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심리욕구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University Students)

  • 권명순;이보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0-55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degree of adaptation to their university life,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in 2017 for 235 university freshm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living in the dormitory or other places rather than living with family and satisfying in family life [ED highlight - please clarify this, I cannot infer your intended meaning; however, this text can likely be deleted.] adapted easily to university life. Moreov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equentl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residence typ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martphone addic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university lif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programs that can meet basic psychological needs or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to help university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

기본심리욕구와 facebook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acebook addiction and Continuance)

  • 주영주;정애경;강정진;이민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3-191
    • /
    • 2016
  •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SNS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SNS의 사용이 과해짐에 따라 SNS 중독이라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SNS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사용자가 SNS를 떠나는 것 역시 문제로 떠올랐다. 이와 같이 SNS의 중독 및 지속사용 모두 SNS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심리욕구를 원인 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acebook 사용자 20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자율성 및 유능성은 Facebook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Facebook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자녀 돌봄경험이 조부와 조모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andchild Care Experience on Psychological Health for Grandfather and Grandmother)

  • 백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63-375
    • /
    • 2018
  • 본 연구는 조부와 조모의 손자녀 돌봄경험과 심리적 건강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손자녀 돌봄 경험이 조부와 조모의 심리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맞벌이 성인자녀의 만 3세~5세의 취학 전 아동을 돌보는 조부모를 편의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3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조부가 조모에 비해 돌봄경험에 있어 기본적 욕구충족역할, 적극적 부모역할, 교육적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생산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와 조모 모두 돌봄경험 중 사회적 정서지원역할과 교육적 역할을 많이 수행할수록 생산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모의 경우에 기본적 욕구충족역할과 사회적 정서지원역할을 많이 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부의 경우 4가지 돌봄역할이 각각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부모의 심리적 건강을 높이기 위한 제도 및 정책 마련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the Exercise Participant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90-498
    • /
    • 2016
  • 본 연구는 운동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4년 J도의 시지역에서 운동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7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수된 설문지는 Windows용 SPSS version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영향력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참여자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기본 심리욕구 만족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자의 유능성, 자율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과 전략적인 지도활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학업반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심리적 영향요인 분석: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Analyses of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Academic Hatred: Focusing on the Senior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s)

  • 이민영;엄정호;이경주;이상은;이상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89-110
    • /
    • 2019
  • 본 연구는 학업반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보호 및 위험요인으로서 학습자개인, 부모, 교우, 교사 관련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인천, 경기 소재 8개 고교에 재학 중인 수능 1개월 전 고등학교 3학년생 총 1,015명(여학생 57.3%)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및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 결과, 교사학업압력은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교사자율성지지, 교사지지, 교우지지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외의 모든 변인은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학습자 개인의 유능성과 자율성, 부모의 학업적지지 및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학업반감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부모학업압력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우지지는 교사요인 투입시부터 유의한 영향력을 잃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습자개인의 기본심리적욕구 투입시 교사의 자율성지지 효과는 사라지고 교사지지의 영향력만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존 연구들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학업반감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여 향후 학업반감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한계 및 학교상담에서의 개입전략과 관련한 함의점, 후속 연구에서의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에이즈 상담요원 양성을 위한 교육

  • 조인재
    • 레드리본
    • /
    • 통권16호
    • /
    • pp.10-13
    • /
    • 1997
  • 상담은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의 평화를 얻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에이즈 상담은 에이즈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를 지닌 피상담자와 자신이 에이즈에 감염되었을 지도 모른다는 심리적 고통 속에 있는 피상담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도움을 줌으로써 이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상담과정을 통해서 정확한 정보를 주고 에이즈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함으로써 에이즈 예방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 에이즈상담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에이즈 상담요원 양성을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피상담자가 상담하고자 하는 내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이해서는 어떤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관련 기관에서 실시했던 에이즈교육 및 전문상담과정 현황을 소개하고 끝으로 발표자가 생각하는 에이즈 상담교육 내용 안을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게임 전환 비용의 결정 요인: 모바일 게임 사용자의 기본적 심리 욕구 충족 차이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erceptual switching costs for digital game: focused on the different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 김영범;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1-139
    • /
    • 2020
  • 게이머들은 현재 게임이 재미에 싫증을 느끼거나 더 재미있는 새로운 게임을 만나면 이로 전환한다. 소비자의 게임 전환 비용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자신들의 현재 게임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현재 게임에 대한 만족 정도를 자기 결정 이론에서의 세 가지 차원의 욕구 충족 정도로 측정하며 이들이 각각 학습(learning), 연속(continuity), 그리고 매몰(sunk) 전환 비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한다. 국내 모바일 게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 게임 이용자들의 자율성과 관계성 충족은 학습 비용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효능성 충족은 음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욕구 충족과 인지적 전환 비용의 관계는 게이머의 연령과 선호하는 게임 장르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게이머들의 다양한 전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간호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tonomy, Competency, Relatedness on Burnout among Nurses)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91-50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3년 10월 25일부터 11월 25일까지 6개 종합병원의 16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 수집방법은 자가 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소진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유무, 종교, 교육정도, 근무부서, 경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진과 기본심리욕구(r=-.59, P<.001)의 하위 변수인 자율성(r=-.45, P<.001), 유능감(r=-.52, P<.001), 관계성(r=-.49, P<.001)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간호사의 소진에 대하여 자율성(${\beta}=-.26$), 유능감(${\beta}=-.30$), 관계성(${\beta}=-.12$), 연령(${\beta}=-.17$), 경력(${\beta}=.09$)은 34.3%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수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남자 예비조종사의 코로나-19 시기 경험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기본 심리적 욕구, 그릿 연구 (A Study on Male Pilot Candidates'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by Experiencing COVID-19 Period)

  • 최진;김정운;신승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7-6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le pilot candidates'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by experiencing COVID-19 period for pilot literacy education. Participants were 1,249 male pilot candidates (COVID-19 before 613, during 636)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otally 29 question's questionnaire at April 2018 and 2022. Statistical treatment was processed (by SPSS 21.0 for windows) as descriptive and two-way ANOVA for analyzing variables' interaction and main effect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rocessed for analyzing each variable's relation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each variables'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y was set as p<.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showed significances (p<.05~.01) by COVID-19 except lif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Second, correlations showed higher R2 value in 2018 than 2022 and significances (p<.05~.01) among all variables, but, passion of grit need to be inspected in subsequent study. Third, multiple regressions showed significancies (p<.05) in all variables in 2018, but, relatedness was excluded in 2022. In conclusion, experiencing COVID-19 period affected pilot candidates' life and it need to be inspected the degree of effect of variables in subsequent study.

인터넷게임장애 환자들의 내재동기 저하와 기본심리욕구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Intrinsic Motiv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in Internet Gaming Disorder)

  • 김민경;정영훈;신유빈;김병훈;김은주;김재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2호
    • /
    • pp.52-58
    • /
    • 2017
  •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various social problems have been emerging, and one of them is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ow internal motivation was present in IGD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internal motivation. Twenty-one individuals with IGD and 21 healthy controls performed a 'motivation task' in which the avatar in virtual reality asked whether they would accept an activity in two conditions stimulating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 The task performanc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was correlated with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scores.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acceptance rate of the proposal in the intrinsic motivation condition than controls, and this intrinsic motivated tendency was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i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with other substance use disorders, IGD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internal motivation, which was related to the dis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