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 경제권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lineation of Functional Economic Areas in Korea based on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기업 간 거래망에 기초한 기능적 경제권의 설정)

  • Park, Sohyun;Kwon, Kyusang;Park, Soyo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1-17
    • /
    • 2020
  • The study aims to identify economic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and define functional economic areas of Korea by analyzing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Previous research has relied on pre-given administrative boundaries or cultural homogeneity and used data such as commuting, population movement, and cargo flows which could not fully explain economic activ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applies a community detection method to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derived from the CRETOP+ database of Korean corporate data. The novel dataset and the network analysis enables us to identify Korea's functional economic areas based on actual inter-firm linkag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x to seven economic blocs in the networks as of 2018. In particular, one huge economic bloc is formed integrat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s. Mean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form two economic blocs separately rather than being tied up in one bloc due to the low frequency of trans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 two big economic blocs of Daegu-Gyeongbuk and Busan-Gyeongnam exist, and interestingly, Ulsan, Gyeongju, and Pohang form a separate middle-sized bloc acros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utur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functional economic areas derived from empirical data.

동서 광역개발 협력체계구축 방안 - 광양만, 진주권 개발을 중심으로 -

  • Mun, Deok-H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59-79
    • /
    • 1998
  •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강 하나를 사이에 둔 아주 가까운 이웃이며, 주민생활권이나 지역경제권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다.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와 보유자원의 여러 측면에서도 상로 본완적 성격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대승적 차원에서 볼 때 국토의 균형박전을 도모하고 진정한 동서화합을 위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는 광양만, 진주권 광역새발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동시화합의 대전기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동서지역의 광역개발 필요성을 요약하면, 첫째, 최근 일정지역의 행정구역을 넘어서 인구와 물자 및 자원의 이용이 활발하게 이러나고 있어 통합적 계획 및 집행이 요구된고 있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개발은 2개도에 걸쳐 광역개발권역을 설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범적인 계획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신산업지대의 조성과 연계교통망의 구축이 요망된다. 셋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에 대응한 지방거점 도시권의 육성이 팽배하며, 넷째, 중북투자를 피하고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극대화하여 진정한 동서화합에 대한 시대적 여청이 증대되고 있는 시절이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우선 경제적 물리적통합으로 실절적인 동서이익을 보색하는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함을 국제물류의 중심지로 확충하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물류 유통 및 국제기능을 유치하여 국제적 교류거점으로서의 기반 조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또한 국제관광벨트 및 신산업지대의 형성과 함께 세계화 고속화에 걸맞는 교통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한편 자연친화적인 개발전략을 이룩함으로써 지구촌 경제하에시 지역균형개발과 지역의 국제경쟁역 확보차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나아가 과양만권과 진주권의 경제 사회적인 통합을 달성함으로써 국민적 염원인 동서화합의 장으로 승화 발전 시킬 수 있도록 공간구조 및 기능의 분담배분이 요구된다. 기능은 동시지역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기능 분담으로 과양만은 생산 및 물류지원기능의 강화와 전주 사천권은 첨단산업 연구 및 지원기능의 강화차원에서 배분이 요구된다. 이러한 광역개발계획이 세계적으로 추진될 때에 진정한 동서화합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도서화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광역개발을 실펀하기 위한 제도적인 협력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동서지역의 광영개발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 방안은 첫째, 양 지역간에 협약제도르 도입함으로써 광역개발의 집행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개별 개발사업별로는 협약이 체결됨으로써 자치단체간의 역활분담이 분명하고 여차별 예산의 확보는 물론 사업시행이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양 자치단체간의 광역행정을 진담하는 기구의 절차가 필요한다. 광역개발 계획 추진 뿐만아니라 실질적으로 양권역이 공존공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 할 수 있도록 협의회 기능을 보완한 새로운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 계획은 동서지역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동서지역간의 진정한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제주도개발 특별법과 같은 �G동서지역개발 특별법�H을 제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 하여야 한다. 지역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자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Governance in Dongnam Region and Reg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Dongnam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동남경제권 거버넌스와 지역발전 - 동남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

