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Gill Net and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Wangdol-cho, Korea

왕돌초 해역에서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 Lee, Sung Il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Hwang, Seon Jae (Distant-Water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NFRDI) ;
  • Yang, Jae Hyeong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Shim, Jeong Min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 황선재 (국립수산과학원 해외자원과) ;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 심정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환경연구과)
  • Received : 2008.11.04
  • Accepted : 2008.12.30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waters off Wangdol-cho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atches by gill net and trammel net from 2002 to 2004. A total of 58 species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15 orders and 34 families. Of the 58 species identified, Scorpaeniformes and Perciformes accounted for 62.1% of the species. 35 species in 11 orders and 22 families were collected by gill net and 51 species in 15 orders and 30 families were collected by trammel net.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summer and autumn and lowest in winter. Catches were correlated with sea water temperature. The numbers of individuals and their biomass were 5,295 inds. and 1,890 kg, with the highest values achieved in summer and the lowest in spring.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Pleurogrammus azonus and Gadus macrocephalus. The seasonal species community showed a high similarity between summer and autumn.

왕돌초 해역에 출현하는 어종들의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홑자망과 삼중자망어구를 사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종수는 총 15목 34과 58종으로 쏨뱅이목(Scorpaeniformes)과 농어목(Perciformes)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2.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홑자망에서는 11목 22과 35종이, 삼중자망에서는 15목 30과 51종이 출현하였다. 계절별 출현종수는 수온이 높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각각 32종과 31종으로 많았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9종으로 가장 적었다. 채집된 개체수 및 생체량은 각각 총 5,295개체, 1,891 kg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높았고 겨울철과 봄철에 낮았으며, 주요 우점종은 임연수어(Pleurogrammus azonus)와 대구(Gadus macrocephalus),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불볼락(Sebastes thompsoni), 빨간횟대(Alcichthys alcicorni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으로 이 종들은 조사기간 동안 거의 지속적으로 출현하여 본 해역의 주거종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동해연안어업자원조사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1999a. 태평양산 원양어류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912pp.
  2. 국립수산과학원. 1999b. 한국연근해 유용연체동물도감, 도서출판 구덕, 부산, 197pp.
  3. 국립수산과학원. 2004.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제2판. 한글출판사, 부산, 333pp.
  4. 국립수산과학원. 2005. 세계 유용두족류도감. 예문사, 부산, 212pp.
  5. 국립수산진흥원. 1977. 울진근해 왕돌암 어장 개발 조사보고. 사업보고 제38호. 58pp.
  6. 권혁찬. 2007. 동해안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의 성숙과 산란. 강릉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1pp.
  7. 명정구. 2002. 독도 주변의 어류상. 해양극지연구, 24: 449-445
  8. 명정구.박정호.조선형.김종만. 2005. 다이빙 조사에 의한 여름철 울릉도 연안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7: 84-87
  9. 유정화.김병기.김진구.김현주.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279-286
  10. 이광남.명정구. 2003. 동해 왕돌초 어장의 지속적 이용 및 관리 방안. 해양극지연구, 25: 331-345
  11. 이태원. 1999.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2: 512-519
  12.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13. 차형기.이성일.윤상철.김영섭.전영열.장대수.양재형. 2007. 한국 동해안 대구, Gadus macrocephalus TILESIUS의 성숙과 산란.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3: 320-328 https://doi.org/10.3796/KSFT.2007.43.4.320
  14. 최 윤.김지현.박종영. 2003. 한국의 바닷물고기. 2판. 교학사, 서울, 646pp.
  15. 한경호.김종헌.백승록. 2002. 울산연안 定置網에 어획된 魚類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61-69
  16. 한경호.최수하.김복기.박종화.정달상. 1997. 영일만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수진연구보고, 53: 13-54
  17. 황선도.박영조.최수하.이태원.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홍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30: 105-113
  18.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 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9. Kim, I.S. and W.O. Lee. 1993. Taxonomic revision of the scorpionfishes (Pisces: Scorpaenidae) with four new records from Korea. Korean J. Zool., 36: 452-475
  20.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to Communication.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12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