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적 요소

Search Result 9,64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and R&D Support Service: Focused on the Case of NUC Electronics (산업별 혁신시스템과 R&D 지원서비스 : 엔유씨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 Kim, Yong-yu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362-38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wo factors among various affecting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e.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and R&D support service, were actually applied in the case of NUC Electronics. This company has achieved high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change of injection port and improvement of extracting rate. This was possible because each component of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system was matched with the innovation activity.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in NUC Electronics was attributable to its own innovation efforts and R&D support service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I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company could receive high-level services in areas such as product design and virtual experiments that companies can not solve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o support the shortage of SMEs was important. In terms of each component of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we found that there were many opportunities of new technology; sustainability was low; imitation was easy; appropriability was low but it has dualily; accumulation of technology was relatively high, availability of external knowledge was high. At the same time, both of the company and the net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and market conditions were very favorable. In terms of R&D support services, it is a direct effect that a great deal of time and cost savings have been achieved through virtual experiments o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crew. As an indirect effect,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mpany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by utilizing the momentum of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external support, hence the company could establish the structure of virtuous circle of innovation.

Conceptualization of an SSI-PCK Framework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 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4
    • /
    • pp.539-550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ceptualize SSI-PCK by identifying major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o promote science teachers' confidence and knowledge on teaching SSIs. To achieve this, I conducted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on teachers' perceptions on SSI, case studies of teachers addressing SSIs, SSI instructional strategies, etc. as well as PCK. Results indicate that SSI-PCK include six major components: 1) Orientation for Teaching SSI (OTS), 2)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SI (KIS), 3) Knowledge of Curriculum (KC), 4) Knowledge of Students' SSI Learning (KSL), 5) Knowledge of Assessment in SSI Learning (KAS), and 6) Knowledge of Learning Contexts (KLC). OTS refers to teachers' instructional goals and intentions for teaching SSIs. Teachers often present a) activity-driven, b) knowledge and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c) application of science in everyday life, d)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e) citizenship and f) activism orientations for teaching SSIs. KIS indicates teachers' instructional knowledge required for effective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SSI lessons. It includes a) SSI lesson design, b) utilizing progress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 constructing collaborative classroom cultures. KC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a) connection to science curriculum (horizontal/vertical) and b) connection to other subject matters. KSL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a) learner experiences in SSI learning, b) difficulties in SSI learning, and c) SSI reasoning patterns. KAS indicates teachers' knowledge on a) dimensions of SSI learning to assess, and b) methods of assessing SSI learning. Finally, KLC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the cultures of a) classrooms, b) schools, and c) community and society where they are located when teaching SSIs.

타이타늄 소재의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처리 기술

  • Kim, M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1-20.1
    • /
    • 2011
  • 타이타늄의 내부식 특성은 분해하기 어려운 산화물의 보호피막을 형성 함으로서 무독성의 생체친화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심장밸브, 인공 뼈 등 신체 조직의 이식에 사용될 만큼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의료용으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생체재료로써 의료용 타이타늄의 적용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타이타늄의 가치를 다시 한번 재고하고자 한다. 타이타늄 임플란트에서 그 표면과 골사이의 골유착(osseointegration)은 성공적인 임상결과를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1960년대에는 기계가공 된 매끈한 형태의 타이타늄 표면을 시작으로 골유착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임플란트가 점차 대중화 되면서 1980년대 부터 타이타늄 표면과 골과의 유착을 조기에 실현하고, 골유착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기술이 개발 되기 시작하였다. 크게는 1. 표면적 증대 기술, 2. 화학적 방식을 통한 표면기술, 3. 생체활성 유도형 표면기술, 4. 서방출 등을 응용한 골유도 및 활성 조절형 표면기술 등이 개발되어 제품화 되거나 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다양한 표면기술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이해함으로써 앞으로 기술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표면기술에 대한 유효성과 그에 대한 중, 장기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절차와 방법 소개를 통해 신뢰성 있는 연구개발이 될 수 있기 바란다.

