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성 심근경색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3초

급성 심근경색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증의 수술적 치료: 1례 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Post-AMI VSD - A Case Report -)

  • 황석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4호
    • /
    • pp.424-428
    • /
    • 1992
  • Post-AMI VSD is an infrequent but often catastrophic complication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general, the mortality is associated with end organ failure due to low output syndrome. Therefore, a stable hemodynamic is necessary to prevent the end organ failure. If a supportive therapy does not accomplish it,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Recently, we have experinced a case of post-AMI VSD with cardiogenic shock. Early recognition and surgical repair of post-AMI VSD gave us a good result. Postoperative result was satisfactory and recovery was uneventful. We believe that early surgical repair can be lifesaving in the case of post-AMI VSD with cardiogenic shock.

  • PDF

특집 - 당뇨병환자 사망원인의 75%, 관상동맥질환

  • 김경수
    • 월간당뇨
    • /
    • 통권210호
    • /
    • pp.11-13
    • /
    • 2007
  • 당뇨는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과 함께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4대 주요한 위험요인 중의 하나이다. 당뇨를 가지고 있으면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동맥질환을 비롯한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관상동맥질환은 당뇨병환자에서 높은 유병율을 가지며 당뇨병환자의 사망원인의 75%는 죽상동맥경화와 관련이 있고 그 중 75%는 관동맥질환이다. 과거에 관동맥질환이 없는 당뇨병환자에서 급성심근경색의 발생위험은 현재 관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와 같으며, 특히 여성에서 관동맥질환 사망위험도는 비당뇨여성의 5$\sim$8배로 현저히 높다. 치료법의 현저한 발전으로 관동맥질환의 사망률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당뇨병환자에서는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 PDF

중장년 남성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심혈관위험인자 인식 및 치료추구 장애요인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ecision to Seek Treatment among Middle-aged Men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황선영;권영란;김애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7-55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meaningful them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lifestyle risk factors and barriers in seeking treatment following an acute event of first-tim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ethods: A methodological mixed method of thematic content analysis an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20 male patients < 65 years of age who agreed to be in the study were interviewed using a semistructured during 2008-2009.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matic content analysis and the meaningful themes were coded into SPSS data for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Pre-hospital delay greater than three hours reported by 58.3% (n=70) of the sample and similarly 63.3% had no recognition about their symptoms as cardiac in origin. The mean number of risk factors was $3.9{\pm}1.8$ out of 11 when lifestyle and psychosocial factors were included. From the interview data among the 70 patients delayed greater than three hours, thirty-five themes categorized into 12 main themes influenced the delayed decision which was identified according to personal-cognitive, socio-cultural, and contextual factors. Conclusion: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consider these themes in designing individual interventions to make lifestyle changes and to facilitate more prompt decisions to seek care.

우관상동맥 이상기시를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ith an Abnormal Origin of the Right Coronary Artery)

  • 최시영;김용환;서종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36-639
    • /
    • 2008
  • 우관상동맥 이상기시는 급사, 심근경색, 부정맥이나 실신을 일으킬 수 있으며, 관상동맥경화를 진행시키는 요인으로 여겨진다. 우관상동맥 이상기시에서의 심근 허혈의 기전은 확실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다절편 전산화흉부단층촬영은 비정상적인 관상동맥의 경로와 심근 허혈의 기전을 밝혀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우관상동맥 이상기시와 함께 급성 심근 경색이 있었던 환자에 있어서 관상동맥우회술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심근경색증 환자 중증도 보정 사망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rtality Model of Severity-Adjustment Method of AMI Patients)

  • 임지혜;남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72-2679
    • /
    • 2012
  • 본 연구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사망률 측정을 위한 중증도 보정 모형을 개발하여 의료의 질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의 2005-2008년 퇴원손상환자 699,701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Charlson Comorbidity Index 보정 방법을 이용한 경우와 새롭게 개발된 중증도 보정 모형의 예측력 및 적합도를 비교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모형에는 연령, 성, 입원경로, PCI 유무, CABG 유무, 동반질환 12가지 변수가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CCI를 이용한 중증도 보정 모형보다 새롭게 개발된 중증도 보정 사망 모형의 C 통계량 값이 0.796(95%CI=0.771-0.821)으로 더 높아 모형의 예측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증도 보정 방법에 따라 사망률, 유병률, 예측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 이모형은 의료의 질 평가에 이용하고, 질환별로 임상적 의미와 특성, 모형의 통계적 적합성 등을 고려한 중증도 보정모형이 계속해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성별에 따른 치료추구지연과 관련 경험의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Delay Seeking Treatment and Related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원미숙;신나미;김은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9-469
    • /
    • 2016
  • Purpose: This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delay seeking treatment and related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Methods: Ninety-seve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Results: Mean age of 47 women was $71.5{\pm}13.3$ while that of men was $55.0{\pm}10.9$ (p<.001). More women lived alone and were jobless, less educated, and poorer than men. Men were likely to be 'current smokers' and drink alcohol, however viewed themselves healthier than women (p=.030). Women's hospital stay was $9.23{\pm}21.04$ days while men's was $4.86{\pm}2.72$ days (p=.014). More women had been diagnosed with hypertension (p=.040). Women appeared to report significantly less pain ($6.46{\pm}3.1$) than men ($8.44{\pm}1.8$). More men described their pain as sudden onset (p=.015) and chest pain as major symptom (p=.034) than women. More women were found alone upon onset of symptoms (p=.023) and had important reasons for delay seeking treatment (p=.021) than men. Median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seeking medical service was 1.5 hours for men and 5.1 hours for women (p=.003). Median time taken from onset of symptoms to hospital for therapy was 3.5 hours for men and 9.1 hours for women (p=.019).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s that women reported less pain and delayed in seeking treatment, suggest needs for strategies targeting women at risk of AMI.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Construction of e-Emergency Service System Infra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형회;조훈;김화선;조석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67-1276
    • /
    • 2008
  • 허혈성 심장 질환자가 급성 심근경색으로 병원에 도착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door-to-balloon time)은 환자의 사망률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응급서비스시스템을 개선하고자 3단계의 시간 중 보호자에게 연락과 보호자가 병원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door-to-data time), 이후 시술동의서에 서명할 때까지의 시간(data-to-decision time)을 줄이고자 하였다. 새로운 e-응급서비스시스템은 급성심근경색을 가진 응급시술환자에 대한 병원 내 응급서비스시스템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허혈성 심장 질환자로서 부산대학교병원에 주기적으로 내원하는 환자에게 건강카드(health card)를 발급하였다. 아울러 사전시술동의서는 공인된 전자화 문서로 보관하도록 하였다. 새로운 전자화 시스템은 복잡한 진료 및 시술 절차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응급환자에 대한 인명구조를 용이하게 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의 복잡한 절차로 인한 의료진과 환자의 고충을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PDF

급성 심근경색증 회복 초기의 심실기외 수축 발생에 관련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 (Ventricular premature complexes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early postinfarction period)

  • 최종화;현명수;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1-68
    • /
    • 1990
  • 급성 심근경색증 회복 초기의 심실기외수축은 좌심실의 기능, 연령, 흡연, 당뇨병, 협심중의 기왕력, 심근 경색증의 기왕력과 무관하게 발생하며 ST-T절의 변화는 심실기외수축이 있는 경우에 다발하였다. 수면기에는 각성기에 비하여 심실 부정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