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 변화

Search Result 1,42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collection area of Amanita virgineoides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 발생지역의 기온변화 특성)

  • Lee, Kang-Hyo;Cho, Jae-Han;Han, Jae-Gu;Kong, Won-Sik
    • Journal of Mushroom
    • /
    • v.16 no.4
    • /
    • pp.334-337
    • /
    • 2018
  • Amanita virgineoides Bas is an ectomycorrhizal mushroom belonging to the family Amanitaceae in the order Agaricales. This fungus usually grows solely on damp soil in coniferous or deciduous forests from summer to autumn. Although Korean people consume A. virgineoides, some studies indicate that it can be poisonous. During our biodiversity survey of four specific regions i.e., Yongin, Eumseong, and Chungju from 2016 to 2018, A. virgineoides specimens were collected on the sixth rotation. We analyzed the temperature,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and vegetation surrounding the A. virgineoides fruiting bodies to reveal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d mushroom formation. It was found to usually grow in August, the hottest season in Korea. For 60 days before forming the fruiting body, temperatures were found to be between 20 and $30^{\circ}C$. More evidence is necessary to ensure that change in temperature is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 that determines A. virgineoides fruiting.

Relative comparison studies on daily record high maximum temperatures compared to daily record low minimum temperatures in the Korea (우리나라 일 최고기온과 일 최저기온 극값 발생빈도의 상대 비교 연구)

  • Cho, Seon-Ju;Park, Moo-Jo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1-361
    • /
    • 2011
  • 우리나라의 과거 기상자료 분석결과를 보면 최근 10년(1999~2008년)과 과거 30년(1971~2000년)의 자료를 비교하였을 때 연 평균 강수량과 기온이 각각 9.1%, 0.6$^{\circ}C$ 상승하였고 2010년 전 지구 기온은 $14.52^{\circ}C$로 20세기 평균인 $13.90^{\circ}C$보다 $0.62^{\circ}C$ 높아 기온 관측이 시작된 1880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였으며(2005년과 공동 1위), 2010년 북반구 기온편차는 $0.73^{\circ}C$로 역대 기온 관측 사상 가장 높았고 남반구 또한 $0.61^{\circ}C$로 상위 6위에 위치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 이상 저온 현상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 기상청 60개 지점 198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 일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록 일 최저 기온 및 기록 일 최고 기온의 발생빈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확률이론에 따르면 동일한 분포를 갖는 확률변수의 독립적인 시계열의 경우 최대값 또는 최소값의 발생빈도는 ��/n의 비율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n은 관측이 시작된 시점부터 해당 시점까지 자료의 수이다. 본 연구의 경우에는 특정 지점의 특정 시점에 관측된 일 최대 기온이 동일한 분포를 갖는 독립적인 시계열을 이룬다고 한다면(즉, 증가 또는 감소 추세가 있지 않다면), 어떤 해에 관측된 일 최고 기온이 그 동안에 특정 시점에 관측된 일 최고 기온들보다 높을 확률은 1/n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일 최대(또는 최저) 기온의 기록경신 발생빈도가 감소 비율로부터 유의하게 이탈하게 된다면, 이는 일 최고(또는 최저) 기온의 분산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벌어진 경우이거나 일 최고(또는 최저) 기온의 평균이 어떤 추세를 갖게 되는 경우가 될 것이다. 그 결과 기록 일 최저 기온 발생빈도에 대한 기록 일 최고 기온 발생빈도의 비는 현재 약 2.5정도의 값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1980년 이후로 기록 일 최고 기온의 발생빈도는 /n의 비율로 감소하지만 기록 일 최저 기온의 발생빈도는 /n의 비율보다 낮게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과거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는 기후변화의 패턴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기후수치실험으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의 신뢰성을 평가할 때 기초적인 비교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troducing the service plan of meteorological disaster·green energy data through National Meteorological Disaster·Green Energy Big Data Center (국가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빅데이터 센터를 통한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데이터 서비스 방안 소개)

  • Jeung, Se Jin;Lim, Su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2-72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기후도 동남아와 같은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후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는 우리나라의 연 강우량이 현재(1,491mm)보다 약 11% 증가(1,658mm) 하고, 연평균기온이 현재 대비 2040년대 0.7℃, 2090년대 3.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후변화에 의한 여름철 기온 상승과 겨울철 기온 하강은 에너지 소비량과 소비 패턴 변화를 유발하고 에너지 수요와 공급 불일치의 원인이 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생산에서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전환이 효과적이라고 공표하였다. 이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르 통한 도전과제를 제시하였으며, 기업 및 공공기관의 RE100참여를 확대하고 활용 가능한 유망 재생에너지원을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팀은 국가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빅데이터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의 다양한 이행수단의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고, 민·관에서 활용 할 수 있는 그린에너지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센터에서는 침수예측데이터, 풍력, 태양광, 소수력, 수열 잠재 에너지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각 데이터에 대한 활용 및 서비스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bnormal air temperature prediction of South Korea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erra/Aqua MODIS LST (다중 선형회귀모형과 Terra/Aqua MODIS 지표면온도를 활용한 우리나라 이상기온 예측)

