, Jin, X. and Taniguchi, H., 2009, Intraplate magmatism related to deceleration of upwelling asthenospheric mantle: Implications from the Changbaishan shield basalts, northeast China. Lithos, 112, 247-258.   DOI   ScienceOn
44 Kwon, S.-T., Shin, K.B., Park, H.K. and Mertzman, S.A., 1995, Geochemistry of the Kwanaksan alkali feldspar granite: A-type granite?. Jour. Petrol. Soc. Korea, 4, 31-48.   과학기술학회마을
45 Lan, C.Y., Lee, T., Zhou, X.H. and Kwon, S.-T., 1995, Nd isotopic study of Precambrian basement of South Korea: evidence for early Archean crust. Geology, 23, 249-252.   DOI
46 Lee, J.I., Jwa, Y.-J., Park, C.-H., Lee, M. J. and Jacques Moutte, 1998,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Youngju and Andong granites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Geoscience Journal, 2, 1-1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47 Lee, S.R., Cho, M., Hwang, J.H., Lee, B-J., Kim, Y-B. and Kim, J-C., 2003a, Crustal evolutio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Nd isotopic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continental growths of East Asia. Precambrian Research, 121, 25-34.   DOI   ScienceOn
48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 T.D., 2003b,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22, 297-310.   DOI   ScienceOn
49 Miller, J.D. and Christensen, N.I., 1994, Seismic signature and geochemistry of an island arc: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the Kohistan accreted terrane, northern Pakistan. J. Geophys. Res., (B)99, 11623-11642.   DOI
50 Oh, C.W., 2006, A new concept on tectonic correl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istories from the late Proterozoic to Cretaceous. Gondwana Research, 9, 47-61.   DOI   ScienceOn
51 Oh, C. W., Kim, S. W., Ryu, I-C., Okada, T., Hyodo H. and Itaya, T., 2004, Tectono-meramorphic evolution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in East Asia. The Island Arc, 13, 387-402.   DOI   ScienceOn
52 Park, Y.S., Kim, S.W., Kee, W.-S., Jeong, Y.-J., Yi, K. and Kim, J.M., 2009, Middle Jurassic tectono-magmatic evolution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Geoscience Journal, 13, 217-23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53 Qiu, Y.M., Gao, S., McNaughton, N., Groves, D. I. and Ling, W., 2000, First evidence of >3.2 Ga continental crust in the Yangtze craton of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Archean crustal evolution and Phanerozoic tectonics. Geology, 28, 11-14.   DOI
54 Ree, J. H., Cho, M., Kwon, S. T. and Nakamura, E.,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Imjingang belt. Geology, 24, 1071-1074.   DOI
55 Rudnick, R.L., 1992, Xenoliths-samples of the lower continental crust. In Continental Lower Crust(eds. D.M. Fountain, R. Arculus and R.W. Kay), Elsevier, Amsterdam, 269-316.
56 Rudnick, R.L. and Fountain, D.M., 1995, Nature and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a lower crustal perspective. Rev. Geophys., 33, 267-309.   DOI   ScienceOn
57 Rudnick, R. L. and Gao, S., 2003,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In The Crust(ed. R.L. Rudnick) Vol. 3 Treatise on Geochemistry(eds. H.D. Holland and K.K. Turekian), Elsevier-Pergamon, Oxford, 1-64.
58 Sun, S.-S.,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and Norry, M.J. (eds.)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Special Publications, 42, 313-345.
59 Taylor, S.R., 1971, Island arc model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In Island Arc, Deep Sea Trenches and Back-Arc Basins ed. M. Talwani) American Geophysical Union, 325-336.
60 Taylor, S.R., 1967, The origin and growth of continents. Tectonophysics, 4, 17-34.   DOI   ScienceOn
61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312p.
62 Weaver, B.L., Tarney, J., 1984, Major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lithosphere. Phys. Chem. Earth, 16, 39-68.
63 Wedepohl, H., 1995,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Geochim. Cosmochimc. Acta, 59, 1217-1239.   DOI   ScienceOn
64 Wilson, M., 1989, Igneous petrogenesis. Unwin Hyman, London, 466p.
65 김선균, 1995,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1, 393-403.   과학기술학회마을
66 고정선, 윤성효, 2005, 강원도 고성군 일대의 후기 마이오세 현무암의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8-92.   과학기술학회마을
67 고정선, 윤성효, 이상원, 1996, 경주 남산일대의 A-형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5, 142-160.   과학기술학회마을
68 김건기, 김종선, 좌용주, 2005, 경상분지 남서부 와룡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4. 12-23.   과학기술학회마을
69 김상조, 김소구, 1983, 지진파를 이용한 남한의 지각구조 연구. 광산지질, 16, 51-61.
70 김상중, 이현구, 이찬희, 板谷徹丸, 1999, 북동부 경상분지의 화강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K-Ar 연대. 자원환경지질, 32, 141-150.   과학기술학회마을
71 김선웅, 김항묵, 황병훈, 양경희, 김진섭, 2009,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암석학회지, 18, 211-221.   과학기술학회마을
72 김성원과 기원서, 2010, 경기육괴 남서부 홍성지역 월현리 지구조 복합체의 변성화산암류에 대한 지질연대 및 지구화학 특징. 지질학회지, 46, 453-471.
