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름가자미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자어의 형태 비교 (Comparative Morphology of Tanakius kitaharae and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Larvae)

  • 장서하;정경미;박정호;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4-174
    • /
    • 2016
  • 가자미과 (Pleuronectidae)에 속하는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는 성어기 뿐만 아니라 초기생활기에도 외형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오동정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종의 자어 시기의 형태발달과정을 상세히 비교하여 종 동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4~2016년 동안 동해, 남해 및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갈가자미 자어 58개체 및 기름가자미 자어 5개체를 대상으로 분자동정 및 형태 비교를 수행하였다. 갈가자미의 중기자어 (10.23~16.77 mm total length, TL)와 기름가자미의 중기자어 (14.33 mm TL)는 계측값에서 중복되나 지느러미 가장자리 흑색소포의 유무 (갈가자미는 있음 vs. 기름가자미는 없음)와 견대 뒤쪽 흑색소포열의 유무 (갈가자미는 없음 vs. 기름가자미는 있음)에서 구분되었다. 갈가자미의 후기자어 (17.12~24.92 mm TL)와 기름가자미의 후기자어 (27.71~42.67 mm TL)는 계측값에서 잘 구분되었으며, 나아가 꼬리 측면 중앙부 흑색소포군의 개수 (갈가자미는 2개 vs. 기름가자미는 5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담기골의 흑색 소포 형태 (갈가자미는 5~6개의 흑색소포군이 등간격으로 분포 vs. 기름가자미는 담기골 기부를 따라 점모양 흑색소포가 불규칙하게 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가자미 자어는 전장 23.13~24.92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는 반면 기름가자미 자어는 전장 38.66~42.67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지 못하여 변태시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2년 동해 울진과 후포 연안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in the East Sea of Korea in 2002)

  • 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7-197
    • /
    • 2011
  • 울진과 후포 연안의 수심 20~50m에서 2002년 계절별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체장조성 분석하였다. 울진 연안에서는 총 20종, 1,927마리, 53,969g의 어류가, 후포 연안에서는 총 23종, 2,762마리, 146,550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두 조사 지역 모두에서 물메기(Liparis tessellatus),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와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가 우점하였으며, 이 3종이 울진 연안 채집 개체수의 70.9%와 생체량의 83.8%를 차지하였고, 후포 연안에서는 각각 90.3%와 70.9%를 차지하였다. 동해 중부 연안에서 정치망이나 자망에는 회유성 부어류들이 주로 채집되어 계절에 다른 변동 폭이 켰으나, 울진-후포 연안의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는 정착성 저어류들이 전 계절에 우점도가 높아 계절변동이 뚜렷하지 않았다. 우점종인 기름가자미와 용가자미는 약 2~3세어가 주를 이루었으며, 수심에 따른 크기분포에 의하면 이 어류는 자라면서 대륙붕의 수심이 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의 군성숙도와 주 산란기 (Sexual Group Maturity and Main Spawning Period of Glyptocephalus stelleri (Teleostei: Pleuronectidae))

  • 신소령;김현진;오한영;이정식;송혜진;김재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4
    • /
    • 2022
  • 연구는 기름가자미의 성비, 군성숙도 및 주 산란기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비(암:수)는 1:0.54 (n=189:103, 암컷 64.7%)였으며, 전장이 증가함에 따라 암컷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난모세포 발달패턴은 동일 난소 내에서 여러 단계의 난모세포군이 확인되는 난군동기발달형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모델에 의해 분석된 50% 성숙 전장은 암, 수 각각 28.51 cm과 30.49 cm였다. GSI는 암, 수 각각 4월과 3월에 가장 높았으며, 주 산란기는 4-5월로 분석되었다.

동해안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 in the East Sea of Korea)

  • 차형기;권혁찬;이성일;양재형;장대수;전영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3-271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5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암컷의 GSI 값은 1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6월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수컷도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숙도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기름가자미의 산란기는 3~6월, 주 산란기는 4~5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난소의 생식주기는 미숙기(7~11월), 중숙기(12~2월), 완숙기(3~4월), 휴지기(5~6월)로 구분되었다. 포란수는 최소 15,146개(TL 24.1 cm)에서 최대 101,491개(TL 38.1 cm)로 계수되었고, 전장(TL)과 포란수(F)와의 관계식은 $F=0.0004TL^{3.449}$ ($R^2=0.663$)으로,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의 성숙체장은 25.6 cm로 추정되었다.

동해 왕돌초 주변해역에서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어상강) 어란과 자어 출현 (Occurrence of Eggs and Larvae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Pisces) off Wangdol-cho, East Sea)

  • 이해원;이수정;양재형;이재봉;차형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4-658
    • /
    • 2014
  • We report the first identification of a spawning ground of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laus stelleri near the Wangdol-cho sea mountains, located in the southern East Sea. Eggs and larval fish of G. stelleri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June, 2014, when an abundance of eggs was found in the southern area of Wangdol-cho. Our findings suggest that G. stelleri prefers to spawn in the vicinity of the off-shore sea mountains, where the temperature is between 10 and $12^{\circ}C$ and the water depth is 100 m, rather than inshore.

