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적 문제해결

Search Result 4,99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Problem Solver'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의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 비교 분석)

  • Kim, Tae-Hoon;Rho, Tae-Che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0 no.3
    • /
    • pp.93-1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 solution of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and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have been compared in terms of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with a population of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of Engineering, C University in Daejeon. As a result, this paper can be concluded as follow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differs from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in terms of time consumed during problem solution modeling a problem solution identifying a problem cause and frequency and time consumed during evaluating a result.

사회문제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출연연 현황과 과제 : ETRI를 중심으로

  • Won,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3-753
    • /
    • 2017
  •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확대, 기술개발을 통한 실질적인 문제해결이 강조되면서 국가 사회적 문제해결과 국민생활 전반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R&D 정책과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가 사회이슈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정책적 지향을 명확히 하면서, 출연(연) 역시 기존의 경제성장 견인과 성장동력 창출 중심의 기능에서 사회문제의 선제적 해결과 공공성 확장을 위한 출연(연)의 역할 수행을 요구받고 있다. 출연(연)은 공적임무 기반을 확대함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실천방안을 제출하는 등 다양한 모색과 자생적 혁신을 꾀하고 있으나, 연구자 연구현장의 수용성 문제와 출연(연)이 갖는 여러 특성과 맞물려 기대에 부합하는 변화의 폭과 속도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출연(연)의 R&D환경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ETRI의 추진내용과 연구자 기술공급 중심의 경향성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출연(연)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략적 투자와 효율적 운영, 성과의 확산 측면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The changes of Students through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in Technology Education of Middle School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체험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변화)

  • Kim, Ji-Sook;Yi, Sang-Bong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0 no.2
    • /
    • pp.175-195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operative hands-on activity in the technology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 student who is an education consum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2 first year student of a middle school located at G City of Gyeonggi-do Province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nd group discussion based on stimulated recall questionary techniques. This study utilized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component analysis as a data analysis method, and secured the verity of the research through the examination between research participants and triangul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ork,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hands-on class in the technology subject had the meaning of 'Space between a burden and excitement about the technical making', 'Clue and ignition point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Self-discovery through Technical capability'. To be more concrete, 'Space between a burden and excitement about the technical making' means that students, whose usual school record is excellent, felt great psychological burdens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ir pre-experience and interest in 'Making' induced them to feel exhilaration of hands-on activity. 'Clue and ignition point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means that students get to make much of the understanding &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eammate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an unfamiliar hands-on activity task and to have the continuous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scovery through Technical capability' means that students ge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experience of one's own making through hands-on activity learning, which could be the opportunity to meet the operant demands of the inner side. This study hopes that such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needed for designing the hands-on activity education in the technology subject more meaningfully and systematically for the time to come.

