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간분리

Search Result 1,01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ate curve equation according to vegetation density (식생 밀도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Lee, Jung Hoon;Kim, Young Jin;Kim, Seung Hyun;Lee, Jae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9-409
    • /
    • 2021
  • 하천 내의 식생은 발달시기에 따라 휴지기, 성장기, 소멸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에 따라 수위-유량관계곡선에 많은 전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생의 성장과 소멸 뿐만 아니라 하도와 하안영역의 식생 군락의 밀도 증감에 따라서도 다양한 형태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전이가 발생한다. 식생의 성장기에는 식생의 밀도가 서서히 증가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전이가 발생하며, 식생의 소멸기에는 식생의 밀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전이가 발생한다. 식생에 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은 식생의 성장과 소멸뿐만 아니라 하도와 하안영역의 식생 군락의 식생 밀도 역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는 특정기간(6월~10월)에 집중되는 경향으로 인하여 식생의 성장과 소멸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 확인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최근 과거와 다른 형태의 강우패턴으로 인한 하천의 단면형상 변화로 인하여 하도와 하안영역의 식생영향이 감소하는 경향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단면변화로 인하여 하천 내의 하안영역과 식생 밀도 감소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완주군(소양용연교)관측소를 대상으로 2018년과 2020년의 식생밀도와 식생 및 하도 모니터링을 통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8년에는 식생의 활착, 성장, 소멸에 따라 다양한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2020년에는 식생의 활착, 성장, 소멸 뿐만 아니라 홍수 전후 식생 밀도 감소에 따른 기간분리가 추가로 발생하였다. 2020년은 과거와 달리 집중호우가 장기간(약34일)발생하였으며 그에 따라 홍수 전후 단면변화가 과거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2018년과 2020년 측정성과 검토 결과 유사한 수위에서 약 3배의 유량차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의 식생밀도 변화로 흐름 특성이 변화하는 기간의 유량측정성과 확보를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감식초 발효용 초산균의 분리 및 특성)

  • Park, Mi-Hwa;Lee, Jeong-Ok;Lee, Ju-Young;Yu, Seon-Joo;Ko, Yu-Jin;Kim, Yeong-Hoon;Ryu, Ch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8
    • /
    • pp.1251-125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Ace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tatically fermented vinegar. Microscopically the cells appeared as non-motile and non-flagellated, preferentially occuring in pairs. Isolated strains were able to grow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 ethanol, and glucose. Four of them produced 2-ketogluconic acid but did not produce 5-ketogluconic acid. The four strains isolated from statically fermented vinegar were considered to be grouped into Acetobacter. The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persimmon juice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They produced acetic acid in the range of 5.25$\∼$5.68$\%$.

Development of GZF Assessment System on Rating Curve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GZF 평가 시스템 개발)

  • Lee, Yeon-Kil;Shim, Eun-Jeung;Kim, Hyoung-Seop;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54-1858
    • /
    • 2007
  • 수자원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는 고품질의 유량측정 자료를 확보하여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수공구조물 설계, 친수 하천공간 조성, 친환경적인 하천의 설계, 하천 관리수량 산정, 홍수 예 경보 운영 등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신뢰성 있는 곡선식은 계측장비의 개량과 유량관측 기준의 강화 등을 통하여 축적된 양질의 유량측정 자료로부터 개발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특성과 통제구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도 곡선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제단면의 가장 낮은 부분의 수위로 정의되는 흐름이 0인 수위인 GZF(Gauge Height of Zero Flow)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GZF의 변화에 따라 곡선식의 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엑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GZF 평가 시스템은 입력자료 구축 모듈,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 단면 입력 모듈, GZF 설정 모듈, GZF 평가 모듈의 4개 모듈로 구성되었다. 입력자료 구축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는 모듈이며, 하도 단면 입력 모듈은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상의 변화 유무와 구간분리, 기간분리 등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GZF 설정 모듈은 GZF의 변화가 곡선식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GZF 평가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와 금회 개발될 곡선식의 GZF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할 때 GZF 산정의 오류를 감소시켜 앞으로 개발될 곡선식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일상용기 생산으로 전락하여 소규모화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

