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운생동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개념을 통해 본 수묵 기법의 패션 디자인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sing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 김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4호
    • /
    • pp.441-456
    • /
    • 2016
  • This study considers the modern expression of oriental esthetics by analyzing the fashion design with the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the concept of Chi-Yun-Sheng-Tung,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rule of art creation in oriental histor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books and advanced studies, and then, collection analysis was done with photos derived from fashion websites (seoulfashionweek.org, chinafashionweek.org, vogue.com, firstview. com) from 2010 S/S to 2016 S/S. A total of 317 fashion photos of designs created using the Chinese ink technique by Korean designers at Seoul Fashion Week and Chinese designers at China Fashion Week were analyzed. The contemporary fashions created with the Chinese ink technique were characterized by, first, the bold brush strokes and natural spreading effects of Chinese ink, second, the emphasis of empty space by taking essential elements, and third, the coexistence of deep Chinese ink colors with modern primary colors. The formativeness of the contemporary fashions created with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were as follows: first, temperance, pursuing spiritual and minimal expression, second, empty space, making design elements interact and pursue harmony, third, changeable rhythm, symbolizing the growth and variation revealing the power of life, and fourth, vitality, represented in the rhythmical movement of the brush.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riental esthetics inherent in Chi-Yun-Sheng-Tung, and it attempted to analyz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aim was to show the possibility of modern applications to traditional values, and it can be a meaningful case in design planning based on culture.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 - 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Landscape Painting Concepts on Garden Design Principles in East-Asia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ainting Theory and Garden Theory -)

  • 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5-95
    • /
    • 2010
  • 근대이전 동아시아의 상류사회는 시서화 삼위일체의 통합체제를 유지해왔고 이에 따라 정원조성의 원리 또한 산수화의 작화원리를 참조하며 발전해 왔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산수화론과 원림론을 비교, 양자 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원림의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양자 간의 비교는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여기서 내용은 주로 가치와 의미 등 비가시적 측면을 말하고, 형식은 주로 시각과 공간 등 가시적 측면을 말한다. 먼저 산수화론에 있어 내용면의 주요 주제는 무엇보다도 '기운생동(氣韻生動)'이었다. 이는 음양사상을 기반으로한 동양문화 고유의 가치인데, 남조의 사혁이 이론화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요 주제는 '풍수(風水)'와 '의경(意境)'이었다. 풍수 역시 음양사상을 기반으로 한 지기(地氣)의 원리이고, '의경'이란 시서화 공동의 가치로서 마음의 경지를 의미하는데, 특히 원림론에서는 가시적 경관 이면의 상징적 의미를 말하고 있다. 형식면에서 산수화론의 두드러진 주제는 북송조 곽희에 의해 정립된 '삼원법(三遠法)'이라는 일종의 동양화의 투시도법으로 다원적 조망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제는 '인지(因地)'와 '차경(借景)'으로 명조의 계성이 이론화하였으며, 각각 대상지 내외부 경관자원의 조성과 차용을 의미한다. 특히 차경의 세목들은 삼원법의 각 관점에 대응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 원림론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은 화론과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서 원림술은 예술의 한 분야로 인정받아 왔다.

기운(氣韻)의 현대적(現代的) 해석(解析)에 관한 연구(硏究) -기운(氣韻)의 시각화(視覺化)를 중심(中心)으로-

  • 이성영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0권
    • /
    • pp.111-159
    • /
    • 2006
  •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rigin,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ioonsangdong,' or 'lively energy' to look into whether 'Kioon' maybe interpreted by modern sense and sensitivity and be applied to contemporary creative activities, and to explore whether the ideality of 'Kioon' may be transferred into visualization in pictures. The article defines the scope of 'Ki' as 'Ki(energy)' of artistry and sees the Wei, Chin and the South & North dynasties as its derived point. In Chapter I, before the examination of 'Kioon,' 'the relationship of Ki and Oon,' and 'interrelationship of Kioon (energy) and Sangdong (liveliness) are investigated. It is impossible to define Kioon in a word due to its being abstract. Thus, although it does not seem to be unlimited, focusing on putting a variety of concepts of Kioonsangdong in order, it classifies the subject, from which such Kioon reveals itself, into 'its former self,' things of the object,' 'character,' and 'brush and Chinese ink.' Then, with selected representative works for each category, it examines how Kioonsangdong is reflected in the works. In addition, it comprehensively argues on Kioon through presenting the points of Kioon theories by many an art critic and artist from the Wei, Chin and the South & North dynasties to modem China. In Chapter II, the study analyzes the Kioon-reflected works that have been examined in Chapter 1 in the light of the Kioon theories of 'blanks,' 'styles of brushmanship,' and 'techniques of Chinese ink,' and by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artists and works in each era, it investigates how Kioon had been transformed as times had changed. In Chapter III, which is the core of the study, is on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Kioon. I intend to interpret Kioon as scent. In other words, through replacing abstract Kioon with the olfactory sense, actually realizing and forming it, and then visualizing it onto my own work, I attempt to grope for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Kioon. That is to say, I explain how Kioon is transformed into scent on the grounds that the origins of Kioon may be detected in literature and aesthetics. Besides, the study looks into the process that 'the scent of the olfactory sense' turns into 'the scent of art,' which I assert by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and shows in details that it may be visualized in pictures presenting quotes. In Chapter IV, it analyzes Kioonsangdong expressed visually as the scent of art in my own work in terms of the three techniques of blanks, brushmanship, and Chinese ink.