  • Chung, Jeehun;Lee, Yonggwan;Lee, Ji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39-139
    • /
    • 2019
  •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해 비롯된 전 지구적인 기온 상승은 가뭄, 폭염, 한파 등의 이상 기후 현상을 야기하여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 현상을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상세한 기온 정보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기상청에서 전국 590개소의 기상관측장비로 기온 정보를 생산하고 있지만 산림이 약 70%를 차지하는 복잡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지상관측밀도의 공간적 제약이 발생해 상세하고 균일한 기온 정보 생산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위성으로 측정한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 자료와 다중선형회귀모형(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을 활용해 두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지상기온을 예측하고자 한다. 위성자료로 Terra 및 Aqua MODIS 위성의 1000m 공간해상도를 가진 일별 LST자료 MOD11A1, MYD11A1의 Daytime 자료를 각각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총 19년의 기간에 대해 구축하였으며, 전국 92개의 기상청 관측소로부터 최고, 최저 기온 자료를 동 기간에 대해 구축하였다. LST를 이용한 이상기온 예측 알고리즘은 python을 이용해 구현하였으며 예측 결과는 실제 기온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예측 기온 자료의 연대별, 순별(상, 중, 하순) 분석을 실시하고, 2018년 극한 폭염 및 한파(2017년 12월~2018년 2월)의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ng an soil temperature in Daegu area (대구지역 지중온도의 변화예측)

  • Kim, Dong-Seok;Hong, Soo-Jin;Park, Jun-Py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0 no.4
    • /
    • pp.649-654
    • /
    • 2009
  • Soil temperature is an important tool in predicting a change of climate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 change of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is paper, we examine changing patterns of soil temperature measured in 0.5m under ground from 1932 to 1990 and atmospheric temperature from 1961 to 2008, and derive a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Using this model, we predict unmeasured soil temperature in Daegu area and soil temperature is found to be increasing about $0.028^{\circ}C$per a year. Prediction of soil temperature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climate change in Daegu and will be useful information to help us take precautions for global warming, etc.

  • PDF

Changes in characteristic of weather elements in Nakdong River caus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로 인한 낙동강 유역의 기상요소 변동 특성)

  • Yang, Jeong-Seok;Lee, Jeong-Won;Jang, W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7-351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낙동강 유역의 기온, 강수, 상대습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고자, 낙동강 본류의 상, 중, 하류 지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요소인 평균, 최저, 최고 기온과 상대습도 및 강우 자료를 기상청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평균, 최고, 최저 기온과 연평균, 최고, 최저 상대습도를 분석하였으며, 강우량 관측 자료를 통해 총 강우량, 강우집중률, 일 최대강우량을 고려하였다. 분석방법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자료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인 Mann-Kendall Test, Hotelling-Pabst Test, Sen's Test 3가지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표준정규변량의 크기를 통하여 변동 경향의 유의성을 비교해보았다. 또한, 각 요소별 관측 자료의 상위 10개, 하위 10개의 자료를 통하여 최근(1995~2011)과 과거(1973~1994)의 기상요소들을 비교하여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중 낙동강 중류 지점에 위치하는 구미의 경우, 요소별 자료 중 연평균기온의 상위 9개의 자료가 최근 17년 이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연 최저 및 최고 기온의 6개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기후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 최저 상대습도의 경우 3가지 경향성 검정 방법을 통하여 과거자료에 비해 하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강우자료 분석 결과 관측이 시작된 이래 연강수량 중 상위 10개의 자료에서 7개가 최근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일 최대강우량은 9개가 포함되어 있다. 위의 요소별 분석 결과 낙동강 유역의 연강수량 및 강우강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기온 또한 증가하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현상이 국내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limatic Change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lar Term Temperature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절기 기온의 기후적 변화와 지리적 특성)

  • PARK, Sun-Yurp;LEE, Su-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65-81
    • /
    • 2019
  • The twenty-four Solar Terms are Chinese traditional astronomical divisions that describe seasonal cycles of the year. Based on the analyses of meteorological data during 1979~2018,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s of the Solar Terms had increased in general in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 Korea, temperature increases were observed on 21 Solar Terms, and their seasonal mean temperatures were increased by $0.87^{\circ}C$, $1.19^{\circ}C$, $1.45^{\circ}C$, and $0.64^{\circ}C$ on average i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summer has lengthened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fall, and the magnitude of temperature change was greater in summer compared to winter. As for South Korea, increases in temperature were observed on 18 Solar Terms, and the temperature changes were more pronounced in fall and winter than spring and summer. The Great Snow temperature decreased more than any other Solar Term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his temperature change was observed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s. The Great Cold, which represents the coldest day of the year, showed a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 of $3.08^{\circ}C$, while the Slight Heat had a marginal temperature increase of $0.29^{\circ}C$. The hottest day and the first day of frost tended to come later than the Great Heat and the Frost's Decent. By contrast, the coldest day tended to occur later than the Great Cold in the study area. On average over the entire study period, the climatic fitness of the Great Heat and the Frost's Decent was higher in North Korea, and that of the Great Cold was higher in South Korea,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Wildbirds and Temperature for Six Years - A Case Study of Worldcup Park in Seoul, Korea - (6년 동안의 야생조류 변화와 기온과의 관계연구 -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