기름가자미 어업관리를 위한 생물경제학적 분석 (A bioeconomic analysis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fisheries management)

  • 최지훈;최완현;김도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4호
    • /
    • pp.394-402
    • /
    • 2016
  • In order to manage and rebuild fishery resources, the fishing effort should be controlled effectively. Especially in the setting up of the proper level of fishing efforts, economic standards as well as biological standards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o promote the sustainable and economically viable development of fisheri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ptimal economic fishing effort ($E_{MEY}$) as the most economically efficient one for the Eastern Sea Danish seine fishe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al economic fishing effort ($E_{MEY}$) of Eastern Sea Danish seine fisheries for blackfin flounder should be reduced by about 27%. That is, reducing fishing efforts up to the level of $E_{MEY}$ could lead to the reduction of fishing costs, thereby resulting in the increased fishing profits.

동해 후포 연안 어류상의 수심별 차이 (Depth-dependent Variability of Fish Fauna in the Coastal Waters off Hupo, East Sea)

  • 이충일;정해근;권순만;한문희;설강수;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6-45
    • /
    • 2018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후포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의 계절 및 수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어류 시료는 2011년과 2017년 사이에 계절별로 저층자망과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총 17과에 속하는 46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정점 A (수심 약 80 m)에서 36종, 정점 B (수심 약 140 m)에서는 22종이 채집되었다. 현존량에서 우점종은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용가자미(Cleisthenes pinetorum), 대구횟대 (Gymnocanthus herzensteini), 고무꺽정이(Dasycottus setiger) 였는데, 전자의 3종은 얕은 수심(정점 A)에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후자 1종은 깊은 수심(정점 B)에서 현존량이 더 높았다. 조사해역 어류 군집의 종수, 현존량, 생체량, 종다양도는 수심에 따라 변하였지만, 시간(계절 또는 연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결과 또한 어류 군집 구조는 수심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였지만, 연도 또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결과는 이러한 군집 구조가 시각적으로 뚜렷이 구분되었고, 이러한 구분은 수심과 수온 차이에 따른 우점종의 공간분포 차이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성숙기 난모세포에서의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물질 분석 (Steroid Metabolism in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during Oocyte Maturation)

  • 이해원;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83-488
    • /
    • 2015
  • We studied oocyte steroidogenesis in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as a region-specific species, in the East Sea of Korea during the spawning season. Maturing oocytes (0.76, 0.82, 0.88, and 0.91 mm in oocyte diameter) were incubated in vitro in the presence of [$^3H$] $17{\alpha}$-hydroxyprogesterone ($[^3H]17{\alpha}$-OHP) as a precursor. Steroid metabolites were extracted from the incubated medium and oocytes, and the extracts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metabolites produced from $[^3H]17{\alpha}$-OHP were androgens [androstenedione (A4) and testosterone (T)] and estrogens [$17{\beta}$-estradiol (E2) and estrone (E1)] and progestins [$17{\alpha},20{\alpha}$-dihydroxy-4-pregen-3-one ($17{\alpha}20{\alpha}P$) and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in maturing oocytes. The metabolic rate of $17{\alpha}20{\beta}$ was elevated (29.04%) in oocytes measuring 0.88 mm (nucleus migration stage following the induction of germinal vesicle breakdown), but was very low in oocytes measuring 0.76, 0.82, and 0.91 mm (0.42, 0.67, and 2.62%,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17{\alpha}20{\beta}P$ acts as a maturation-inducing steroid in the blackfin flounder.

왕돌초 해역에서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Gill Net and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Wangdol-cho, Korea)

  • 이성일;황선재;양재형;심정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1-302
    • /
    • 2008
  • 왕돌초 해역에 출현하는 어종들의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홑자망과 삼중자망어구를 사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종수는 총 15목 34과 58종으로 쏨뱅이목(Scorpaeniformes)과 농어목(Perciformes)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2.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홑자망에서는 11목 22과 35종이, 삼중자망에서는 15목 30과 51종이 출현하였다. 계절별 출현종수는 수온이 높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각각 32종과 31종으로 많았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9종으로 가장 적었다. 채집된 개체수 및 생체량은 각각 총 5,295개체, 1,891 kg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높았고 겨울철과 봄철에 낮았으며, 주요 우점종은 임연수어(Pleurogrammus azonus)와 대구(Gadus macrocephalus),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불볼락(Sebastes thompsoni), 빨간횟대(Alcichthys alcicorni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으로 이 종들은 조사기간 동안 거의 지속적으로 출현하여 본 해역의 주거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