문제해결관점에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 모형 - R&D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 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379-398
    • /
    • 1999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개념을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신제품개발 성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과 관련한 연구논문들이 그 동안 많이 있었으며, 각각의 이론들은 상호 이질적이고 다른 관점을 취해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다소의 혼란을 야기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합리적 계획, 의사소통 망, 훈련된 문제해결의 세 개의 차원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학자들은 통합모델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한 접근은 신제품 개발의 본질적 성격을 반영하는 새로운 깊이 있는 차원으로서의 모델 통합이 아니라 단순히 영향 요인들의 나열 또는 종합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R&D 팀이 본질적으로 문제해결 집단이라는 전제하에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구성원들의 문제해결 몰입과 해결안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높이기 위하여 R&D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R&D팀의 위상과 관련하여 R&D 환경 성숙도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R&D팀 성과와 관련된 연구모델은 본질적인 것을 다루면서 단순화 된 모델로서 그 동안 여러 관점에서 다루어져 온 개념들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차원에서 R&D 성과를 높이는데 개념으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제4회 세계 환경의날-한국제3회 환경전시회 성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9 no.6 s.85
    • /
    • pp.8-14
    • /
    • 1976
  •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그 해결책의 모색은 인류가 스스로의 위기를 인식하면서 더욱 고조되었고 환경문제를 "강건너 불"로 보던 우리나라도 이미 내일의 문제가 아니라 긴급한 오늘의 문제로서 받아들여 지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는 문제의 절박성은 인정하면서도 문제해결의 외연은 물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세련된 일반이론(General theory)이나 방법론적틀(Methodological framework)을 마련하지 못한채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연구만 진행하여 왔을 뿐이며 아직도 경제성장 일변도의 정책입안자에게 환경문제의 본질과 위치 그리고 해결에 유효한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더욱 심도하게 당면하게 될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마련해야 할것이다. 1974년의 「인간/환경:질서의 발견」과 1975년의 「인간/환경:문제의 발견」에 이어 이번 3번째로 열린 전시회에서는 「인간/환경:문제의 해결」이라는 주제로 문제해결의 접근방법과 해결대안에 대한 협력이 엿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서울대학교 개교 3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각계의 핵심을 모으게 했다. 다음은 인간/환경 문제와 조건의 발견 그리고 접근해결 수단을 요약한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C-PBL Applicati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교육에서 C-PBL 적용이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Joo, Dae-Seon;Lee, Soo-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79-85
    • /
    • 2006
  • 학습자가 학습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여 학습과정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신장되도록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모형에 창의성과 문제해결을 결합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 CPS)단계를 통합한 창의적 문제중심학습(Creative Problem-Based Learning : C-PBL)단계를 정보통신기술교육에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본 논문은 C-PBL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모형을 일부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udies for societal challenges and policy issues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 Song, Wich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0 no.3
    • /
    • pp.129-151
    • /
    • 2012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udies for societal challenges and policies to encourage that studies. It reviews several case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udies. Transition management, community-based research, technology assessment and social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are discussed. And it is argued that ' research'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hat studies. A couple of policy agendas enhancing that studies are suggested.

  • PDF

사회문제해결형 R&D 현황 및 특성 분석 : NTIS Data를 중심으로

  • Im, H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5-755
    • /
    • 2017
  •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이라는 국가 R&D사업의 본연의 임무에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요구가 커지고 있다.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더불어 조류 인플루엔자, 미세먼지오염 등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과학기술지식이 기여하라는 사회적 요청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산업 지원과 학문 발전을 중심으로 발전해오던 국가R&D시스템이 이제는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시스템 격상이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정부는 2012년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안)'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다(多)부처 기획을 통해 11개 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를 다(多)부처 사업으로서 2015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는 단일 부처사업으로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을 2104년부터 추진하였다. 논문이나 특허보다는 현장문제의 해결책, 솔루션 생산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현장의 사용자나 시민이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리빙랩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을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성격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형 R&D라는 이 새로운 시도가 국가R&D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NTIS data를 통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다부처 기획으로 선정되어 추진된 과제들의 특성, 즉 연구적용분야, 연구 단계 등을 분석하고 단일부처 사업으로 수행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및 유사 단일부처 사업 과제들의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수행주체, 연구방법론 등 사회문제해결형 R&D 기획에서 제시한 새로운 방법들의 수행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공분야 국가R&D 시스템의 발전 및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승용차의 진동소음 평가및 개선기법

  • 정승균
    • Journal of KSNVE
    • /
    • v.8 no.1
    • /
    • pp.3-72
    • /
    • 1998
  •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중에서 가장 고객들에게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고 중요한 문제가 차량의 정숙성이다.이러한 정숙성을 대변하는 지표중의 하나가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의 수준이다. 차량의 지노ㄷㅇ소음은 이러한 정숙성의 문제뿐아니라 승용차를 개발하는 기술력의 종합적인 평가지표로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자동차의 기술연구소에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이 분야의 기술력 향상에 매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진동소음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과거에 사용하던 소극적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과거에 사용하던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방법,- 즉 진동소음 발생 현상을 발견하여 그현상을 치유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진동소음 문제를 일으키는 진동소음원(source)을 찾아 직접 그 원인을 차단 및 치유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차량의 개발 단계에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및 여러가지 개선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를 통한 진동소음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