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기회

Search Result 1,6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xploring Technology Opportunities through Technology Intelligence: Types, the Present and an Integrated Framework (기술 인텔리전스를 활용한 기술기회탐색: 유형화, 현황, 통합체계개발을 중심으로)

  • Yoon, Byungun;Park, Inchae;Lee, Ho-Shin;Coh, Byoung-You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spc
    • /
    • pp.1073-1095
    • /
    • 2011
  • Recently, technology intelligence (TI) activities that support technological and/or market innovation have been important for many organizations to develop their competitiveness in trend of strengthening innovation-led economy. It is required to thorough understanding of TI-related activities and investigating methodology that can support these activities to facilitate technology opportunity exploration activitie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novation. Thus, this research aims at first, investigating the taxonomy of objectives, information and methodology for technology opportunity development (TOD) through literature survey, second, deriving the TOD needs and current status analysis by conducting interview with various domestic firms, and finally, proposing an integrated framework of TI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an suggest the strateg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on TOD activities and moreover,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develop a supporting system for TI.

  • PDF

Analysis of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Activities in the Korean SMEs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기회 발굴 활동 현황 연구)

  • Cho, Chanwoo;Lee, Sungjoo;Park, Young-Wo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spc
    • /
    • pp.1128-1151
    • /
    • 2011
  • With the rapid change in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create business opportunities from technology. Many leading companies have tried to improve their competence from capturing those opportunities, which is called TOD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activities in this research, by identifying emerging technologies or assessing economic and market potential of technologies. Academics have also been interested in the TOD activities bu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methodologies or guidelines for TOD. Little effort was given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OD activities, which is indispensible to develop effective methodologies for T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s of TOD activities, particularly focusing on SMEs, which are the main acto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firstly, TOD process was defined, and then, based on the process, three main activities of TOD, which include identifying the motivation of TOD, collecting information for TOD, and analyz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ctivities for TOD, were examined using a survey method.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SMEs' needs and difficulties on TOD activities.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studies on TOD and also can be used to develop a policy for SMEs.

  • PDF

창업 기회 역량에 관한 연구 - 행운 신념과 우연기술을 중심으로

  • Kim, Hong-Tae;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0-30
    • /
    • 2017
  • 성공한 창업가들이나 저명인사들에게 성공의 요인을 물어보면 운이 좋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새해가 되면 신년 운세를 보거나 중요한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을 앞두고 운세를 알아보는 사람도 많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토머스 J. 스탠리가 20년간 백만장자 733명을 분석하여 저술한 <부자들의 선택>을 보더라도, 백만장자의 12%가 자신들의 경제적 성공요인으로 '운'을 뽑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지배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행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많지 않았다. 운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운을 외부 요인으로 보고 무작위하고 통제 불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행운은 운명처럼 정해져있는 것일까? 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기회를 잘 인지하고 포착하는 것일까? 현실 속에 운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면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에 대해 과학적 탐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운은 외부 환경에 의해서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적 속성으로 운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았다. 행운에 대한 신념이 있는 사람은 우연한 사건에 대해 우연기술을 통하여 기회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행운의 신념이 우연기술의 매개역할로 창업 기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운의 신념은 기회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운의 신념은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인내성,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 중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만이 기회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넷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는 행운신념과 기회역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운에 대한 높은 신념을 갖고 우연 기술을 더 개발한다면 창업 기회 역량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신흥시장에서의 후발 국가 간의 추격과 추락 -중국에서의 우리나라와 중국의 굴삭기 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 Gwak, Gi-Ho;Baek, Seo-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3-449
    • /
    • 2017
  • 그간 다양한 제조업에서 발생한 후발국가의 '추격'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특히 최근에는 추격을 위한 기회의 창 관점에서 새로운 후발국가에 의한 추격의 반복과 그에 따른 산업 시장 주도권의 이전을 논의하기 위한 '추격 사이클' 이론이 제시되어 몇몇 산업과 시장에서 발생한 주도권 이전에 관한 실증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산업 시장 주도권 이전 현상은 이미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의 심화와 이론의 발전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실증 연구가 지속적으로 등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굴삭기 시장에서 발생한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의 주도권 이전의 원인과 그 과정을 추격 사이클 이론에서 제시한 세 가지 기회의 창, 즉 기술적 기회의 창, 수요적 기회의 창, 그리고 정책 제도적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우리나라와 중국 굴삭기 산업의 전략적 대응 간 결합을 통해 고찰하였다. 먼저 기술적 기회의 창 관점에서는 굴삭기 아키텍처의 모듈화가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기술적 지식의 장벽을 낮추고 기술 학습 속도를 높임으로써 중국 굴삭기 산업의 추격과 시장 주도권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 정부의 수요산업(건설업) 육성 정책과 핵심 부품의 수입 관세 철폐, 공용 부품 표준화 정책과 같은 정책 제도적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대응 또한 시장 주도권 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요적 기회의 창의 관점에서는 2010년 이후 미니 소형 세분시장의 급속한 확대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대응이 산업 주도권 이전에 큰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추격 사이클 이론에 대한 새로운 실증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본 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의 추격에 직면하였거나 이미 주도권을 넘겨준 우리나라의 제조업의 위기 극복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과 정책 수립의 중요한 지침으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pportunity Capturing Strategy of Venture Company in the Context of Dominant Design Competition: focused on compare with hardware and software industry (지배적 디자인 경쟁 환경에서 벤처기업의 업종별 기회포착 전략에 관한 연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산업 비교를 중심으로)

