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 과제수행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집단적 과제 수행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 양상

  • Jeong, Won-Yeong;Sin, Hyeon-Jeong;Lee, Go-Eun;Cha, Hyeon-Jeong;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5-25
    • /
    • 2010
  • 본 연구는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주제로 한 대학생들의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집단 내 구성원에게 개별적인 역할이 주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제가 부여되었을 때, 집단 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역할의 종류를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라 유형화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9명의 환경 교육 전공 대학생으로, 2008년 11월에 열린 한중일 환경교육 캠프에 참여한 한국 학생들이다. 캠프 활동 중 하나로 충남 홍성 문당리 환경농업마을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발표하는 활동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발표를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연구 맥락으로 하였다. 그리고 약 2시간에 걸친 과제 수행 과정을 촬영 후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관련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 자료에의 적용 및 수정을 통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딩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대화를 분석의 단위로 정하였다. 대화 단위별로 구성원 간 말차례가 오고간 모습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대화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대화를 말차례별로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코딩화하였다. 화살표로 도식화된 대화 패턴과 상호작용 코딩 결과에 따라 집단 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원의 역할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이렇게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생들에 의해 자생되는 역할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유형화해봄으로써 협동 학습이나 토의 활동 등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과제 수행에 있어서 학생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Park, Ji-Hoon;Lee, Eun-Jung;Noh, Jong-Su;Lee, Hyang-Suk;Cha, J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8 no.1
    • /
    • pp.27-40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effect of a sensory integration(SI) program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n after-school activity. The study is looking at both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and school-task performance which is an area of occupational performance. Methods : SI program specially designed as an after-school activity was provided to three boys who are first- or second grade students of Y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city. The SI intervention was organized with 25 sessions and carried out for two month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I program. Measurements used are Short Sensory Profile(SSP), K-DTVP-2, and BOTMP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and School Function Assessment for functional schooltask performance. Results : It is found that posttest scores were enhanced in all assessments SSP; BOTMP; K-DTVP-2; and SFA.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simply propose that sensor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as after-school activity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but also on school-task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ince sample size is too small, however, there is limitation to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es testing large number of subjects are required to boost the finding of this study.

  • PDF

The Effects of Task Solving Conditions and Task Types on Children's Private Speech and Performance (과제해결조건 및 과제 유형이 유아의 혼잣말과 과제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Lee, Jeong Hwa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2 no.2
    • /
    • pp.375-390
    • /
    • 2001
  • 본 연구는 혼잣말이 유아들의 인지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비고츠키의 이론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고츠키의 혼잣말에 관한 이론을 확인하고자 하는 선행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못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과제해결조건, 즉 혼잣말을 억제하는 경우와 혼잣말을 격려하는 조건하에서 두 종류의 과제를 수행할 경우, 유아들의 혼잣말의 발생 빈도와 과제수행력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혼잣말의 인지적 기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30명의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혼잣말은 혼잣말이 적극 격려되는 조건일 때 그리고 언어적 과제유형보다는 공간-지각적 과제유형에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높게 나타난 혼잣말은 공간-지각적 과제의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는 비고츠키의 주장대로, 유아들의 혼잣말에 인지적 자기조절 기능이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PDF

과학창의적 과제 수행 중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뇌파 비교분석

  • 하종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30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의 효과적인 성취를 가져오기 위해선 우선 영재 판별의 시도가 다양해져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동안 영재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은 뇌기능의 활동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뇌의 활동성에 대한 뇌파측정 방법을 통해 좌.우뇌 기능상에서의 뇌파특성을 파악해 보므로써 영재성 판별의 한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이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음 표는 과학영재아 및 일반아의 아무런 과제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기본뇌파와 과학 창의적 과제를 수행중인 상태에서의 뇌파를 좌뇌와 우뇌의 뇌파 활성도별로 그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all Experienced Elderly (기능적 과제훈련이 낙상경험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 Woo, Ji Hee;Park, Hae Yean;Kim, Jong Bae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1
    • /
    • pp.43-54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cluding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daily living of falls experienced elderly.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with alternating treatment and reversal design. One participant who have had falls experience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mpleted. This study a total of 18 sessions were conducted. Fall Efficiency Scale(FES), Berg Balance Scale(BBS) and task modification scale were used to asses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ring each session,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AHA) were us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t pre-and post-test. Results : The participa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ES, BBS scores. However, the improvement was greater when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was practised along with functional task training. COPM and AHA scores improved at post-test. Conclusions :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for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falls-experienced elderly.

