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가비트 이더넷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차세대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 기술

  • 백정훈;주범순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83-95
    • /
    • 2004
  • 이더넷 특유의 범용성과 라인 속도의 포워딩 기능을 제공하는 고성능 네트워크 프로세서의 등장으로 메트로 이더넷의 핵심 장비로 선보인 이더넷 스위치는 메트로 영역에서의 성공 여세를 몰아코어 영역까지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더넷 스위치의 시장 변화에 따라 세계 유수의 이더넷 스위치 벤더는 스위칭 용량에 있어서는 수 Tbps ∼ 수 십 Tbps, 라인 인터페이스 및 패킷 처리 능력에 있어서는 10 기가비트 이더넷을 넘어 이것의 후속 버전인 40 기가비트 이더넷 혹은 100 기가비트 이더넷을 수용하면서 캐리어 수준의 신뢰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이더넷 스위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10기가비트 이더넷 기술과 응용

  • 강성수;강태규;정해원
    • 전자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61-73
    • /
    • 2001
  •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 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WAN : Wide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MAN : Metro Area Network)는 서로 다른 표준의 전송 속도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동 등에 있어서 비용 대비 성능을 최적화 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이들의 네트워크에 소요되는 대역폭의 증가에 따라 통신사업자 및 장비업체에서는 각 네트워크의 전송속도가 초당 10기가비트로 수렴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기가비트 이더넷 기술은 IEEE 802.3 그룹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초고속 LAN 기술로서 기가비트에 그쳤던 LAN의 속도 개선과 아울러 MAN-WAN의 종단 네트워크 일부로써 LAN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기간 네트워크 기술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들이 10기가비트 이더넷 기술을 사용되면 LAN과 MAN/WAN으로 분리되었다. 네트워크 경계가 허물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급증하는 향후 트래픽의 대부분이 인터넷 트래픽임을 감안하면 이에 적합한 해결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10기가비트 이더넷 기술과 관련된 국제 표준화 동향과 기술 요소 및 10기가비트 이더넷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의 응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트랜드리포트 / 꿈의 속도 10기가비트..'폭발적 네트웍 수용량 대안으로 등장'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98호
    • /
    • pp.64-67
    • /
    • 2001
  • 네트워크 매니저들은 서서히 10기가비트 이더넷을 준비하려는 움직임들을 보이고 있다. 이들의 최초 준비 작업은 구리선을 버리는 것이다. 새로운 이더넷은 광섬유가 필요하지만 기존 광 네트워크와는 달리 커버할 수 있는 거리가 매우 짧다. 그리고 이미 구축된 광 인프라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10기가비트 이더넷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 PDF

10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레임 다중화기/역다중화기와 IPC를 갖는 10기가비트 이더넷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10Gigabit Ethernet System with IPC and Frame MUX/DEMUX Architecture)

  • 조규인;김유진;정해원;조경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5호
    • /
    • pp.27-36
    • /
    • 2004
  • 최근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매우 빠른 고속 네트워크 장비에 네트워크프로세서(NP)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 한계를 벗어나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라우팅 기능과 패킷처리 기능을 분리하는 분산형 시스템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0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를 가지는 10기가비트 에지 스위치 시스템에 적용한 패킷 라우팅 처리와 OAM 처리를 위한 분산형 이더넷 IPC 통신 메커니즘과 10Gbps급 이더넷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레임 방식의 MUX/DEMUX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산형 이더넷 UC 통신 메커니즘 구조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10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갖는 320Gbps급의 백본용 이더넷 스위치 시스템에도 적용하였다.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과 표준화 동향

  • 정태식;주범순;정해원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3-82
    • /
    • 2004
  • SONET/SDH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은 10Gb/s급인 OC-192에서 40Gb/s급인 OC-768 로 발전하였으며, 이더넷 (Ethernet)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은 1998년 1기가비트 이더넷 기술이 표준화된데 이어 2002년에 10기가비트 이더넷기술의 표준화가 완료되었고 조만간 후속 기술로서 40Gb/s또는 100Gb/s급의 이더넷에 대한 논의가 대두될 것으로 예측된다.(중략)

  • PDF

기가비트 이더넷 8B/10B 선로부호의 Running Disparity 에러 검출 회로 설계 (A Design of Running Disparity error detection circuit for Gigabit Ethernet 8B/10B Line coding)

  • 이승수;송상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0B호
    • /
    • pp.1470-1474
    • /
    • 2001
  • 8B/10B 선로부호를 채택한 기가비트 이더넷 PCS 수신측에서는 동기부의 바이트 동기획득과 수신부의 디코딩을 위해 Running Disparity(RD) 에러인 데이터열을 검출해야 한다. 기존의 RD 에러 검출 방법은 직렬 입력 비트에서 RD 에러를 검출하였으나 제안하는 RD 에러 검출 방법은 125MHz 속도의 10비트 데이터열을 받아 4비트열과 6비트열로 나누어 바이트 클럭에 따라 RD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전의 RD값과 현재의 RD값을 비교하며 RD 위반 에러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는 기존의 RD 에러 검출 방법이 비트 클럭과 니블 클럭에 따라 RD 에러를 검출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초고속 처리에 대한 한계를 해결한 것이며 기가비트 이더넷에 적합한 새로운 RD 에러 검출 방법이다.

