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둥재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1초

H형강 매입형 합성기둥의 부착강도 및 전단연결재의 전단거동 (Bond Strength between Concrete and Steel and Shear Behavior of Shear Connectors of H-shaped Steel Encased Composite Columns)

  • 왕녕;이혜림;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377-387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강판 매입형 합성기둥의 Push-out Test를 통해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면적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부착면적이 넓을수록 부착응력은 작아진다는 경향이 조사되었다. 또한 소규모 매입형 합성기둥의 경우에는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공칭부착 응력값이 과소하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H형강 매입형 합성기둥의 Push-out Test를 통해 전단연결재의 수와 간격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전단연결재의 전단거동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기둥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복합체의 적용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C columns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 장준호;권민호;김진섭;주치홍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7-127
    • /
    • 2012
  •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내진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FRP 복합재료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복합재료를 사용한 내진보강재는 강성과 연성을 가진 재료이어야 하므로 복합재료 보강재 설계 시 강성재와 섬유의 선택이 중요한 변수이다.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최적조합을 인장 테스트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기둥부재에 보강하는 것을 가정하여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효과를 변위-하중 관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증가한다는 해석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장력(SM570)강재의 압축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SM570) Plates in Compression Members)

  • 임성우;고상기;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23-2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축력을 받는 기둥재에 사용 가능성이 큰 고장력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570의 압축좌굴내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중심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단 주압축 실험결과 강구조 계산규준이 정하고 있는 판폭두께비의 제한치를 만족시키는 기둥부재의 최대내력은 국부좌굴에 의해 결정되며, 판폭두께비의 제한치를 만족시키지는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내력이 도달하기 전에 국부좌굴에 의해서 급격히 저하하였다. 또한 압축 좌굴내력이 SM570 강재의 설계기준값인 $4.1tonf/cm^2$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대상 신인선, 이혜정_ 이화여대-High-Seoul Building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 건축구조
    • /
    • 제12권4호
    • /
    • pp.52-53
    • /
    • 2005
  • a. 구조체가 받는 힘 중 횡력을 모두 메가컬럼이 부담하고, 내부외 보와 기둥은 중력방향의 하중만을 부담한다. b. 메가컬럼 안으로 코어 기능을 모두 넣어 자유로운 평면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최대의 장점이다. c. 모듈의 반복적인 조합을 통해 나온 유닛의 재조합으로 메가컬럼을 형성하고, 거대한 이 기둥을 외부로 노출시켜 구조미를 추구한다. d. 2009년 9호선 연장을 앞두고 서울의 최고 중심지가 될 강남역을 사이트로 정해 초고층 건물을 건축하여 도시경관을 더 돋보이게 한다.

  • PDF

중공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 기둥의 거동에 관한 연구 (I. 중심 압축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urs of Hollow CFT Column Subjected to Axial Load)

  • 김철환;김종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9-76
    • /
    • 2006
  •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 CFT) 기둥은 내력 및 변형능력 등 구조적 성능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강관내부에 충전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저항성 및 유동성이 확보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가 요구되며, 또한, 다이어프램 하부의 충전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CFT기둥의 장점인 내력 및 시공성을 살리고, 현장 충전 공법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CFT부재의 PC화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CFT부재의 PC화는 고중량물이기 때문에 운반과 양중능력의 확보 등 다른 문제를 낳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CFT기둥의 단점과 공장생산 CFT기둥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인 중공 CFT 구조를 제안하고 중심축하중 하의 이력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주된 실험변수는 CFT기둥의 충전율과 충전재의 강도이며, 특히 충전율은 0%, 30%, 50%, 80%, 100%를 설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기본적으로 항복강도레벨에 이르기까지 선형적인 거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 충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 강성 및 변형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 PDF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철근의 노출길이와 수직하중에 따른 발파공수와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vity with the Number of Blasting Holes Due to Exposed Length of Steel Bars and Vertical Load on Scal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박훈;유지완;이희광;송정언;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25권2호
    • /
    • pp.1-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5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이용하여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과 발파공수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수직하중을 재하하여 철근의 노출 길이와 발파공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발파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와 철근이 노출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를 발파공수와 비교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시험결과로부터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을 바탕으로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발파공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축소모형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C 합성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of SC Composite Coloumn)

  • 이승재;강성덕;오명호;김명한;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25-434
    • /
    • 2007
  • SC 합성기둥은 기존의 합성기둥들이 가지는 내력상승, 방청효과,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고, 충전상태의 육안확인도 용이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SC합성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C합성기둥의 내화성능평가를 위해 하중비, 콘크리트 면적비, 피복유무를 변수로 두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온도증가에 따른 실험체의 강도감소를 단순 수치해석으로 산출하여 내화성능시간을 유추하였고, 실험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하중비가 작을수록 내화성능은 향상되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면적비는 SC합성기둥의 내화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보항복형 비가새 골조의 PΔ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u on the P-Δ Influence of Weak Beam Unbraced Frames)

  • 김희동;박상철;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63-37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항복형 비가새 골조의 $P-{\Delta}$영향을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4개의 1층 1스팬의 보항복형 비가새 골조에 대한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기둥의 강성과 축력비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저축력 상태의 보항복형 비가새 골조에서는 축력의 정량적인 크기가 $P-{\Delta}$효과로서 골조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수평하중은 기둥의 강성과 지점 회전강성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저축력상태의 보항복형 비가새 골조는 붕괴가구 형성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계상태설계기준의 $B_2$ 계수는 골조의 비탄성거동시 $P-\Delta$효과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멀티기둥-강관 풍력타워 연결부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Junctions between Multi-Tubular and Cylindrical Sections for Steel Wind Tower)

  • 김종민;박현용;김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64-176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일대형강관 타워의 일부를 복수의 강관으로 대체한 멀티기둥-단일대형강관 하이브리드형식 풍력타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결부의 성능을 수치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결부의 형태는 멀티기둥의 단일대형강관 단부 관통 여부, 멀티기둥 하단부 날개 보강재의 유무 및 단일대형강관 내부 가로보 배치형식으로 구분하였다. 해석은 응력집중을 평가하기 위한 선형탄성해석과 극한강도을 평가하기 위한 재료 및 기하비선형 해석이 수행되었다. 수직력과 수평력에 대한 구조성능 분석 결과, 가로보 배치형식과 날개 보강재는 타워 구조계의 극한강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7층 초고층주상복합건물 SRC기둥의 기둥축소량 현장계측 및 보정법 (Field Measurement and Compensation Method of Column Shortening for SRC Columns in 37-story Residential Building)

  • 송화철;도근영;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45-152
    • /
    • 2005
  • Long-term axial shortening of the vertical elements of tail buildings results in differential movements between two elements and may lead to the additional moments of connection beam and slab elements, and other secondary effects, such as cracks of partitions or curtain walls. Accurate prediction of time-dependent column shortening is essential for tall buildings from both strength and serviceability aspects. The compens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reinforced concrete and SRC(Steel Reinforced Concrete) members. The SRC columns are usually compensated according to total differential shortening between two vertical elements. In this study, column shortenings of 37-story W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re predicted and compensated. The SRC column shortenings are compared with the actual column shortening by field measurement and the column shortenings are reanalysed and recompens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