  • PDF

건강하고 자유로운 집을 위한 주택 설계 / 중암을 중심으로 (Design for a Healthy and Free House/Based on the works of Jungam)

  • 김개천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97-302
    • /
    • 2005
  • 몸을 건강하게 하고 정신을 자유롭게 하는 집이란 디자인 기능의 효율성과 물리적 합리성의 측면을 넘어 인간의 육체와 정신에 관계되는 커뮤니케이션과 몸의 근본이라고 하는 기(氣)의 순환을 고려한 집으로서 사람을 활(活)하게 할 수 있는 집을 말한다. 한옥에서의 집이란 인간의 행위와 감정 및 이성의 모든 정신을 담는 형태가 없는 가변적 형태이며, 다양한 삶의 행위들을 이끌어 스스로의 삶을 생성하고 창출해 나가는 통합된 전체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동양인에게 좋은 집이란 몸을 편리하게 하기보다는 건강하게 하는 기능을 가져야 했고 그러기 위해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운동하며 기를 생성하여 통하게 하는 생명과 같은 역할을 해야 했다. 본 논문은 인간에 대해 거주공간이 건강한 육체와 자유로운 정신의 공간으로 실천되기 위하여 기(氣)의 순환을 중심적으로 고려한 주택 설계안을 연구한 것이다. 이에 기(氣)를 정신과 육체의 두 가지 측면으로 보고 이들의 순환을 이루는 집이 인간의 삶 속에서 생명을 가진 것처럼 기운생동(氣運生動)하게 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설계된 중암의 설계 과정을 사례로 제시한다.

  • PDF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 및 미의식 (Aesthetic Features & Awareness Observed in Traditional Boots)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6-57
    • /
    • 2018
  • 패션은 한 시대와 지역의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을 표현하는 문화 요소로서, 신발 역시 우리나라만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패션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통해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미적 특성은 형식적인 면에서 곡선과 직선, 단순한 형태, 대비되는 색상과 소재 등 각 요소들의 균형 있는 사용이, 내용적인 면에서 신분과 지위의 상징으로서의 활용과 사상적 의미 부여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미의식은 첫째, 곡선과 직선의 절충(折衷)으로 한 가지 요소에 치우침이 없이 서로의 특징을 수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중용(中庸)의 미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무심(無心)과 기교(技巧)의 조화(調和)로 형태와 색상, 소재에 대한 표현을 적절히 조절하여 비움과 채움을 자연스럽게 나타냈다는 점이다. 셋째, 정신과 물질의 합일(合一)로서 전통 화가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활용되었으나 물질에 정신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가치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유(游)'의 원리로 구성되는 화의(畵意)의 구조 연구 서설 - 『도화견문지(圖畵見聞誌)』, 『임천고치(林泉高致)』를 중심으로 -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ended to 'you(游)': case on the 『Dohwaguenmungi』 and 『Limchungochi』)

  • 손보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445-476
    • /
    • 2010
  • 이 글은 북송대(北宋代) 문인화(文人畵) 이론을 밝힌 "도화견문지(圖畵見聞誌)"와 "임천고치(林泉高致)"에서 화의(畵意)의 구조와 구성 원리를 분석하여, 예술적 독창성이 산출되는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화의(畵意)의 구조와 구성 원리를 찾기 위하여 주요개념을 분석하고 의미를 관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지식인 화가가 화의(畵意)를 구성하는 것은 앎을 구성하는 것에 해당하였으며, "도화견문지"의 경우 유심(游心)의 '유(游)', "임천고치"의 경우 포유어간(飽游?看)의 '유(游)'가 화의(畵意)[앎]를 구성하는 원리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가의 마음이 '유(游)'의 원리로 구성하는 화의(畵意)는 "도화견문지"의 경우 물(物)에서 관찰과 궁리(窮理)로 정사(情思)를 구성하는 구조이고, "임천고치"의 경우 물(物)에서 흥(興)을 타고 입의(立意)하여 의사(意思)를 구성하는 구조로, 마음이 구성한 정사(情思)와 의사(意思)가 화의(畵意)에 해당하였다. 그리고 "도화견문지"의 경우 관찰과 궁리(窮理)단계, "임천고치"의 경우 흥(興)을 타는 입의 단계에서 지각작용을 기초로 화가는 주체적으로 새로운 내용을 구성하고 추가하여 화의(畵意)를 구성한다. 또한 화의(畵意)가 심미적 개별성과 예술적 독창성을 담보하게 하는 동인(動因)은 정(精)으로, 화가의 역량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화견문지"에서 정(精)은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경계를 얻는 역량을 의미하고, "임천고치"에서 정(精)은 사리(事理)를 분별하고 선택하는 역량을 의미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두 화론의 창작원리는 회화예술 자체의 논리와 앎을 탐구하는 방향에 근거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송학(宋學)에서 주자학(朱子學)으로 이어지는 성리학(性理學)이 경전과 성인의 말씀을 모범으로 삼아 그것을 반복하는 앎의 방향을 추구한 것과는 분명한 차이를 가진다. 이글은 北宋의 지식인 화가들이 화의(畵意)를 구성하는 '유(游)'의 원리는 세계를 인식하는 한 가지 원리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논의한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이어지는 연구의 토대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