The Effects of Different Display Sizes of Smart Phones to the Task Performance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과제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Yoon, Cheol-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209-2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and user interface of different display sizes for smart phones. For this purpose, two different display sizes and two different operating systems were used. Estimation values and observation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ey-stroke level model (KLM) for 11 functional factors. The processing times were decreased when a large display size was used, but this tendency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cessing times when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s were used. Nevertheless, some character input tasks showed a little shorter processing times with large display size than with an ordinary display size.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Ability of a Preschool Child and Functional Achievement Ability (취학 전 아동의 글씨쓰기와 기능적 과제수행과의 상관관계)

  • Hwang, Hye-Jung;Park, Gyu-Ri;Jin, Hwa-Jeong;Kim, Kyeong-Mi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2 no.2
    • /
    • pp.13-24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oose scissoring, handling chopsticks, wearing a jacket with buttons as a significant subject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writing ability of a preschool child and functional achievement ability. Methods : The subjects are 66 preschool children under the age of 5. The research has conducted for 1 week by using writing test, scissoring, handling chopsticks, wearing a jacket with buttons as an indicator of valuation. We collected statistics by using program called SPSS WIN 14.0 for the process of analysis. Results : The score of writ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subjec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 according to the gender. the score of girls are higher($13.33{\pm}2.55$) than boys($11.92{\pm}2.52$). Writ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relativity with the achievement ability of scissoring(r=0.244, p=0.048),handling chopsticks(r=0.403, p=0.001), achievement ability in terms of statistics. Conclusion :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riting ability accord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s showed based on the gender. writ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relativity with the achievement ability of scissoring, handling chopsticks, achievement ability.

Experiences of Information Encountering on the Use of Electronic Scholarly Resources (과제 수행 시 전자학술정보 사용에 있어서의 정보 조우 경험 행태)

  • Lee, Yo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69-72
    • /
    • 2018
  • 엄청난 양의 정보와 정보기술들이 만연한 정보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원래 찾으려 했던 주제는 아니지만 유용하고, 흥미로운 정보를 발견하는 경험을 보다 자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우연한 정보의 획득(OAI)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에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과제 수행 시 전자학술정보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 발생하는 정보 조우(IE)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과제 수행을 목적으로 가장 비중 있게 활용되고 있는 정보원이 전자학술정보임을 파악하고, 과제 수행 시 전자학술정보를 활용해 본 적이 있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Erdelez(2004)가 제시한 정보 조우의 기능적 모형에서 주목(noticing)과 검토(examining), 귀환(returning) 과정에 대한 경험을 비중 있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단(stopping)의 경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의 비율이 낮았으며, 획득(capturing)에 대한 물음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 PDF

The Effects and Subjects of Port Hinterland Policy in Korea (한국 항만배후단지의 정책적 효과 및 과제)

  • Kang, Yun-Ho;Cho, Kyung-W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5
    • /
    • pp.419-427
    • /
    • 2012
  • The paper evaluated the effects of port hinterlands and suggested the policies to improve them in Korea. The results of evaluation indicat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effects to be evaluated so good. It seems that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port hinterlands carry out their own functions well, in that, in particular, they have had so bad effects in carrying out such functions as production, international trade, and city. Policy actions were suggested including reduction of rent, strengthening international logistics networks, and governmental funding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