  • PDF

The Effects of Storage of Human Saliva on DNA Isolation and Stability (인체타액의 보관이 DNA 분리와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Woo;Kim, Young-K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1
    • /
    • pp.1-16
    • /
    • 2006
  • The most important progress in diagnostic sciences is the increas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agnostic procedur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icromethodologies and increasing availability of immun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reagents. The technological advances led to consider the diagnostic use of saliva for an array of analytes and DNA sour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DNA from saliva with those from blood and buccal swab, to evaluate diagnostic and forensic application of saliva,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enomic DNA in saliva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f saliva samples, and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DNA from saliva stored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by PCR analysis. Peripheral venous blood, unstimulated whole saliva, stimulated whole saliva, and buccal swab were obtained from healthy 10 subjects (mean age: $29.9{\pm}9.8$ years) and genomic DNA was extracted using commercial kit. For the study of effects of various storage conditions on genomic DNA from saliva, stimulated whole saliva were obtained from healthy 20 subjects (mean age: $32.3{\pm}6.6$ years). After making aliquots from fresh saliva, they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4^{\circ}C$, $-20^{\circ}C$, and $-70^{\circ}C$. Saliva samples after lyophilization and dry-out procedure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fter 1, 3, and 5 months, the sam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enomic DNA in saliva samples. In case of saliva aliquots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dry-out samples, the results in 2 weeks were also included. Integrity of DNA from saliva stored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was also evaluated by PCR amplification analysis of $\beta$-globin gene fragments (989-b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ncentration of genomic DNA extracted from saliva was lower than that from blood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types of saliva samples. Purities of genomic DNA extracted from stimulated whole saliva and lyophilized on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blood (p<0.05). Purity of genomic DNA extracted from buccal swab was lower than those from various types of saliva samples (p<0.05). 2. Concentration of genomic DNA from saliva stored at room temperature showed gradual reduction after 1 month,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3 and 5 months (p<0.05, p<0.01, respectively). Purities of DNA from saliva stored for 3 and 5 month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ose of fresh saliva and stored saliva for 1 month (p<0.05). 3. In the case of saliva stored at $4^{\circ}C$ and $-20^{\circ}C$,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oncentration of genomic DNA in 3 months. Concentration of DNA decreased significantly in 5 months (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ncentration of genomic DNA from saliva stored at $-70^{\circ}C$ and from lyophilized on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Concentration of DNA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5 months. 5. Concentration of genomic DNA immediately extracted from saliva dried on Petri dish were 60% compared with that of fresh saliva. Concentration of DNA from saliva stored at room temperature after dry-out showed rapid reduction within 2 weeks (p<0.05). 6. Amplification of $\beta$-globin gene using PCR was successful in all lyophilized saliva stored for 5 months. At the time of 1 month, $\beta$-globin gene was successfully amplified in all saliva samples stored at $-20^{\circ}C$ and $-70^{\circ}C$, and in some saliva samples stored at $4^{\circ}C$. $\beta$-globin gene was failed to amplify in saliva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dry-out saliva.

Data Exchange System Implementation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Physically Disconnected Networks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료교환시스템 구현)

  • Han, Youngsub;Kim, J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436-438
    • /
    • 2010
  • 중요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인트라넷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기간에서는 최근에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로 인해 서버간의 데이터 전송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사용자들이 인터넷 자료를 인트라넷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자료교환이 불편하고 처리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된 인터넷과 인트라넷간에 사용자들이 손쉽게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된 네트워크간에 대용량 파일의 효과적인 송수신 및 e-mail 을 발송할 수 있는 자료교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구현한 내용을 다루었다. 자료교환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를 제공하였고, 자료교환을 위한 행정처리 시간도 감소되었다.

