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계화학적 방법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초

치아 우식부의 기계화학적 제거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ICACY OF CHEMO-MECHANICAL REMOVAL OF DENTIN CAR10US LESION)

  • 임순빈;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49-157
    • /
    • 2005
  • 본 연구는 우식의 기계적 제거와 기계화학적 제거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기계적 제거방법은 저속의 round bur로, 기계 화학적 제거 방법은 Carisolv로 우식을 제거한 후, 잔존 우식을 확인하여 소요시간을 측정하였고, 또 실험실에서 발치한 우식 대구치 20개를 위 두 가지 방법으로 우식을 제거 후, Villanueva bone stain액으로 염색하고 표본을 제작 후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우식제거에 평균소요시간은 기계화학적 제거가 기계적인 제거보다 1.5배 더 길게 나타났다 (P < 0.05). 2, 우식제거에 평균소요시간은 소구치보다 대구치에서 더 길었고, 전치에서 가장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상 · 하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 > 0.05) 4.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우식 상아질을 제거 시 잔존 우식 상아질이 관찰되었으며 두 방법 모두 우식 상아질을 제거한 표면에서는 도말층을 관찰할 수 없었다.

기계화학적 활성에 의해 테이프에 자발적으로 환원된 은의 전기화학적 분석 (Electrochemical Analysis of Spontaneous Reduction of Silver on Tape by Mechanochemical Activation)

  • 윤창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00-1105
    • /
    • 2020
  • 본 연구는 기계화학적 활성화 된 스카치테이프가 금속 이온 수용액에서 유발하는 자발적 금속 나노입자 필름 형성의 구동력과 그 크기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은 필름이 형성된 테이프를 질산에 녹이고, 완충용액과 섞어 전기화학 측정용 샘플을 준비했다. 양극 벗김 전압전류법의 피크 신호를 통해, 은 입자의 자발적 환원에 소모된 전하량을 측정했다. 이를 검정 곡선에 대입하여, 환원된 은의 양을 구했다. 그 결과 은의 양이 선행 연구 대비 106배 많은 점, 수용액에서 전하를 가진 이온들의 짧은 수명을 참고하여, 자발적 반응의 구동력을 라디칼로 결론 냈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치아표면 거칠기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oughness of enamel surface to various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methods in vitro)

  • 노준;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3-490
    • /
    • 1999
  • 다양한 부정교합의 원인 중에서 치아의 형태적 이상이나 크기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법랑질 삭제(interdental enamel stripping)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런 치간 법랑질 삭제술식은 특히 상하악의 전치부위에 서 적은 량의 치아밀집을 해결하거나, 교정치료 말기에 상하악 치아 크기의 부조화에 의한 견치 또는 구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교합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지만 치아삭제가 비가역적인 술식이며, 삭제 후 남게 되는 거친 법랑질 표면으로 인한 치주적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랑질 삭제 후 표면에 남게 되는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치과용 마모기구를 이용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사현미경 (SEM)상에서 관찰되는 표면소견을 통한 비교분석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법랑질 삭제방법들의 결과를 주사현미경적 소견과 함께 표면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므로서 좀 더 구체적인 임상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은 기계적 방법 및 기계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기계적 방법은 회전기계삭제와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삭제로 구분하고, 기계화학적 방법을 위해 $37\%$ 인산이 사용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의 인접면을 이용하여 기계적 및 기계화학적인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회전기계 및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의 법랑질 표면이 다른군들에 비해 거칠게 나타났다. 2. 산 부식을 이용한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이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에 비해 양호한 표면을 보였다. 3. 기계적으로 1차 및 2차 삭제한 군의 표면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표면이 양호하였다. 4. 표면 활택 목적으로 사용된 미세 연마제는 표면 거칠기나 표면의 연마 또는 가공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 및 응용 (Technology and Applications of Mechanical Alloying Processing)

  • 이광민;김진천;이재성;김영립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6
    • /
    • 2004
  • 1980년대 후반부터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온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은 이제 단순화합물 조성의 합금화공정 뿐 만아니라 기계화학적(Mechanochemical) 방법으로까지 진보되어 다양한 시스템으로의 응용기술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 나노기술의 한고상 제조기술로서도 역할을 하게 되는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은 21세기에 있어서도 본문에서 연급한 바와 같은 고온용 고장도 Al 합금제조 외에도 나노결정립 분말, 자성재료, 에너지전환/저장기능재료, 준결정상제어 분야로서의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기계화학적 공정의 밀링 방법에 따른 W-Cu 복합분말의 미세조직 (Microstructure of W-Cu Composite Powders with Variation of Milling Method during Mechanochemical Process)

  • 이강원;김길수;김대건;김영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29-335
    • /
    • 2002
  • Recently, the fabrication process of the W-Cu nanocomposite powders has been studied to improve the sinterability through the mechanical alloying and reduction of W and Cu oxide mixtures. In this study. the W-Cu composites were produced by mechanochemical process (MCP) using $WO_3-CuO$ mixtures with two different milling types of low and high energy, respectively. These ball-milled mixtures were reduced in $H_2$ atmosphere. The ball-milled and reduced powders were analyzed through XRD, SEM and TEM. The fine W-Cu powder could be obtained by the high energy ball-milling (HM) compared with the large Cu-cored structure powder by the low energy ball-milling (LM). After the HM for 20h, the W grain size of the reduced W-Cu powder was about 20-30 nm.

