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in the East Sea of Korea in 2002

2002년 동해 울진과 후포 연안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 Lee, Tae-W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23
  • Accepted : 2011.09.2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size frequency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were analyz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in 2002. Fish collected during the study were 20 species, 1,927 individuals and 53,969 g off Uljin, and 23 species, 2,762 individuals and 146,550 g off Hupo. Liparis tessellatus, Glyptocephalus stelleri and Cleisthenes pinetorum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and these 3 species were accounted for 70.9%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83.8% in biomass off Uljin, and 90.3% and 70.9% off Hupo, respectively. In the Korean coastal water of the East Sea, the migrating pelagic fish were predominated in catch by set net or gill net, and species composition varied greatly by season. Meanwhile, the fish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were dominated by the resident demersal fishes and did not show any clear seasonal trend in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G. stelleri and C. pinetorum were mainly composed of young fish, and size data as depth indicated that they moved into deeper shelf as they grew.

울진과 후포 연안의 수심 20~50m에서 2002년 계절별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체장조성 분석하였다. 울진 연안에서는 총 20종, 1,927마리, 53,969g의 어류가, 후포 연안에서는 총 23종, 2,762마리, 146,550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두 조사 지역 모두에서 물메기(Liparis tessellatus),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와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가 우점하였으며, 이 3종이 울진 연안 채집 개체수의 70.9%와 생체량의 83.8%를 차지하였고, 후포 연안에서는 각각 90.3%와 70.9%를 차지하였다. 동해 중부 연안에서 정치망이나 자망에는 회유성 부어류들이 주로 채집되어 계절에 다른 변동 폭이 켰으나, 울진-후포 연안의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는 정착성 저어류들이 전 계절에 우점도가 높아 계절변동이 뚜렷하지 않았다. 우점종인 기름가자미와 용가자미는 약 2~3세어가 주를 이루었으며, 수심에 따른 크기분포에 의하면 이 어류는 자라면서 대륙붕의 수심이 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실. 2008. 북태평양체제전환(North Pacific Regime Shifts)과 한 반도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계절주기 변동 특성. 한국수 산학회지, 41: 493-504.
  2. 국립수산과학원. 2010. 연근해 주요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예문 사, 부산, 405pp.
  3. 김수암∙강수경. 1998. 동해의 수산자원 현화 및 연구 방향. 한국 수산자원학회지, 1: 44-58.
  4.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 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pp.
  5. 박해운∙정의철∙배봉성∙양용수∙황선재∙박종화∙김영섭∙이 성일∙최수하. 2007. 동해 심해 트롤 어획물의 어획실태와 종조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4: 183-191.
  6. 백상규∙강래선∙전재옥∙이재학∙윤성규. 2007.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Ocean Polar Res., 29: 123-134. https://doi.org/10.4217/OPR.2007.29.2.123
  7. 손용호. 1986. 조선 동해에 가까운 바다에 있는 물고기의 분포상 에 대하여. 수산과학논문집 1. 공업출판사, 평양, p. 17-24.
  8. 양재형∙이성일∙차형기∙윤상철∙장대수∙전영열. 2008. 동해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4: 312-322.
  9. 유정화∙김병기∙김진구∙김현주. 2005.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망 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화. 한국어류학 회지, 17: 279-286.
  10. 윤상철∙차형기∙이성일∙장대수∙황선재∙양재형. 2008. 동해 트 롤 조사에서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 한 국어업기술학회지, 44: 323-344.
  11. 이준모. 2008. 한국 동해산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 연령과 성장.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pp.
  12. 이채정∙허영희∙이정용∙김완기∙홍승현∙황선재∙최수하. 2005. 한국산 동해안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성숙과 산 란. 한국수산학회지, 38: 245-250.
  13.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채집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14. 이태원. 1999.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2: 512-519.
  15. 장창익, 윤상철. 2003. 남서부 동해에서 1970년대의 기후체제전환 이 생태계의 구조에 미친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6: 389-401.
  1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17. 차형기∙이성일∙윤상철∙김영섭∙전영열∙장대수∙양재형. 2007. 한국 동해안 대구 Gadus macrocephalus TILESIUS의 성 숙과 산란.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3: 320-328.
  18. 최수하∙허영희∙전영렬∙장창익. 1999. 한국 동해안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 herzensteini (Schmidt)의 성장과 성 숙. 한국수산자원학회지, 2: 1-13.
  19. 홍병규∙김진구∙박경동∙전경암∙전영열∙황강석∙김영섭∙박 기영. 2008. 한국 동해 영일만에서 자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41: 353-362.
  20. 홍정표∙이주희. 1995. 경북 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 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1: 153-165.
  21. 해양수산정보포털. 2011. http://portal.nfrdi.re.kr.
  22. 황선도∙박영조∙최수하∙이태원.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흥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30: 105-113.
  23. 황재동∙이용화∙심정민∙윤석현∙진현국∙김영숙∙권기영∙윤 상청. 2008. 2007년 하계 및 추계 경상북도 후포 연안역 물리적 해황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41: 505-510.
  24. Chang, K.-I., W.J. Teague, S.J. Lyu, H.T. Perkins, D.-K. Lee, D.R. Watts, Y.-B. Kim, D.A. Mitchell, C.M. Lee and K. Kim. 2004.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 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ogr., 61: 105- 156. https://doi.org/10.1016/j.pocean.2004.06.005
  25.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eno and T. Yoshino (eds).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ext and Plates: 437pp+370 plates.
  26. Nakabo, T. (ed).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749pp.
  2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117pp.
  28. Shvydkii, G.V. and A.N. Vdovin. 2001.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Sea of Japan. Russ, Acad. Sci. Oceanol., 41: 540- 544.
  29. Yamada, U., M. Takawa, S. Kishida and K. Honjo.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kai Regional Res. Lab., Japan, 501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