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본적 요소

Search Result 2,61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Identification of Visual Primitives for Object Tracking in Image Sequence (동영상에서 물체 추적을 위한 시각적 기본 요소의 동일성 판단)

  • Jang, Se-In;Park, Choong-Shik;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285-288
    • /
    • 2009
  • 동영상에서 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은 각 방법마다 다양한 요소들을 이용한다. 하지만 다양한 요소들은 그 관계를 명확히 나타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에서 물체 추적을 위해 시각적 기본 요소의 동일성을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적 기본 요소란 이미지에서 얻을 수 있는 순수한 시각적 기본 요소들인 색상, 명암, 윤곽선 정보를 말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된 프레임을 비교해 동일한 물체인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판단된 정보를 가지고 추적에 사용되는 요소들의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대상을 모델 없이 추적하고 인식 과정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 PDF

Acoustic Analysis and Desigen of Exhaust Mufflers III (배기소음기의 음향해석 및 설계 III)

  • 이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7 no.1
    • /
    • pp.20-30
    • /
    • 1995
  • 제1부에서는 소음기를 구성하는 각종 기본요소의 구조에 따른 음향성능의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고, 제2부에서는 소음기의 음향특성을 해석할 때 쓰이는 각종 성능지수의 정의와 계산상 처리방법에 관하여 토론을 하였다. 본 3부에서는 선형음향해석시에 관련된 각 요소당 관련변수에 대해 알아보고, 소음계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원용설계가 일반적으로 적극 수용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이를 이해하기 위한 음향해석의 기본원리를 토론하고, 개념설계시에 사용되는 기본요소들의 기초적 특성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1. 선형 음향해석. 1.1 일반적 가정. 1.2 선형모델에 포함된 소음계 요소의 기하학적 변수. 1.3 각 소음계 요소의 전달 매트릭스. 2. 가장 기초적인 일반 설계 지침.

  • PDF

A Study on the Guideline of Interaction Style for Touch-screen based Mobile Phone (터치스크린 인터랙션 스타일 가이드라인을 위한 연구)

  • Lee, Jong-Hoon;Lee, Yun-Suk;Lee, Ja-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262-267
    • /
    • 2008
  • 애플의 iPhone 및 LG 의 프라다 폰 등을 기정으로 국내, 국외 제조사들은 전연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다양한 모바일 폰을 출시 또는 출시를 앞두고 있다. 모바일 폰에 적용되는 전면 터치 스크린은 4-방향키 기반의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의 제한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하고 진보된 스타일익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이런 장점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많은 학습을 요구하게 되며, 다른 제조사에서 제작된 하드웨어로 바꿀 때마다 또 다른 인터랙션 스타일을 학습하고 적응해야 하는 불편을 야기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면 터치 스크린 기반의 모바일 폰에 적용할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인터랙션 스타일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출시된 터치 스크린이 일부 적용된 단말을 검토하여 기본적인 인터랙션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해당 요소에 적합한 인터랙션 스타일을 선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본 인터랙션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인터랙션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제조사악 전면 터치 스크린 기반의 모바일 폰을 사용함에 있어 기본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일관되고 예측이 가능한 사용 경험을 제공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Flow by Adaptive Meshing Technique (적응적 요소망을 이용한 흐름의 유한요소 해석)

  • Jang, Hyung-Sang;Kim, Eu-Gene;Goh, Tae-Jin;Kim, D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21-1725
    • /
    • 2006
  • 유한요소법으로 공학적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 적절한 모델링을 통하여 가장 빠르고 정확한 해를 얻도록 해야 한다. 유체 흐름의 기본 변수인 속도는 그 공간 도함수가 요소간에 불연속을 이루게 된다. 속도의 공간 도함수는 기본적으로 유체에서의 응력, 압력, 및 와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요소간의 속도의 공간 도함수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의 크기는 요소망이 세분화되어 감에 따라 감소하면서 정확한 해에 수렴하게 된다. 즉 속도의 공간 도함수를 대상으로 오차에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기존의 유한요소 모델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PDF

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rough a didactical analysis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교수학적 분석에 기반을 둔 지도방안의 탐색)

  • Kim, Sung-Ock;Chung, Soo-Young;Kwon, Oh-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4
    • /
    • pp.891-907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rom the historical, mathematical, and instructional perspective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연구개발의 제문제