한글 문자의 로마문자 표기에 대한 제안 (A Proposal for Roman Representation of Hangul Characters)

  • 강주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0-14
    • /
    • 1989
  • 한글문자를 기계화하기 위하여 로마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한다. 현재 남한안이나 북한안은 서로 이견을 보이고 있어서 국제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제안에서는 남, 북한 안과는 달리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모두 활용하며 다양한 모음의 구성에서 음성학적으로 표기한다. 이 표기법은 자체의 합리성, 국제표준과의 호환성 판독의 편리성, 음성인식에의 이용성등에서 기존 표기체계보다 유리하다.

  • PDF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한 Cu2Zn(Sn,Ge)S4 나노결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태양전지 (Mechanochemically Synthesized Cu2Zn(Sn,Ge)S4 Nanocrystals and Their Application to Solar Cells)

  • 박보인;이승용;이도권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4권3호
    • /
    • pp.114-118
    • /
    • 2016
  • $Cu_{1.8}Zn_{1.2}(Sn_{1-x}Ge_x)S_4$ (CZTGeS) nanocrystals were mechanochemically synthesized from elemental precursor powders without using any organic solvents and any additives. The composition of CZTGeS nanocrystals were systematically varied with different Ge mole fraction (x) from 0.1 to 0.9. The XRD, Raman spectroscopy, high-resolution TEM, and diffuse reflectance studies show that the as-synthesized CZTGeS nanocrystals exhibited consistent changes in various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as a function of x, such as lattice parameters, wave numbers for $A_1$ Raman vibration mode, interplanar distances (d-spacing), and optical bandgap energies. The bandgap energy of the synthesized CZTGeS nanocrystals gradually increases from 1.40 to 1.61 eV with increasing x from 0.1 to 0.9, demonstrating that Ge-doping is useful means to tune the bandgap of mechanochemically synthesized nanocrystals-based kesterite thin-film solar cells. The preliminary solar cell performance is presented with an efficiency of 3.66%.

부수게(산자)에 관한 식품과학적 해석

  • 김중만
    • 좋은식품
    • /
    • 통권121호
    • /
    • pp.15-25
    • /
    • 1993
  • 부수게는 찹쌀이 주원료인데 찹쌀의 수침은 다른 가공공정에서 볼 수 없는 장시간 수침을 실시함으로써 이 기간 동안 유기산의 생성을 유도하여 팽화도에 마이너스 영향을 주는 $Ca^{2+}$$Mg^{2+}$을 용출시켜 부수게의 팽화력증가를 유도하여 온 특이한 공정으로 이는 부수게 제조공정에서 미생물의 작용을 활용하여 온슬기를 엿볼 수 있다. 또 한가지 특징은 대두의 첨가는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키는 의미도 있으나 찹쌀가루를 찔 때 대두에서 유래한 armylase가 전분에 작용하여 건조된 부수게 반대기의 결정화도을 낮게하여 건조 취급중 균열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찧을 때 점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수게 제조시 대두를 첨가하는 것은 영양성, 기능성에서 볼 때 우리가 창출한 쌀과 대두의 조화적 이용의 한예가 된다. 부수게는 우리가 흔히 먹고 있는 밥, 떡 죽처럼 상압에서 가수해서 호화한 것이 아니라 호화후 고온(170$^{\circ}C$)에서 팽화하여 다공성구조를 형성시키므로써 밥이나 떡에서 전혀 느낄수 없는 crunchy type의 snack성을 가지는 과자로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제조공정은 12단계 이상으로 복잡하며 제조원리면에서 볼 때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미생물학적인 공정이 조화적으로 활용되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재현성이 낮은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적합한 기계화와 자동화공정이 선결되어야 하는 데 떡의 높은 점성이 기계화와 자동화에 큰 제한요인으로 남아 있고, 또한 부수게 반대기를 건조하는 동안 반대기의 균열(cracking)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건조조건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남아 있다.

  • PDF

기계화학적 방법에 의한 CuSbS2와 CuSbSe2 나노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CuSbS2 and CuSbSe2 Nanocrystals by a Mechanochemical Method)

  • 박보인;이승용;이도권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140-144
    • /
    • 2017
  • $CuSbS_2$ (CAS) and $CuSbSe_2$ (CASe) nanocrystals (NCs), which consist of earth-abundant elements, were synthesized by a mechanochemical method. Elemental precursors such as copper, antimony, sulfur, and selenium were used without adding any organic solvents or additives. The NCs were synthesized by milling for a few hours. The sudden phase changes occurred by self-ignition and propagation, as previously observed in other mechanochemical synthetic processes. The XRD, Raman, and TEM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rystallinity and secondary phase of the as-synthesized CAS and CASe NCs, confirming the phase-pure synthesis of CAS and CASe. Opt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UV-Vis spectroscopy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band gap energies were about 1.1 and 1.5 eV, respectively for CAS and CASe,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the use as solar cell materials. The NC colloids dispersed in anhydrous ethanol were prepared and coated on Mo substrates by a facile doctor-blade method. The investigation on the solar cell properties of the as-synthesized materials is under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