  • Kim, Ji-Seok;Han, Bong-Ho;Kwak, Jeong-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3
    • /
    • pp.227-234
    • /
    • 2010
  • To see the influence of bird species by the change of temperature in city, we have carried out bird census 22 times for 6 years from 2003 to 2008 in Worldcup Park, Seoul. And we analys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f Seoul and wildbirds. 15 orders, 38 families and 102 species were confirmed to have existed. We could find that Hypsipetes amaurotis gradually turned out to have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6 year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Seoul and wildbirds, we have chosen 31 bird species observed more than 30% in frequency and proceede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urvey shows that with the temperature rise the number of the resident birds such as Pica pica, Parus palustris, Anas platyrhynchos and Anas poecilorhyncha and the migratory birds such as Buteo buteo has declined. These 5 species have a possibility to be decreased as a global climate warming and maybe move to another habitat. In contrast, Oriolus chinensis and Falco tinnunculus are characterized into the species that increased due to the rising temperature. So they have a posibility to increase and expand their habitat. This survey shows that temperature rise can cause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bird species. And 7 bird species related with the change of temperature have a great possibility as a indicator of the climate chang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GCM Data Downscaling Methods for the Climate-Induced Future Air Temperature Changes in the Coastal Zone (연안 해역의 미래 기온변화 예측을 위한 GCM 자료 Downscaling 기법의 신뢰수준 분석)

  • Lee, Khil-Ha;Cho, Hong-Yeon;Cho, Beom-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1
    • /
    • pp.34-41
    • /
    • 2008
  • Future impact of anthropogenic climate-induced change on ecological regime has been an issue and information on water temperature is required for estimating coastal aquatic environment. One way to induce water temperature is to relate water temperature to air temperature and GCM is able to provide future air temperature data to do this. However, GCM data of low spatial resolution doesn't incorporate local or sitespecific air temperature in need of application, and downscaling processes are essential. In this study, a linear regression is used to relate nationally averaged air temperature to local area for the time period of 2000-2005. The RMSE for calibration (2000-2005) is 1.584, while the RMSE for validation is 1.675 for the year 2006 and 1.448 for the year 2007. The NSC for calibration (2000-2005) is 0.962, while the NSC for validation is 0.955 for the year 2006 and 0.963 for the year 2007. The results show that the linear regression is a good tool to relate local air temperature to nationally averaged air temperature with $1.0{\sim}2.0^{\circ}C$ of RMSE.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estimate future impact of climate-induced change on aquatic environment in Korean coastal zone.

Impacts of Three-dimensional Land Cover on Urban Air Temperatures (도시기온에 작용하는 입체적 토지피복의 영향)

  • Jo, Hyun-Kil;Ahn, Tae-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54-6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three-dimensional land cover on changing urban air temperatures and to explore some strategies of urban landscaping towards mitigation of heat build-up. This study located study spaces within a diameter of 300m around 24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 in Seoul, and collected data of diverse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summer energy budgets and air temperatures. The study also selected reflecting study objectives 6 smaller-scale spaces with a diameter of 30m in Chuncheon, and measured summer air temperatures and three-dimensional land cover to compare their relationships with results from Seoul's AWS. Linear regression models derived from data of Seoul's AWS revealed that vegetation volume, greenspace area, building volume, building area, population density, and pavement area contribut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summer air temperatures. Of these variables, vegetation and building volume indicated the highest accountability for total variability of changes in the air temperatures. Multiple regression models derived from combinations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also showed that both vegetation and building volume generated a model with the best fitness. Based on this multiple regression model, a 10% increase of vegetation volume decreased the air temperatures by approximately 0.14%, while a 10% increase of building volume raised them by 0.26%. Relationships between Chuncheon's summer air temperatures and land cover distribution for the smaller-scale spaces also disclosed that the air temperatu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vegetation volume and greenspace area, while the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hardscape area. Similarly to the case of Seoul's AWS, the air temperatures for the smaller-scale spaces decreased by 0.32% ($0.08^{\circ}C$) as vegetation volume increased by 10%, based on the most appropriate linear model. Thus, urban landscaping for the reduction of summer air temperatures requires strategies to improve vegetation volume and simultaneously to decrease building volume. For Seoul's AWS, the impact of building volume on changing the air temperatures was about 2 times greater than that of vegetation volume. Wall and rooftop greening for shading and evapotranspiration is suggested to control atmospheric heating by three-dimensional building surfaces, enlarging vegetation volume through multilayered plantings on soil surf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