  • PDF

HVIA-GE: 기가비트 이더넷에 기반한 Virtual Interface Architecture의 하드웨어 구현 (HVIA-GE: A Hardware Implementation of Virtual Interface Architecture Based On Gigabit Ethernet)

  • 박세진;정상화;윤인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5_6호
    • /
    • pp.371-37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PC 클러스터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수준 인터페이스인 Virtual Interface Architecture(VIA)를 기가비트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여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기가비트 이더넷 상의 하드웨어 VIA (HVIA-GE)는 PCI 33MHz/32bit 버스 기반으로 하고, 물리적인 네트워크로는 고성능 클러스터 시스템 구축을 위해 기가비트 이더넷을 채용하였으며, FPGA를 사용하여 VIA 프로토콜 엔진을 구현하였다. 주소변환 및 Doorbell 메커니즘을 커널의 간섭 없이 하드웨어로 처리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효율적인 주소변환을 위해 ATT를 HVIA-GE 카드상의 SDRAM에 저장하고 VIA 프로토콜 엔진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개발하였다. 이러한 구현의 결과로 송수신시에 발생하는 통신 오버헤드를 대폭 줄이게 되었으며, 최소 11.9${\mu}\textrm{s}$의 지연 시간, 최대 93.7MB/s의 대역폭을 얻을 수 있었다 HVIA-GE는 최소 지연시간에 있어서 기가비트 이더넷 상에서 VIA의 소프트웨어 구현 방식인 M-VIA에 비해 약 4.8배, 기가비트 이더넷상에서의 TCP/IP에 비해 약 9.9배 빠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최대 대역폭에 있어서는 M-VIA에 비해 약 50.4%, TCP/IP에 비해 약 65%의 성능향상을 가져왔다.

기가비트 이더넷상에서의 M-VIA 구현 (M-VIA Implementation on a Gigabit Ethernet Card)

  • 윤인수;정상화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12호
    • /
    • pp.648-654
    • /
    • 2002
  • 클러스터들을 연결시키는 통신 모델로 업계 표준인 VIA(Virtual Interface Architecture)가 있다. VIA의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으로는 M-VIA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IP를 지원하는 기존의 AceNIC 기가비트 이더넷 카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수정을 가하여 M-VIA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M-VIA의 데이터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분석하여 기가비트 이더넷 카드가 1514 bytes이상의 MTU를 지원할 경우, 기존의 M-VIA 뎨이터 세그멘데이션 크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MTU와 M-VIA 데이터 세그멘테이션 크기를 다르게 해서 실험하였고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가비트 이더넷 망에서 OFB 방식을 이용한 물리 계층 프레임 보안 기법 (Frame security method in physical layer using OFB over Gigabit Ethernet Network)

  • 임성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7-26
    • /
    • 2021
  • 본 논문은 기가비트 이더넷 망에서 AES 알고리즘을 적용한 OFB 방식의 암호화/복호화를 이용한 물리 계층 프레임 보안 기법에 관한 것이다. 기가비트 이더넷 망에서 데이터 송수신시에 프레임을 보안 강도가 강력한 AES 알고리즘을 적용한 OFB 방식의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는 물리 계층에서의 데이터 보안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기가비트 이더넷망 운영 시에 보안 기능이 없으나 데이터 보안이 필요할 경우에 본 기법을 적용한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기가비트 이더넷 망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 이더넷 프레임은 IEEE 802.3 규격에 준하는 데 이 프레임에는 데이터 필드 외에도 수신 노드에서 데이터의 올바른 수신을 보장하기 위한 몇 개의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암호화 시에는 이러한 영역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만 암호화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평문으로 구성된 IEEE802.3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만 송신노드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 노드에서 수신한 후 데이터 영역만 복호화하여 전송된 평문이 복구됨을 확인하여 암호화/복호화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보안 기능이 없이 운용하는 이더넷 망에서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요구될 시에 본 기법을 적용한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1000BASE-X PCS 구현 방안 (A method of Implementation in 1000BASE-X PCS layer)

  • 이승수;정인택;송상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A호
    • /
    • pp.873-878
    • /
    • 2001
  • 광케이블을 이용한 기가비트 이더넷은 8B/10B 선로부호 방식을 채택하여 전이중 통신뿐만 아니라 CSMA/CD 방식의 반이중 통신을 지원토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2대의 1000BASE-X 장치 사이에 구성정보를 교환하여 가장 적합한 통신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 자동절충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기능이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기존의 전이중 방식만의 PCS 설계 방법과 비교하여 반이중 방식까지 지원할 수 있는 PCS 부계층을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 시스템의 ASIC 칩 안에 구현한 적용 예를 바탕으로 PCS 설계 규격, 구조 및 방법 등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