  • PDF

멀티모드용 SDR 기반 디지털 IF 기술

  • 이원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9 no.11
    • /
    • pp.85-108
    • /
    • 2002
  • 향후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들의 통합 수용을 위한 SDR (Software Defined Radio) 기술이IMT-2000 이후의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핵심 기술로써 심각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SDR기반의 멀티모드용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디지털 IF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급속도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ABC/DAC 및 범용 디지털 신호처리 소자들의 고속화 및 고성능화로 인해 If (Intermediate Frequency) 대역과 기저대역 신호들 간의 직접 디지털 변환의 구현이 현실화되고 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국지적으로 상용화되고 있거나 장래에 출현할 다양한 이동 통신 시스템 규격들 및 이에 대해 사업자들에게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들이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이종 시스템 혹은 사업자들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무선 채널을 엑세스하고 또한 특정 채널을 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 If기술의 실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SDR기반 디지털 If 기술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를 요구하며, 특정 이동 통신 규격의 물리 계층만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중이동 통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유연성이 가미된 채널화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If기술은 무선 인터페이스 처리 부분, 즉 주파수 상 하향 변환 및 채별 선택 조합을 용도에 맞게 단일의 하드웨어 플렛폼 상에서 고속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하기 위한 기능을 필연적으로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SDR 기반의 기지국 및 단말기 운영 및 구생 모델을 제시하며, 디지털 If에 대한 필요성 및 동작 원리, 그리고 요소 기능들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원리 및 디지털 If와 더불어 활용 가능한 기술에 대하여 논의한다.

Performance Analysis on Coope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 Cho, Yong-rae;Woo, Chung-won;Choi,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53-685
    • /
    • 2017
  •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 출연(연)구소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력'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력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력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력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력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 PDF

바이오인식 국제표준화 동향

  • Kim, Jason
    • Review of KIISC
    • /
    • v.29 no.4
    • /
    • pp.29-34
    • /
    • 2019
  • 바이오인식기술은 사람의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음성 서명 자판 걸음걸이 등 행동적 특징(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자동화된 IT 기술로 추출 저장하여 다양한 IT 기기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기술이다.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 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 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인증, PC 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 깊숙이 자리잡게 되었다. 2001년 미국의 911 테러사건으로 인하여 전 세계 국제공항 항만 국경에서 지문 얼굴 홍채 등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출입국심사가 보편화됨과 동시에 ISO/IEC JTC1 SC37(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모바일기기에 지문 얼굴 등 바이오정보를 탑재하여 다양한 모바일 응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모바일 바이오인식 응용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개발 보급되고, 삼성전자 페이팔 중심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지급결제솔루션에 대하여 페이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등 미국 주도의 사실표준화협의체인 FIDO1), ITU-T SG17 Q9(Tele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바이오인식기술은 스마트폰을 통한 비대면 인증기술 수단으로서 핀테크, 원격의료분야에서 중요한 요소기술로 작용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인식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기구를 소개하고, 각 기구별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Safety Techniques-Based Improvement of Task Execution Process Followed by Execution Maturity-Based Risk Management in Precedent Research Stage of Defense R&D Programs (국방 선행연구단계에서 안전분석 기법에 기반한 수행프로세스의 개선 및 수행성숙도 평가를 활용한 위험 관리)

  • Choi, Se Keun;Kim, Young-Min;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89-100
    • /
    • 2018
  • The precedent study stage of defense programs is a project stage that is conducted to support the determination of an efficient acquisition method of the weapon system determined by the requirement. In this study, the FTA/FMEA technique was used in the safety analysis process to identify elements to be conducted in the precedent study stage and a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key review elements through conceptualization and tailoring was suggested. To supplement the key elements deriv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events that may arise from key elements. To accomplish this, the HAZOP technique for safety analysis in other industrial fields was used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kdy element derivation. We analyzed and modeled the execution procedure by establishing input/output information and association with the key elements of the precedent study stage derived by linking HAZOP/FTA/FMEA techniques. In addition, performance maturity was evaluated for performance of precedent study, and a risk-based response manual was generated based on inter-working information with key elements with low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eet the performance, cost, and schedule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through application of the key elements and procedures and the risk management response manual in the precedent study stage of the defense program.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