  • Kwon, Ohy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3
    • /
    • pp.450-460
    • /
    • 2015
  • Metropolitan-wide economic region policy which was enforced by Lee Myeongbak government was a timely policy at least to Dongnam region. However, examining the activities and outcomes of Dongnam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there are many doubts about the policy as metropolitan-wide governance. Dongnam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had many operational problems. It had few independent labor force and low budget. Also its authority was limited. Above all, its purpose and function was unclear. As a result, the policy was abolished as new government suceeded. Henceforth Dongnam region needs metropolitan-wide governance for metropolitan-wide economic development. If an organization which supports industrial and regional development of Dongnam region would be reestablished, the orientation of governance has to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main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would be researching about Dongnam metropolitan-wide economic region, and suggesting and recommending metropolitanwid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benchmark of the organization,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of the US, Joint Venture at Silicon Valley and Regio Randstad of the Netherlands would be appropriate. Above organizations receive budgets from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hey research about regional economics and urban development which is comprehensive and metropolitan-wide and could not be done by local government alone.

  • PDF

농촌중심지의 경제기반 : 청원군의 사례연구

  • 김학훈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6-201
    • /
    • 2003
  • 농촌 지역의 중심지는 일반적인 도시와 마찬가지로 주변 지역의 주민들을 위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심지의 기능과 배열 원리를 설명하는 중심지 이론은 중심지의 계층 구조를 밝히고, 계층에 따른 서비스 기능의 종류와 규모를 결정하며, 나아가 배후지와 시장권의 크기를 추정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중심지와 외부 지역(또는 배후지)과의 교역에 의한 경제 성장과 전체적인 경제구조적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제기반이론이 더욱 유효하다. (중략)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rea Activation and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철도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 Choi, Soo-Beom;Lee, Joo-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594-603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at introduction function and program how influence about quality of life local resident and development of region according to real development. Also, it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of area activation plan through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In research method, the factor and structure affecting area activation in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analyzed positively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focused on citizen near station area. As a result of study, i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the factors of software(marketing support, transfer system support, plan and design support, complex development support, law institution improvement, etc) and the factors of hardware(traffic function, information exchange function, commercial business function, housing features, amenity function, etc) are represent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and then, in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 the factor of hardware analyz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but the factor of software and network did not. In comparison, the factor of network is represented that it did not contributed i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 So, political supplementations are needed.

Development direction of environment water in the reconstructed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에 창출된 환경용수의 전개방향)

  • Kim, J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5-105
    • /
    • 2015
  • 환경용수는 수질보전, 친수환경 제공, 생물다양성 보전 등을 위하여 하천이나 농업 용수로를 흐르는 물을 말한다. 둑높이기 저수지 사업에 의하여 109개의 농업용 저수지에 증가된 저수용량만큼 2.4억 $m^3$의 환경용수가 창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둑높이기 저수지에 창출된 환경용수의 전개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용수는 크게 농업적 환경용수와 비농업적 환경용수로 분류할 수 있다. 농업적 환경용수는 농업용수에 내재된 환경용수를 말하며 이를 지역용수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비관 개기의 농업용수 수리권이 인정되어 농업용수가 마을의 생활용수, 환경용수로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충북 청주 무심천을 흐르는 농업용수가 여기에 해당되며, 관개기 동안 $5.0m^3/s$의 유량이 무심천 상류에서 방류되어 시내를 관통한 후 하류에서 취수되고 있다. 농업용수가 청주시내를 관통하면서 수심을 상승시켜 친수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비농업적 환경용수는 수질보전이나 생태계보전을 위한 하천유지용수나 친수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가 여기에 해당된다. 일본에서는 2005년 처음으로 센다이시(仙台市)가 신규 수리권을 취득하여 비관개기에 하천수를 농업용수로를 통하여 수질개선 및 친수환경 제공의 목적으로 공급한 이후, 다수의 환경수리권 취득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둑높이기 저수지의 농업용수는 관개기에는 관개라는 주목적 외에 내재된 환경용수의 기능을 부수하고 있다. 한편, 새로 확보된 환경용수는 갈수기나 비관개기에 하천 및 농업용수로를 통하여 공급되어야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하천으로 방류되면 하천유지용수나 환경개선용수가 되어 하천 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고, 용수로로 방류되면 지역용수가 되어 농촌마을의 친수 및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용수로서 활용되어 농업의 다원적(공익적)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인정된 농업에 존재하는 경제 외부효과로서 홍수조절, 지하수함양, 경관형성, 친수기능, 생태계보전 등을 말한다. 향후의 과제로서 둑높이기 저수지에 확보된 환경용수를 하천과 농업 용수로로 적절히 배분하는 기준의 설정 및 각각의 환경용수량 결정이 대두된다.