  • Lee, Hae
    • Journal of the KSME
    • /
    • v.24 no.6
    • /
    • pp.412-414
    • /
    • 1984
  •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재화 곧 원구비와 인력인 연구원의 확보가 1차적인 요소임에는 분명하지\ulcorner, 이 기본적인 두 개의 투입요소는 양적으로는 한정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므로 연구를 통하여 얻고자하는 질적인 성과를 유도하는 데에는 중요한 여러 투입요소를 변수로 한다. 일정한 연구비와 연구인력을 확보하고 이ㅆ는 상태에서는 이러한 부가되는 요소들이 실제로는 연구의 결과를 결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현실과 결부하여 이와 관련되는 몇가지 중요한 사 항들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model order reduction for frequency dependent system (가진 주파수에 종속적인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모델축소법 개발)

  • Yoon, Gil-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85-6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음향 가진에 따른 음향 응답을 유한 요소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 축소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유한 요소법을 통한 기계구조물의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음향 방정식의 강성 및 행렬을 구한 뒤 이들의 조합을 통한 동적 강성행렬을 구한 뒤 역행렬을 구하여 다양한 주파수 응답을 구하게 된다. 현재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과 소프트 웨어의 발전에 의하여 더 많은 유한 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더욱 정확하고 넓은 대역의 음향 응답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주 복잡한 구조물의 음향 응답을 구하기 위하여 유한 요소를 무한정으로 증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모델 축소법(Model order reduction) 기법을 사용한다. 이 모델 축소법은 기본적으로 전체 행렬을 아주 작지만 효율적인 작은 행렬로 바꾸어 응답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mode superposition method, ritz vector method, quasi-static ritz vector method등이 있다. 기존의 모델 축소법은 기본적으로 질량 및 강성행렬이 가진 주파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행렬이라 가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경계조건이나 다공성 재료를 모델링할 경우 가진 주파수에 영향을 받는 강성행렬과 질량행렬이 만들어지게 되어 기존의 모델 축소법은 효과적이지 못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Quasi-static ritz vector method의 기본적인 개념을 확장하여 여러 개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에서 기저를 계산하고 이를 동시에 이용하는 Multi-frequency quasi-static ritz vector method를 제안한다.

  • PDF

유한요소법과 기초공학

  • 김용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4 no.2
    • /
    • pp.5-8
    • /
    • 1991
  • 유한요소법의 도입과 Computer 산업의 발전으로 그동안 정확한 이론적 해석에만 의존하던 많은 구조해석 문제들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근사해를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유한요소법 S/W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조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채 범용 유한요소법 S/W를 이용함으로써 구조분야에 오랜 경험을 가진 사람들 마저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종종 오류를 범하는 사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유한요소법 S/W 이용에 유의해야 한다. 유한요소법의 발전은 그동안 구조해석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기초공학 분야에도 많은 도움을 주어 요즘 이 분야에서의 유한요소법 이용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기초공학 분야에 필요한 유한요소법의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Beam Transition Element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Transition Regions of Coupled Wall Structures (병렬전단벽 구조물의 변화부분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보-변환요소의 개발)

  • 김호수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8 no.2
    • /
    • pp.85-93
    • /
    • 1995
  • This study presents the formulation of beam transition elements and transition zone elements for the effectiv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transition regions of coupled wall structures. Beam transition element can be described as the quasi beam element which is replaced by an equivalent plane stress element, keeping equally, the basic behavior of beam element, based on the kinematic and force constraints between beam and wall element. These beam transition elements solve the incompatibility related to different degrees of freedom between beam and wall element in transition regions. Also, the stiffness matrices of transition zone element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 beam transition elements in transition regions can be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straint conditions. These elements provide the reasonable mesh grading schemes for transition regions and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transition regions of all structures that the interactions of wall and beam element are considered.

  • PDF

Analysis of Changing Aspect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Japanese Textbooks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 변화 양상 분석)

  • Park, S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492-501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track down on changes in the way Korean culture was covered in Japanese textbook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ince the 1980s by reviewing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geolog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hich are two compulsory subjects in Japanese schools where Korean cultures is the most often mentioned. To that end, Korean culture contents mentioned in the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 unique element and element that reflect the times, each of which was then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 modern and surface & in-depth so as to see how each of the categories was presented. Japanese textbooks mentioned mostly surface and basic elements of Korean culture relat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such as Hanbok, Kimchi, Ondol, high-rise apartment and table manners, and also landscape of Seoul. Also, the kinds of contents which constantly appeared in the textbook were mostly basic elements includ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Elements that reflect the times such as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and the Korean Wave were adequately covered as part of chronological explanations in the books. The aspect of Korean culture in Japanese textbooks seems to expand in depth and scope over the years. More recently, detailed explanations and visual images were increasingly used to introduce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