RVSM 공역수립 및 운용 요구조건 분석

  • Kim, Seung-Kyem;Park, Jong-Hyu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179-185
    • /
    • 2003
  • In this study, considerations for establishing RVSM airspace and requirements for RVSM operating aircraft are verified. The purpose of RVSM is to reduce vertical separation minimum for aircraft which operate between FL290~FL410 inclusive in regional airspace, and to increase airspace capacity by providing additional flight levels. To introduce RVS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quantatively airborne collision risk due to the reduction in vertical separation minimum. Aircraft operating through RVSM airspace is required to verify that height keeping performance is above specific standards.

  • PDF

초유에서 분리한 면역조절물질인 MIEF가 B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이종길;한성순;이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55-255
    • /
    • 1994
  • MIEF는 소의 초유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자량 22,000 dalton의 peptide로서 말초혈액 림파구의 배양액에 첨가할 경우 자연살해세포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유기간별 MIEF의 함량 및 MIEF가 B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유기간별 MlEF의 함량을 competitive ELISA inhibition assa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MIEF의 함량은 수유 첫째날의 초유에 109$\mu\textrm{g}$/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여 3일째 이후에서는 3-4$\mu\textrm{g}$/ml이하로 존재하였다. MIEF가 B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의 편도선에서 분리한 림파구의 배양액에 MIEF를 가하고 5-9일간 배양한후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의 수를 ELISPOT assay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MIEF는 10-30$\mu\textrm{g}$/ml의 농도에서 B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그 정도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유사하여 MIEF가 B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작용이 아주 강력함을 알수 있었다.

  • PDF

Operation of Su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3 (2003년 섬강 시험 유역의 운영)

  • Kim, Sung Hoon;Choi, Hung Sik;Kim, Sang Ho;Lee, Pil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78-583
    • /
    • 2004
  •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우량, 하천 수위, 유량 등과 같은 기포 수문자료이다. 이들 자료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관측에 의한 장기적인 수문자료로 축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횡성군의 남한강 제1지류인 섬강의 상류에 위치한 계천 유역과 같은 산지지형에 대한 시험유역의 운영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산간유역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량자료는 지점별로 10분 및 1시간 간격으로, 수위자료는 10분 간격으로 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수위관측소에 대한 정기적인 유량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지점별 수위-유량관계곡선을 개발하였으며, 이때 홍수로 인한 하상변화를 고려하여 자료에 대한 기간분리와 저수위 및 고수위에 대한 구간분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축적된 수문자료들은 산간유역의 물 순환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at Yongdam-Guryang study catchment (용담-구량천 유역의 유출 특성 분석)

  • Lee, Hyo Sang;Chang, Hyung Joon;Hwang, My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7-527
    • /
    • 2016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 등으로 인하여,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등 수자원관리에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토양수분량, 강우량, 수위관측 및 증발산량 관측이 수행되고 있는 용담-구량천 유역을 대상으로, PDM 토양저류 함수 모형을 습윤(6월~9월) 및 건조(10월~5월)기로 분리 적용하여 기간에 따른 유역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습윤 및 건조기의 유출률(유량/총강우량)은 각각 0.61~0.65와 0.31~0.42으로 서로 다른 유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2014~2015년 유역의 관측 토양 수분 자료(심도 100~200mm)와 PDM 토양저류 함수를 활용한 모의 결과가 습윤기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R2=0.9). 이를 바탕으로 용담-구량천 유역의 토양 저류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간을 습윤기 및 건조기로 분리하여 각각의 유역 유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단기 홍수 사상의 분석을 통한 홍수 유출 및 토양 저류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안테나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48
    • /
    • pp.42-48
    • /
    • 1991
  • 최근 체신부는 92년부터 96년까지의 정보통신기술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이와관련 정부는 ETRI를 연구기능별로 분리, 분야별 독립적인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으로 관련부처가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기간동안 체신부가 추진하게 될 기술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