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요소 간의 남녀차이 영향연구: 연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Components of Love: Focusing on lovers)

  • 김병훈;정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29-540
    • /
    • 2021
  • 본 연구는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 요소 간의 남녀 차이 검증이다. 연구의 필요성은 욕구와 사랑의 관련성을 검증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다. 연구목적은 연인갈등과 사랑증진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미혼 연인 193쌍 총 3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와 사랑의 구성 요소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한 통계분석으로 t검증과 상관분석,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에서 관계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유의미(t=-3.528, p<.01)하게 더 높게 나왔고, 사랑의 구성요소에서 열정과 헌신은 여성보다 남성이 유의미(t=3.588, p<.001)하게 더 높게 나왔다. 그리고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에서 남성은 기본 심리적 욕구의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기본 심리적 욕구의 중요성 중 관계성, 유능성만이 사랑의 요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이 사랑의 요소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성의 관계성 욕구는 사랑의 요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의 자율성 욕구는 사랑의 구성요소 중에 열정과 헌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관계성 욕구가 사랑의 구성요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은 남성과는 다르게 자율성 욕구는 사랑의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연인의 기본 심리적 욕구는 사랑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변인들 간의 관계는 남녀차이를 보였다. 연인이 갈등이 생길 때 서로 다른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을 이해하고 충족된다면 갈등해소와 사랑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될 것이다.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 정구철;김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97-40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청소년들은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중국 청소년들은 유능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와 투지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본심리욕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한국 청소년들이 중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가 투지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투지의 매개효과는 중국 청소년들이 한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투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유능성 증진과 중국 청소년들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접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게임 이용 행동 군집분류: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을 중심으로 (Game Use Behaviors 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tress, Satisfaction and Bala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 조의혁;장성호;신성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58-56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 이용 대학생을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균형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나뉘어진 군집에 따라 게임 이용 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훈장학회의 도움을 받아 게임 이용 대학생 44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게임 이용 대학생은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네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기본심리욕구 만족 정도에 따라 인터넷 게임장애 수준에 차이가 있고,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본심리욕구가 만족 수준이 비슷할 때 균형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장애 수준이 낮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만족뿐 아니라 만족된 균형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의 유형에 따라 게임 이용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생리심리적 관점과 맥을 같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