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대일치

검색결과 609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 (Predicting users' intention to continue mobile internet services usage : The integration of habit into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수실 쿠마르 무나;김승운;강희택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404-428
    • /
    • 2008
  • 기대일치이론에 기초한 기대일치모형은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사용의도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기대일치모형과 더불어 최근에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자동화된 행동 경향을 의미하는 ‘습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을 기초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 상황에서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일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습관 등의 수용후 신념, 이용자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J도내 2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기대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이용자 만족, 습관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이용자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 모두에 대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 분석 (Correspo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 서지윤;김미경;송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4-193
    • /
    • 2013
  • 본 연구는 Holland의 RIASEC 모형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검사결과를 토대로 Kappa 일치 지표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의 일치도 분석과 성별,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 일치도는 일반 Kappa, 가중치 Kappa 두 지표 모두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치도 분석 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남자, 여자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남자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은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5학년, 6학년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5학년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6학년은 흥미 항목에 대해 C(관습형)로 응답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통계량을 계산할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간에는 유의미한 일치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5, 6학년이 되면 직업인식에서 능력과 흥미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을 뜻하며, 진로지도와 교육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디지털 융복합 환경에서 WBI을 활용한 AT자격 프로그램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Usage Intention of AT Certification program using WBI in the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 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융복합 환경에서 WBI를 활용한 AT자격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수를 기대일치, 유용성 기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확장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도구는 AMOS 21.0과 SPSS 21.0 프로그램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용성기대 및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기대일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용성기대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대일치는 만족도, 지속적 사용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대일치는 만족도보다 지속적 사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가설에서 제시한 경로를 토대로 기대일치가 유용성기대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도 중요한 요인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언택트 쇼핑의 고객경험이 기대일치 모델을 통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tact Shopping Customer Experi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홍수지;한상린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45
    • /
    • 2023
  • 기존 유통기업과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신생기업들이 언택트 쇼핑에서 만나면서, 언택트 쇼핑 안에서 기업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자사만의 확실한 전략이 필요하다. 언택트 쇼핑에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고객경험'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객경험은 소비자가 기업이나 브랜드 등을 서비스 접점에서 만나 경험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는 해당 기업과 브랜드를 지속이용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본 연구는 언택트 쇼핑의 고객경험을 경험 품질을 통해 살펴보고, 기대일치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품질, 정보품질, 결과품질이 기대일치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품질을 제외한 모든 품질이 기대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품질, 정보품질, 결과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역시, 상호작용 품질을 제외한 모든 품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살펴보면 정보품질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언택트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기대일치 모델 내에서 기대일치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대일치가 이용만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만족에도 지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언택트 쇼핑에 관련된 고객경험 전략을 수립할 때 정보품질,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SNS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ontinuance Intention in the SNS)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51-161
    • /
    • 2011
  • SNS는 인터넷 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형성을 지원하고, 이렇게 형성된 지인관계를 바탕으로 인맥관리, 정보 및 컨텐츠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시스템 사후-수용 모델과 성공모델을 이용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27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만족과 인지된 유용성이 지속적 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일치,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인지된 유용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일치는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스템 품질과 정보 품질은 기대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적 사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족으로 나타났고,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된 유용성이었다.

웹 사이트 사용자의 정보품질 만족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Quality Satisfaction of Web Site User)

  • 함봉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9-190
    • /
    • 2004
  •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에 근거하여 웹 사용자들의 정보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은 어떠하며 또한 기대에 대한 지각 성과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들 변수 간에는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웹 정보 품질의 기대는 동화효과에 의해 지각된 성과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일치성에는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정보 품질의 지각된 성과가 기대일치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웹 정보 품질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쳤으며, 웹 정보 품질만족이 전반적인 총체적 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인점포 고객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프랜차이즈 가맹점 중심으로 (An analysis on Effect of Use Intention of Mean automated Store Customer -focused on franchisee)

  • 강성철;한경석;전우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13-1322
    • /
    • 2018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제공하고 있는 무인점포의 이용의도를 알아보고자 실증 분석하여 검정하였다. 무인점포의 독립변수들로는 크게 기술기반셀프서비스, 점포특성으로 나누어 변수를 선정하였다. 기술기반셀프서비스의 편리성, 신속성, 점포특성의 기능성, 적합성 그리고 무인점포의 비용을 선정하였다. 기대일치이론을 활용하여 매개변수에 기대일치, 만족 최종적으로 종속변수는 이용의도를 선정하였다. 무인점포를 사용하는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81명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편리성, 신속성, 기능성, 적합성은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에는 편리성과 적합성 변수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기대일치, 만족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이 되었다.

병원모바일앱 품질요인이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적 접근 (The Effect of Hospital Mobile App Quality Factors on Users ' Continuous Use Intention: An Integrated Approach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n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s)

  • 김민수;윤상혁;이새봄;양성병
    • 서비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76-95
    • /
    • 2023
  •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병원'과 '디지털 헬스케어'가 의료분야의 화두가 되면서 병원모바일앱이 주목받고 있지만, 홍보 부족, 불안정한 시스템, 늦은 업데이트 등의 이유로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병원모바일앱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관련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관점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인지적 관점의 기대일치모형을 통합하여, 병원모바일앱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영향 메커니즘을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병원모바일앱 이용 경험이 있는 국내 성인 18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질요인이 기대일치와 인지된 유용성 및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일치는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는 병원모바일앱의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기대일치모형과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통합하여 의료분야, 그 가운데에서도 이용률이 저조한 병원모바일앱 사용 맥락에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병원모바일앱의 이용률 증대 및 효과적·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ver The Top(OTT)의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이해: OTT 특성과 가격공정성의 영향 (Understanding Over The Top(OTT)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OTT: Impacts of OTT Characteristics and Price Fairness)

  • 박현선;김상현;손창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203-225
    • /
    • 2022
  • 글로벌 OTT(Over the Top) 서비스의 국내 진출이 늘어나고 기존 플랫폼 개편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OTT 서비스 시장의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다. 초호화 콘텐츠를 보유한 막강한 경쟁자들이 계속해서 시장에 뛰어들고 있고 사람들의 니즈도 다양해짐에 따라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가입자의 이탈을 막기 위한 OTT 서비스 플랫폼의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대일치모델을 기반으로 OTT 서비스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OTT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용 중인 개인을 대상으로 총 386부의 설문을 수집하여 AMOS24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플랫폼 품질 우수성을 제외한 콘텐츠 큐레이션, 콘텐츠 풍부성, 시청 능동성은 기대일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일치는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만족은 OTT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격공정성은 기대일치와 사용자만족,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만족, 사용자만족과 OTT 서비스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OTT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 창출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입자 유지를 위한 서비스와 콘텐츠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데이터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Public Data Services)

  • 김영은;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77-296
    • /
    • 2022
  • 다양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공공데이터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의 활용 확대를 위한 연구는 물론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대일치이론에 기반하여 어떠한 전자서비스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만족도는 하나의 요인으로 합쳐진 이해가능성 및 효율성에 대한 기대 일치와 지속이용의도 간을 부분 매개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기대 일치와 지속이용의도 간 관계는 완전 매개하였다. 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이해와 유용성이 충족될수록 이용 의지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서비스의 질적 발전을 위해, 자신만의 정보 사전을 구축할 수 있는 전자 책갈피 기능과 서비스 이용자의 자유로운 커뮤니티 공간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일반 이용자 관점에서 전자서비스의 설계 시 어떤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지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