  • Yang, Seung-Kyeong;Kwon, Soon-B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
    • /
    • pp.169-1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components of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34 dental hygiene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and Jun,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from the midsection of the nation put the highest value on educational objectives, selection of what to teach and evaluation, and the studen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set the lowest value on those components. The students who took junior college courses took a better view of those components than those who took college courses.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what to teach, the students from the midsection of the nation rated it highest, and the students from the Honam area rated it lowest. And those who took college courses took a little better view of it than the students who took junior college course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the educational objective factor was rated higher in terms of vocational education, morality and ethics, and that was rated lower in terms of creativity. The selection of what to teach was rated higher in terms of learning possibility and was rated lower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and relevance. The organization of what to teach was rated highest in terms of continuity, followed by sequence and integration. The educational evaluation factor was rated higher in the area of school evaluation and was rated lowest in the area of national examinations.

Analysis of Priority Factors and Relative Importance about the Components of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Program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 Lee, Dong-Chul
    • 재활복지
    • /
    • v.20 no.4
    • /
    • pp.177-20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ystematical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by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each fact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y consisted of instructors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teachers and professional who have experiences in institutes and hospital where have operate program related to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for three times by the participants. For the decision of priorities about improvement factors, AHP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of the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consisted of six type of exercise; fitness, psychological exercise, aquatic exercise, sense & perception exercise, ambulatory exercise, and motor skills. Also, 21 sub-factors were also extracted.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priorities of factors was fitness 33.2%, aquatic exercise 20.6%, psychological exercise 16.3%, sense & perception exercise 11.7%, ambulatory exercise 10.8% and motor skills 8.6%. Also, among results from the weighted state of priority factors,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were the most importance factor which had 23.4% weighting, and meditation was the least importance factor which had 0.5% weighting.

3D 콘텐츠의 미래와 스토리텔링

  • Jeon, Hye-J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3
    • /
    • pp.17-22
    • /
    • 2010
  • 최근 들어 3D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기술적인 이슈는 물론 3D 콘텐츠의 제작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흔히들 3D 콘텐츠라고 부르는 것은 현재로선 어떤 특정한 장르나 엄정한 정의를 가진 용어라기보다는 일종의 새로운 매체기술을 위한, 매체 기준적인 콘텐츠의 분류 형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3D 콘텐츠라는 용어를 새로이 썼다고 해서 좋은 콘텐츠가 지녀야 할 근본적인 요소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매체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대중들의 가치관, 예술적 시대적 패러다임, 근본적인 인간의 생활방식까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는 회화 문화에서 사진의 등장으로, 사진에서 동영상으로, 영화에서 TV와 비디오로, 그리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중심 이동이 인간의 삶에 얼마나 큰 변화를 초래했는지만 상기해봐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3D기술이 가진 파급효과와 영향력이 어디까지인지 쉽게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언급했듯이 어떤 콘텐츠라도 결국엔 인간이 향유하리란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는 3D 콘텐츠의 제작 방향에 대해서 지나치게 매체 중심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역사적으로 언제나 인간에게 매력적이었던 콘텐츠의 기본은 변함이 없었다. 변하는 것은 오히려 매체나 기술, 하드웨어 쪽이었다. 따라서 콘텐츠를 매체에 이식하는 가변적인 내용물쯤으로 이해하는 기술중심의 사고에서, 인간이 근본적으로 원하는 이야기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가 변해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하는 콘텐츠 중심 사고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과거 많은 매체들의 역사를 통해 새로운 매체 기반에서의 콘텐츠의 모습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되짚어 보려고 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 3D 콘텐츠의 향방을 유추해 볼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