  • PDF

A Case study on Structure and Mechanism of Local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기초 생활권 단위(시, 군)의 사업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 Park, Kyoung;Park, Jin-D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645-664
    • /
    • 2009
  • This article is researched to analyze what kinds of projects were conducted by the special grant, the balanced development special account(BSDA), and the municipal projects in the case of Sangjucity and Seochengun, in the introduction time of the bock grants of BSDA and the municipal development plan in 2010.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territorial integration of a regional development in long-term, I suggest that the spacial grant and BSDA are necessary to be integrated because of ambiguous difference. And also the block grants of current 24 projects in 7 groups should be reclassified as the concept and the functional feature of pluralistic rural development.

  • PDF

The study on the rearrangement. of Incheon port function using simulation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인천항 기능 재배치에 관한 연구)

  • 최광억;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3-138
    • /
    • 2002
  • 인천항은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항만으로 경인공업지대 및 수도권지역에 각종 원자재를 공급하며 수도권 일대에서 필요로 하는 소비물자의 적기공급등 국가경제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인천항은 대 중국화물, 장래 남북화물을 유치하는데 아주 유리한 여건에 있어 인천지역의 물동량은 해마다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천항의 처리능력의 한계를 이미 넘어섰고 이로 인해 만성적인 체선 · 체화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항만시설의 부족은 항만시설의 신규건설을 통한 항만공급 능력의 확대가 장기적으로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는 항만시설의 기능재배치를 통한 운영효율화로 시설능력을 증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설소요 화물량과 하역능력을 비교하여 하역능력이 절대적으로 낮은 화물과 하역능력이 높은 화물을 부두별로 재배치함으로써 시설능력의 증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특히 인천항의 기능재배치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본 시스템은 화물의 이동이나 화물량의 변화, 선석의 배정규칙을 변경하여 여러 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역사, 화물군, 부두별로 분석하여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항만운영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Locational Effec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 on Urban System and Urban Scale Economies (고속철도역 입지의 도시시스템 및 도시경제 변동효과)

  • 김의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25-34
    • /
    • 1998
  • 본연구의 목적은 경부고속철도역의 입지가 도시간 인구분포와 도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는 데 있다. 인구분포 결정식의 추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속철도의 건설에 따른 도시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도시내 인구분산화가 이루어지면서 대도시와 중소도시간 인구불균등은 심화될것으로 예상된 다. 고속철도의 역사가 입지하는 도시의 경제활동이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향후, 서울 , 대구, 부산등의 도시경제 수준은 상대적으로 열악해 지고 천안과 대전은 고속철동역 유치로 인하여 도시성장 기반을 구 축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개발차원에서 수도권 남부지역에 고속철도역을 입지시켜 서울의 중추기능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고속철도 개발을 통해서 수도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도시권이 형성되어 수도권 내 2대 공간체계가 개발된다면 서울도시권에 대한 기존의 개발압력을 줄이면서 수도권내 남부도시권은 천안 및 대전과 연계되어 광역적인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Theoretical Examination of Network cities an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South-East Region in Korea (네트워크도시의 이론적 검토와 동남권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Kwon, O-Hy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3
    • /
    • pp.277-290
    • /
    • 2009
  • This paper aims to draw essential facts of network city, to analyze the urban corridor in South-East region, Korea, as a network city.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city is examined theoretically. The global economy is developing an innovative class of network cities. A network cities evolve when two or more previously independent cities, potentially complementary in function, strive to cooperate and achieve significant scope economies aided by-fast and reliable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Network Cities place a higher priority on knowledge-based activities like research, education and the creative arts. Each constituting city stands to benefit from the synergies of interactive growth via reciprocity, knowledge exchange and unexpected creativity. Secondly, we discussed the network structure of cities in South-East region, Korea itself intensively. We survey the network location and outline of the urban corridor in South-East region, spatial specializ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constituting cities. We also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network cities in South-East region, Korea and introduced the desirable policies and alternatives. We can ascertain from the case study of cities in South-East region that the cities in South-East region corresponds the network city model fai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