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 자료

Search Result 4,03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기상재해가 수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Jiyoung;Byun, Sung ho;Yoo, Jiyoung;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1
    • /
    • pp.33-41
    • /
    • 2023
  • Recently, global warming has accelerated climate change, increased extreme weather phenomena, and increase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weather disasters, leading to increasing uncertainty about the power produc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at is sensitive to weather. In fact, it has been reported that a number of damage to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have occurred due to weather disasters. Therefore, us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data of Chungju Dam, meteorological data of Chungju Meteorological Observatory, and operation data of Chungju D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sidering the number and intensit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per mon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reased drought occurrence affected the decrease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by about 38.3 %, however the increase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could not explained by the increased flood occurrence. In conclusion, an increased drought occurrence in future may significantly influenc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GIS-RS Techniques Applied to Ecological Climatology (공간정보기술의 생태기후학적 활용)

  • 윤진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3.09a
    • /
    • pp.91-96
    • /
    • 2003
  • 생태/농업모형의 적용범위는 대체로 기후, 토양 등 환경조건이 동일한 실험포장이거나 한 개 기상관측소가 대표할 수 있는 지역으로 제한되므로, 넓은 지역에 걸쳐 생태계 반응의 공간변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의 결합이 불가피하다. GIS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토양조사 및 기상관측자료로부터 규칙적인 격자단위의 자료평면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들을 공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준다.(중략)

  • PDF

The effect of mass inconsistency of meteorological data on air quality modeling (기상장의 Mass Inconsistency가 대기오염 수치모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이상미;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6-159
    • /
    • 1999
  • 역사적으로 악명 높은 대기오염 사고인 뮤즈 계곡(Meuse valley; 1930년 벨기에), 도노라(Donora; 1948년 미국), 런던(London; 1952년 영국)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기오염은 기상 상황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대기오염 모델링에서도 사용된 기상 자료의 정확도가 대기오염 수치모의의 신뢰도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기상 자료 중 바람장은 대기오염 물질의 이류 및 확산을, 온ㆍ습도장은 광화학 반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중략)

  • PDF

Extraction of Snowmelt Factors using Satellite images and Meteorological data (위성영상 및 기상자료를 이용한 융설 관련 매개변수 추출)

  • Kang, Su-Man;Shin, Hyung-Jin;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80-1984
    • /
    • 2006
  • 융설 모형을 이용하여 융설 기간 동안의 하천유출량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융설 관련 매개변수의 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적설분포, 적설심, 적설면적감소곡선과 같은 융설 관련 매개변수의 추출이 불가능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의 겨울철(11월-4월) NOAA/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적설분포도를 추출하고 기상청의 69개소 유인지상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중 최심적설심 자료로서 공간내삽법을 통하여 동일한 기간의 최심적설심 분포도를 작성한 후 적설분포도와 중첩하여 남한의 적설심 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적설면적감소곡선은 소양강댐과 충주댐 유역으로 대상으로 평균기온과 적설면적과의 상관관계로부터 각 연도별 선형회귀식을 추출하여 적설면적감소곡선을 작성하였다.

  • PDF

Extraction of Snowmelt Factors using Satellite images and Meteorological data (위성영상 및 기상자료를 이용한 융설 관련 매개변수 추출)

  • Kang Su-Man;Shin Hyung-Jin;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1-35
    • /
    • 2006
  • 융설 모형을 이용하여 융설 기간 동안의 하천유출량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융설 관련 매개변수의 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적설분포, 적설심, 적설면적감소곡선과 같은 융설 관련 매개변수의 추출이 불가능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의 겨울철(11월-4월) NOAA/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적설분포도를 추출하고 기상청의 69개소 유인지상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중 최심적설심 자료로서 공간내삽법을 통하여 동일한 기간의 최심적설심 분포도를 작성한 후 적설분포도와 중첩하여 남한의 적설심 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적설면적감소곡선은 소양강댐과 충주댐 유역으로 대상으로 평균기온과 적설면적과의 상관관계로부터 각 연도별 선형회귀식을 추출하여 적설면적감소곡선을 작성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Quality Control Algorithm for Highland Cabbage (고랭지배추 생육을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 Cho, Changje;Hwang, Guenbo;Yoon, Sangh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4
    • /
    • pp.337-347
    • /
    • 2018
  • Weather causes much of the risk of agricultural activity. For efficient farming, we need to use weather information. Modern agriculture has been developed to create high added value through convergence with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is study deals with the quality control algorithms of weather monitoring equipment through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observational equipment for efficient cultivation of cabbage. Accurate weather observations are important. To achieve this goal,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developed various quality control algorithms to determine regularity of the observation. The research data of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five USN stations, which were installed in Anbandegi and Gwinemi from 2015 to 2017. Quality control algorithms were developed for flat line check, temporal outliers check, time series consistency check and spatial outliers check. Finally, the quality control algorithms proposed in this study can also identify potential abnormal observa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eather data.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efficient management of highland cabbage production by providing quality-controlled weather data.

Analysis of Climate Change using Stochastical Methods (based on precipitation data)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기후 변화 분석 (강우량 중심))

  • Jeong, Chang-Sam;Sim, Jae-Hyeon;Kim, Mun-Mo;Heo, Jun-Haeng;Yeo, Un-G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01-1006
    • /
    • 2008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어지고 있다. 현 과학 기술에서 이러한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첫 번째가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가 과거 자료를 이용한 통계적 기법을 통해 매래의 상황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들 가운데 현재 기상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기법은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기상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수치모형인 GCM(Global Climate Model 혹은 General Circulation Model)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모형을 이용한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며, 모의를 위해 설정되는 입력자료와 초기 조건들, 각종 가정 사항들, 모형의 구조,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어 아직까지 직접적인 활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달리 통계적 기법의 경우 비교적 용이하게 분석이 가능하며,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다양한 수문 및 기상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미래의 기후변화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량 자료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기법은 먼저 국내 기상청 관측 지점들을 중심으로 강우의 경향성과 변동성을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라 국내 지점들의 강우량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보았다. 또한 2000년을 기점으로 과거 자료와 최근의 자료를 이용한 2개의 자료군들에 대해 각각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동일 지점들에 대한 설계강우량의 변화 추이도 분석하였다.

  • PDF

Availability of AWS data from KMA for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을 위한 기상청 AWS 자료의 활용성 평가)

  • Lee, Byong-Ju;Chang, Ki-Ho;Choi, Young-Je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31-131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의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구조적 대책뿐만 아니라 홍수예측시스템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에도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 홍수예측을 위해서는 예측강우의 정확도가 중요하게 부각되지만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서는 수 시간의 지체시간 효과로 인해 AWS 실황강우만으로도 어느정도 선행시간에 대해서 하천유량예측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AWS 실황강우를 이용하여 하천유량을 예측할 경우 어느정도 선행시간과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시단위 강우자료와 기상자료는 각각 AWS와 ASOS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하천유량 모의를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는 SURF 모델(Sejong University River Forecast Model)을 이용하였다. 이 모형은 저류함수모형 기반의 연속형 강우-유출모형으로 미래에 대한 유출모의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앙상블 칼만필터링 기법을 연계한 모형이다. 그림 1은 충주댐유역에 대해서 2009.7.8~17일(240시간)에 대해서 관측유량 자료동화 전후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현시점을 100, 105, 110, 115시간으로 가정하고 미래기간에 대해서는 관측강우를 0으로 가정했을 때 대략 첨두유량 발생 5시간 전에 예측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황강우와 관측유량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할 경우 수 시간의 선행시간에 대해서 유량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