73 김성원, 이창윤, 유인창, 2008, 예천전단대 북동부 명호지역 엽리상 화강암류와 압쇄 편마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Nd-Sr 동위원소 연구. 자원환경지질, 41, 299-314.   과학기술학회마을
74 김용준, 박영석, 박천영, 김진, 1995, 나주-영암-목포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 442-461.   과학기술학회마을
75 김용준, 이창신, 김희남, 박재봉, 이훈교, 1998a, 전남 장성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화학. 한국지구과학회지, 19, 154-170.   과학기술학회마을
76 김용준, 조등룡, 이창신, 1998b, 한반도 남서부 남원일대에 분포하는 A형 대강 화강암의 암석학, 지화학 및 지구조적 의미. 자원환경지질, 31, 399-413.
77 김정빈, 박영석, 1996, 벌교지역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7, 227-240.   과학기술학회마을
78 김진섭, 박맹언, 김근수, 1998, 충주지역 계명산층 내에 산출하는 알칼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1, 349-360.
79 김진섭, 이준동, 정남일, 1999, 경남 남해군 일원의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640-651.   과학기술학회마을
80 김혜숙, 김진섭, 문기훈, 2009, 부산 금정산의 계명봉과 장군봉일대 백악기 화산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8, 1-17.   과학기술학회마을
81 김희남, 신인현, 안건상, 박운선, 이창신, 1997, 강진-장흥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및 Sr-Nd동위원소 조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8, 433-442.   과학기술학회마을
82 나춘기, 이인성, 정재일, 1997, 전주 및 순창지역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성인에 대한 연구(I)-암석지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8, 480-492.   과학기술학회마을
83 남기상, 조규성, 1995, 임실-순창 일대에 분포하는 엽리상 화강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7, 1-7.   과학기술학회마을
84 노병섭, 박재문, 김승범, 양우헌, 2009, 백악기 계화리층 내 현무암질 안산암-실트암 페퍼라이트. 한국지구과학회지, 30, 33-39.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85 대한지질학회, 1998,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02p.
86 류삼형, 정윤기, 이상원, 성종규, 류충렬, 2008, 진해 천자봉-시루봉 일원에 분포하는 마이오세 화산암(1): 암석기재와 암석화학적 특징. 암석학회지, 17, 108-131.   과학기술학회마을
87 문상호, 박희인, Edward M. Ripiey, 허순도, 1998, 언양 수정광상 주변에서 산출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안정동위원소. 지질학회지, 34, 211-227.   과학기술학회마을
88 민경원, 김성범, 1996, 설악산 부근의 화강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성인. 암석학회지, 5, 35-51.   과학기술학회마을
89 박계헌, 송용선, 박맹언, 이승구, 류호정, 2000, 동북아시아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 1. 지리산 지역 변성암의 변성연대. 암석학회지, 9, 29-39.   과학기술학회마을
90 박배영, 서구원, 2008, 광양-하동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 및 변성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 221-245.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91 박영석, 김종균, 김진, 2001, 영광-김제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자원화경지질, 34, 55-70.   과학기술학회마을
92 박성옥, 장윤득, 황상구, 김정진, 2006, 경산칼데라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징. 암석학회지, 15, 90-105.   과학기술학회마을
93 박영록, 2009, 정선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몰운화강암체의 아다키틱한 지화학적 특성: 분별정출작용-동화작용에 의한 칼크-알칼리 마그마로부터 아다키틱한 마그마로의 전이. 지질학회지, 45, 345-360.   과학기술학회마을
94 박영석, 김정빈, 윤정한, 안건상, 1997,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심성암류의 지질시대와 암석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8, 70-83.   과학기술학회마을
95 박주희, 김춘식, 김진섭, 성종규, 김인수, 이준동, 백인성, 1999, 장기 지역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용암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1): 일반 지질 및 암석화학적 특징. 암석학회지, 149-170.   과학기술학회마을
96 사공희, 권성택, 전은영, S.A. Mertzman, 1997, 화천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3, 99-110.   과학기술학회마을
97 신인현, 박영석, 박천영, 정연중, Shigeru Lizumi, 1998, 보은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Sr-Nd 동위원소 조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9, 632-640.   과학기술학회마을
98 신인현, 박천영, 정연중, 2001, 전주지역 엽리상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Sr-Nd 동위원소 조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2, 1-9.   과학기술학회마을
99 심성호, 박병준, 김태형, 장윤득, 김정훈, 김정진, 2011, 한반도 동남부 제3기 연일, 어일분지에 나타나는 현무암질암의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20, 1-21.   과학기술학회마을
100 안건상, 오창환, 박배영, 2001, 승주-순천 지역에 분포하는 정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2, 163-178.   과학기술학회마을
101 위수민, 김윤지, 최선규, 박정우, 유인창, 2007, 진동화강암체의 아다카이틱한 특성. 자원환경지질, 40, 223-236.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