  • Moon, Ji-Yong;Ko,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2
    • /
    • pp.27-42
    • /
    • 2015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apturing opportunities for each type of venture companies in the industry undergoing competition of a dominant design and then figure out the reason why they can be successful. Existing studies on venture companies are focused on the way to enhance a firm's competencies by acquiring and combining its resources. However, it is important for startups which have a lack of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capture the opportunity to survive by understanding a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opportunity capture and strategic response to a changing environment and attempts to select and observe startup companies which are able to capture the opportunity and enter the market in the industry undergoing dominant design competition. In order to find out its dif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business, we select one case from hardware startups and the other from software start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hardware startup focuses on market extension by lowering their prices and the software startup strives to induce more users to participate by the universalization of enabling technology so as to extend and standardize their technology in the environment undergoing dominant design competition. This feature of environment leads the difference in the approach for successfully capturing opportunity and thus hardware firms need to recognize the opportunity with profit potential from relationship with a number of cooperative firms while software firms need to identify the opportunity for extension of enabling technology which can be used by many users.

  • PDF

Opportunistic Interference Management for Interfering Multiple-Access Channels (간섭 다중 접속 채널에서의 기회적 간섭 관리 기술)

  • Shin, Won-Yong;Park, Doh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B no.10
    • /
    • pp.929-937
    • /
    • 2012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ree types of opportunistic interference management strategies in multi-cell uplink networks with time-invariant channel coefficients. First, we propose two types of opportunistic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where each base station (BS) opportunistically selects a set of users who generate the minimum interference to the other BSs, and then their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degrees-of-freedom (DoF). Second, we propose a distributed opportunistic scheduling, where each BS opportunistically select a user using a scheduler designed based on two threshold, and then its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throughput scaling law. Finally, numerical evaluation is performed to verify our result.

Diagnosing ICT industry and discovering R&D opportunity through analyzing bigdata-driven value chain network (빅데이터 기반 교역활동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ICT 산업 진단 및 연구개발(R&D) 기회 발굴에 관한 연구)

  • Heo, Yoseob;Kim, Jungjoon;Yoon, Bitnari;Kang,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969-988
    • /
    • 2017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ICT산업 분야의 연구개발(R&D)는 앞으로의 국가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빠르게 변화하는 ICT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차원에서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민간차원에서는 관련 인력풀(pool)을 늘리는 등 다각화된 대처를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등 선진국들의 기술수준과 가격 경쟁력을 결코 무시할 수 없어, 우리나라의 ICT산업은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지금은 오히려 우리나라 ICT산업에 대한 명확한 진단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기술기회와 R&D기회를 발굴하는 것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발한 교역활동 프로파일 분석 시스템을 통해 ICT산업에 관련된 상품들 전체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의 ICT산업 전반을 진단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증거기반(evidence-based)의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개발 기회를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Competitive Intelligence와 경쟁 우의

  • Kim, Seung-Jin
    • Digital Contents
    • /
    • no.3 s.82
    • /
    • pp.48-53
    • /
    • 2000
  • 기업 내부의 다양한 부서처럼 Competitive Intelligence는 성과를 보여주어야 한다. Competitive Intelligence이 수행할 업무는 기업이 부딪히는 환경에 대한 꾸준한 조사. 기회 포착과 이러한 기회를 기업 내부로 확산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Competitive Intelligence 전문가가 매일 마주치는 문제에 관한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다룬다. 먼저 기회 포착에 관한 중요성을 다룬다. 기회 포착 없이 기술 개발은 경쟁 상대에게 이익을 줄뿐이다.

  • PDF

메타버스에서의 탈중앙화 자율 조직과 Web 3.0 동향 및 미래 가능성에 대한 고찰

  • Im, Tae-Beom;Kim, Dong-Hwa;Byeon, Seong-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3
    • /
    • pp.11-24
    • /
    • 2022
  • COVID-19로 급부상한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의 활동을 가상세계로 확장하여 접근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서비스 사업자들에게 현실의 자산이나 가치를 가상 공간에서 새로운 자산과 가치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창조적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는 자유도와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에게는 이를 통해 서비스의 접근성과 지속성 및 새로운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관심을 받게 되었다. 본 기고에서는 미래 메타버스 생태계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DAO와 Web 3.0 관련 동향을 점검하고 탈중앙화의 미래 가능성과 문제점을 논한다.

제조산업 종사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 Sin, Yong-Sik;Kim, Jae-Ho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69-8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중 기술과 연관성이 깊은 제조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업과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핵심요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았다. 특히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과 개인적 특성이 기회역량을 매개로 하였을 때 창업의도에 어떠한 유의미한 연관성을 설명해 줄 것인지 그리고 창업의도에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제조분야 중소기업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치산업과 관련된 제조분야 중소기업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종 통계분석과 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 중 진취성과 개인적 특성 중 하나인 내재적 통제 요인이 반복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는 실제 창업 이전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혁신성 또한 창업 전, 후로 구분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핵심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중 진취성을 제외한 요인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특성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내재적 통제, 모호성에 대한 인내 중 내재적 통제 요인만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기회역량의 하위변수인 기회인식과 평가는 모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하위요인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기회역량의 매개 여부를 조사하였는데, 진취성과 내재적 통제 요인이 기각되었으며, 혁신성은 기회역량 중 기회인식만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창업의도를 조절하는데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은 실제로 창업이 일어나는 전, 후로 구분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조분야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