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본교육

Search Result 2,60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damental Act of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교육기본법 비교분석)

  • Jeong, Kioh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3
    • /
    • pp.161-18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Korea's Education Foundation Act and Japan's Education Foundation Act in a comparative way. The frame of comparison consists of three dimension: syntax analysis, way of legal conceptualization, and the educational climate and institutionaliz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1. Legal subjectives are clear in Korea but not clear in Japan 2. Civil relationship rules Korean education while public legal order rules Japanese education. 3. Partnership rules Korean education while administrative initiative rules Japanese education. 4. Curricular mandate is given to teachers in Korean education while to administrative hierarchy in Japanese education. 5. Public nature of schools means public credential in Korean education while public monopoly in Japanese education. 6. Professionalism is adopted for Korean teachers while missionary perspective adopted for Japanese teachers. 7. Korean education is expected to be secular while Japanese education is expected to reconcile with the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in Japan 8. Develop education still strongly orients the Korean education whil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Japanese education In summary, civil law frame is adopted in Korean education while in Japan public law frame is adopted in legalizing their Education Foundation Act. National climate influenced the education legislation in the two countries. Japan has strong missionary climate while Korea has secular perspective to education. Thess differences colored the way of literary expression in the legal text of the Education Foundation Act in the two countries.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Foundations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인식)

  • Park, Mangoo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3
    • /
    • pp.399-4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학습에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다. 모든 국가의 경제나 교육에 있어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 동안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기본 및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필요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중요한 것으로 강조를 하고 있으나 수학과의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강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지도하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기본 및 창의성을 신장을 돕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풍부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Basic Concept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Estimation by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and the Quest for Reformation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 이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281-293
    • /
    • 1999
  • 이 연구는 개념 및 개념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해 보고, 기존의 지리교육 기본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여 현장 교사들의 기본 개념 인식과 비교한 후, 향후의 지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의 개념은 지리적 현상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괄적인 관념으로서 관련 지식들을 인지구조 속에 붙들어 매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장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기본개념은 인간-자연관계, 입지, 지역, 지도화, 지역적 차이, 문화 등이며, 이는 전통지역지리학에서 강조되어 온 개념들이다. 반면에 지역적 결합, 공간 및 공간관계, 장소, 지구사회, 이동 등의 개념은 교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무차별적으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는 다른 것이며, 이에 맞춰 지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주)에리트퍼니처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1 s.343
    • /
    • pp.46-49
    • /
    • 2005
  • 선진국은 왜 선진국일까? 라는 질문에 우리는 흔히 경제력과 국력이라고 답변한다. 그러나 이것은 통상적인 개념이며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진실한 과정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선 진국이 있기까지 선진교육을 받은 선진국민이 있어 가능한 것이다. 이렇듯 선진국민을 위한 선진국가의 기초의 초석을 다지는 곳은 바로 국민을 양성하는 학교이다. 이렇듯 학교는 선진국민의 기본교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8세에서 19세까지 기본교육을 가르치고 있다. 기본교육을 받는 동안 학생의 모든 생활은 교실이라는 하나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때 책상과 의자와 같은 기초제품은 학생의 학습능력을 높여주는 동시에 학업성취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주)에리트퍼니처는 그 동안 교구, 출입문, 책, 걸상을개발하였던 경험을 토대로 우수한 제품을 제작하여 많은 학교에 공급하고 있다.

  • PDF

중국의 "두 가지 기본" 수학교수법과 개방형 문제해결 기법

  • Zhang, Dianzhou;Dai, Zaiping;Lee, Gang-Seop;Cha, Sang-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21
    • /
    • 2004
  • 중국의 수학교육에서는 두 가지 기본, 즉 기본지식과 기본기술을 주창하는 전통이 있다. 이러한 전통의 직접적인 결과는, 중국 학생들이 국제수학시험(예를 들어 1989년도의 IAEP)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둘 수 있는 능력을 갖추거나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빼어난 성적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이 강연에서, 중국 교사들이 "두 가지 기본"을 왜 그리고 어떻게 가르치는가와, 그들의 "두 가지 기본"을 학생의 창의성과 어떻게 결합시키는가를 보일 것이다. 개방형 문제해결 기법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이 강연에서 생각할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문화적 배경; 계산속도; "연습이 완전함을 만든다"라는 가설; 교실에서의 효율성; "두 가지 기본"과 개인적 성장 사이의 균형. 특히, 중국의 수학 교육자는 개방형 문제해결 기법과 "두 가지 기본" 초석 사이의 연결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 PDF

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rough a didactical analysis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교수학적 분석에 기반을 둔 지도방안의 탐색)

  • Kim, Sung-Ock;Chung, Soo-Young;Kwon, Oh-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4
    • /
    • pp.891-907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rom the historical, mathematical, and instructional perspective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e Learning Outcome of the Gen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기본소양과목의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 Kang So-Yeon;Choi Keum-Ji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9 no.1
    • /
    • pp.75-88
    • /
    • 2006
  • This paper reviews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engineering colleges which are accredited or prepare to be accredited in Korea. And it researches the relation of the learning outcome of general education and course assessment. Most of engineering colleges usually operate core curriculum. They provided engineering students few specific general education courses if anything. Engineering students evaluated the outcome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less than major co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engineer like as the management for engineering students or leadership program Also the faculties teaching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need to develop new learning method and materials, which help students to achieve soft skills.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Lee, Ji-Min;Paek, Kyung-Sh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4927-493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S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tention period. The participants were 70 middle school students in D와 Y middle school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6th July to 26th November in 2012. Students were tested for their knowledge, attitude before, immediately after, 8 weeks after, 16 weeks after BLS eduction.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x^2$-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using SPSS/PC 21.0 statistical program. Knowledge, attitude, perform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Knowledge and attitude 8 weeks after, and perform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8 weeks after. And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were significant decreased among groups. Therefore, to maintain the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of BLS, appropriate renewal time are necessary in regular school health curriculum.

Study on the Vis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and S&T Informatization Fundamental Plans - Focu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교육과학기술정보화기본계획의 비전과 전략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분야를 중심으로 -)

  • Kim, sang-kuk;Choi, byeong-seon;Lee, My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1-172
    •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는 정보화 시대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은 '교육과학기술 정보화 5개년(2010~2014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교육과학기술정보화 기본계획은 1996년 이후 교육과 연구개발 분야가 별개 추진되던 정보화 계획이 통합됨으로써 교육과 과학기술 정보화 융합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KISTI는 과학기술 정보화 대표기관으로서 교육과학기술정보화 기본계획 수립에 참여 하였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중심으로 기본계획을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효과)

  • Chae, Yeo-Joo;Ha, Yeo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285-29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knowledg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cusing on endotracheal suctioning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for nursing school students. Subjects consisted of 54 sophomore nursing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n=27) and a control group(n=27). The education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to smartphone and individual formative feedback was provided to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The traditional method with self-directed practice for 4 hours was offered to a control group. The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was effective in promoting knowledg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our result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