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긍정적 특성

Search Result 2,3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개인 커뮤니티 사용자의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Jeong, Yeong-Su;Jeong, Cheol-H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37-244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 커뮤니티의 성장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국내 개인 커뮤니티의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싸이월드 미니홈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놀이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위험 등 개인 커뮤니티의 네가지 지각된 특성요인들이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만족 정도가 지속적 사용의도 형성에 미치는 상호 영향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거쳐 구조화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미니홈피 사용자 4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니홈피의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놀이성과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니홈피의 지각된 특성 중 지각된 놀이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위험 등의 세가지 요인이 사용자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미니홈피 사용자의 만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사용자의 만족 수준은 미니홈피의 지각된 특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인 커뮤니티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장기적으로 충성스런 회원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창의적 특성을 매개로)

  • Lee, Eun-Il;Ko, J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461-47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144 elderly people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Second, experiences in creation and appreciation, subfactor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Third, creation and appreci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ve traits of individuals. Fourth, individual creative trai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elderl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have positive effect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can be enhanced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raits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has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The Effects of Peer Group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 Kim, Hak-Lyoung;Kim, Jeong-Hwa;Chung, Ick-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36
    • /
    • pp.261-288
    • /
    • 2011
  • This study focuses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s one of the necessary elements for youth to grow as a healthy member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group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by comparing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For the study,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Youth General Survey 2008,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ults show that friends'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impact, but friends' antisocial behavior had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esteem and empathy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empathy, self-esteem, friends'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as greater than that of friends' behaviors. Als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behaviors were found. For example,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 pro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self-esteem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ffect of friends' anti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de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empathy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both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were considered valid in explaining prosocial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were discussed.

The Effect of Positive Feedback and Reinforcement on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and the Regulation of Anxiety (긍정적 사고가 운동 수행 능력의 향상과 불안조절에 미치는 영향)

  • Han, Doug-Hyun;Cho, Kyu-Hyun;Min, Kyung-Joon;Na, Churl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5 no.2
    • /
    • pp.107-112
    • /
    • 2007
  • Introduction : A positive thinking has been known to affect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One of temperament characters, harm avoidance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anxiety related behaviors. Golfer showed highest anxiety and lowest score of harm avoidance, compared to any other sports. We hypothesized that positive feedback and reinforcement in golfer would decrease the anxiety and improve the performance. Methods : Fifty one golfers with the age from 15 to 19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25 golfers who used Zinsser's Changing Negative thoughts to Positive thoughts and Beswick's positive self talk when exercise and competition (P-FB) and 26 golfers who had not (controls). Harm avoidance, Spielberg's Trait and State Anxiety, and Golf scores has been assessed at baseline and 6 months later.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harm avoidance, anxiety, and golf scores between P-FB and controls. The total golf scores in both groups have improved after 6 month later. However, P-FB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of total scores and putting scores, compared to controls. The state anxiety in PFB group has been decreased,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controls. The change in the state anxiety was correlated with harm avoidance and the change in total golf scores. Discussions : The positive thinking has enhanced performance and state anxiety.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anxiety in golfers was associated with high harm avoidance.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regulation of anxiety with positive thinking was helpful to the performance enhancement in subject with high harm avoidance.

  • PDF

A Causal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Consumer Attitude, and Intention to Repatronize (지각된 서비스 품질, 소비자 태도, 재이용 의도 사이의 인과관계 모형)

  • 이인구;김종배;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3
    • /
    • pp.44-63
    • /
    • 2000
  • 경영관리의 초점이 생산중심에서 마케팅중심 그리고 서비스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서비스 경쟁이 중요한 생존무기가 되고 있다. 차별화의 수단으로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여러 가지 서비스 속성 중에서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차원을 밝히려는 연구는 많았던데 비해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태도와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여러 차원들이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태도는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소매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소매점 서비스에 관한 인과관계 모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기능적 품질에 속하는 신뢰성 차원과 기술적 품질에 속하는 유형설비 차원이 소비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품질로 볼 수 있는 가격(비용) 차원은 예상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적 품질에 속하는 감정배려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품질을 통해 형성된 소비자 태도는 소매점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소매점을 특성에 따라 몇 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인과관계 모형의 영향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형 할인소매점, 백화점, 주거지역 인근의 소매점들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즉, 태도와 재이용 의도 사이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는 소매점 유형에 관계없이 나타났으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차원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차별화 지표로 서비스 품질을 사용할 경우에 서비스 관리자들이 어떠한 전략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울러 동일범주의 서비스 산업이더라도,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차원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MEs on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 Acceptance of Open Innovation -Focused on Woman's SMEs- (조직의 특성이 개방형 혁신 수용을 통한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여성기업을 중심으로 -)

  • Seo, Yong-Mo;Hyun, B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131-141
    • /
    • 2019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the culture of a company's organization determine its success. Overcoming the company's closed cultur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delegation, open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R&D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pany's performance.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lso play a positive role in embracing open innovation to generate innovativ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positively consider the acceptance and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These variables proved that the nature of a company's organization is a factor in generating a company's performance. In this process, open innovation and the acceptance of external resources also proved to be a positive factor in generating corporate performan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the variables that build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vide a practical attitude to the role of leaders in managing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women's SMEs. n future research,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will be considered.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by applying various variables for generating performance of domestic SMEs by reflecting overcoming regional limitation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SmartWork (스마트워크 수용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Kang, Moon-Seog;Jung, Chul-Ho;Chung, Young-So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1
    • /
    • pp.19-41
    • /
    • 2013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acceptance behavior of user in smartwork.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develop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views.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320 potential users and respondents were employee of Daejeon and Chungnam region.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through covariance structural mode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dividual innovativeness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work, and self 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subjective norm of social influence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image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ird, number of exception of task characteristics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autonomy has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usefulness. Lastly, perceived ease of use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acceptance inten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related to acceptance intention in smartwork.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nds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기완;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97-100
    • /
    • 2023
  • 스타트업은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탄생해 일부는 스케일업(scale-up)하여 유니콘 기업으로 발전하는 반면 일부는 데스밸리(Death Valley)를 넘지 못하고 실패한다. 스타트업이 창업 이후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쳐 나가고 있으며, 창업자 보육에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육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액셀러레이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운용 주체와 내용이 다양하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도 다각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참여자의 특성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CEO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기업성과인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CEO의 긍정심리자본 정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소기업 지원 정책금융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 중소기업은행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와 IBK창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Apartment Brand Image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아파트 브랜드이미지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Moon, Hyog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4 no.3
    • /
    • pp.235-241
    • /
    • 2013
  • There have been a lot of previous studies that brand image has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as well as the value enhancement of the product with the spread of brand importance and the introduction of brand in the apartment. This study verified that brand image can be factorized and separated into two factors - basic characteristics and additional characteristics. The basic characteristics means essential parts that generally should be provided for housing and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are competitively developed concepts introduced by construction companies for sales promo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at verified the effects of the two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re as follows. The basic characteristic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while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are otherwise.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be faithful to the basics than to be competitively differentiated by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partment market.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 Kim, Hea-Sook
    • 모자간호학회지
    • /
    • v.2 no.1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