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기량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플랜트 시설물 제연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Removal Equipment in Plant Facilities Using Simulation)

  • 최두찬;양민혁;고민혁;오수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의 유무와 피난 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연경계 벽의 폭, 수직거리에 따른 급기량, 배기량의 변화를 통해 피난 안전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도의 경우 경계벽 0.6m 만을 사용한 경우 5m 이하로 되는 시점이 가장 짧게 도달하였으며 제연경계 폭 1.2m와 제연설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0%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제연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경계 폭만 사용하였을 때 0.6m 보다 1.2m가 20%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제연 경계벽에서는 온도를, 제연설비에서는 가시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제연 경계벽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가시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연설비를 설치하였을 때 온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연계획과 제연 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급기구내 플리머필터 설치 시 외기 침기량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outdoor air flow rate through viovent for hybrid ventilation equipment)

  • 이성환;최종악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37-1342
    • /
    • 2009
  • This test was progressed in the test house of KICT as sectional research of Center for Sustainable Housing. It included a ventilation rate of hybrid ventilation equipment, temperature, and gas test using the SF-6. The purpose of this test is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viovent by estimating an outdoor air flow rate through viovent which the flimmer filter is installed and decide the leakage after operating the constant airflow fan within a house. First, the outdoor airflow rate through viovent measured $130\;m^3/h$ more than a legal required ventilation rate, $104\;m^3/h$. And then it sufficiently satisfy a legal standard, 0.7 air change/h. Secondly, the result of this test exposes that the leakage in the residence is about $20{\sim}25%$. Especially, th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gate occupies 50% of the total leakage.

  • PDF

급기가 되는 이중바닥 구조체의 열 성능 평가 (Estimation of the thermal performance on the double slab floor with supplying air)

  • 차광석;박명식;이대우;남우동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66-871
    • /
    • 2006
  • Recently according to the fashion of well-being, the case study of under floor heating system type for residential space is increasing. Specially double slab floor system can make several roles as reducing the acoustic noises and also supplying fresh air through the gap. So in present study floor heating performance was examined with various location of the space in the case of floor supply air and ceiling supply air. In both cases return air went out through ceiling opening. As one of the result is that when using the heat pipe type floor heating system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pply and return water was $15.2^{\circ}C$, but in case of commercial type floor heating system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5.3^{\circ}C$ when the supply water temperature was $50^{\circ}C$.

  • PDF

도로터널 반횡류환기시스템에서 급배기 포트개도 및 화재시 운영방안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Supply and Exhaust Port Size and Fire Management Method in the Semi-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for Road Tunnel)

  • 유지오;김진수;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68-74
    • /
    • 2016
  • 도로터널에 적용하는 반횡류환기방식은 터널의 전연장에 걸쳐서 단위길이당 풍량이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포트의 개도 조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터널의 경우에는 설계시 이에 대한 고려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도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반횡류환기방식의 터널에서 포트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포트의 개도는 급기방식의 덕트에서는 환기소측에서 덕트의 말단(bulk head)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최소 개도는 56%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배기방식에서는 환기소측이 15% 정도로 가장 작고 bulk head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화재시 300 m 구간의 배연풍량을 검토한 결과, 포트사이즈를 조정하지 않는 경우와 급기방식으로 포트사이즈을 조정한 경우에는 터널중앙부의 배연량이 각각 8.1%와 12.5%로 터널중앙부의 배연풍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횡류환기방식의 터널에서는 평상시 환기효율이 저하하더라도 배연시 균일한 풍량을 얻을 수 있도록 포트의 개도를 설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점진적 샘플링과 정규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온라인 기계학습 공조기 급기온도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Online Machine Learning Model for AHU Supply Air Temperature Prediction using Progressive Sampling and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 추한경;신한솔;안기언;라선중;박철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6호
    • /
    • pp.63-69
    • /
    • 2018
  •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capture the dynamics of building systems with less inputs than the first principle based simulation model. The training data for developing a machine learning model are usually selected in a heuristic manner. In this study, the author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model which can describe supply air temperature from an AHU in a real office building. For rational reduction of the training data, the progres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It is found that even though the progressive sampling requires far less training data (n=60) than the offline regular sampling (n=1,799), the MBEs of both models are similar (2.6% vs. 5.4%). In addition, for the updat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NMI) was applied. If the NMI between the simulation output and the measured data is less than 0.2, the model has to be updated. By the use of the NMI, the model can perform better prediction ($5.4%{\rightarrow}1.3%$).

제연댐퍼 송풍량에 따른 피난 안전 구역 차압 및 연기 거동 특성 연구 (Study of Smoke Behavior and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Refuge Safety Area According to Damper Capacity of Smoke Control)

  • 이재빈;문주현;이성혁;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03-1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 화재 시 피난 안전 구역이 있는 피난 층에서 화재실로부터 발생하는 연기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용코드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다. 화재를 모사하기 위하여 10 MW의 발열량에 해당하는 온도와 속도를 이용하여 부력 plume을 적용하였으며 종 보존 방정식을 이용하여 화재 연기 거동을 예측하였다. 피난 안전 구역에 제연 댐퍼를 설치하여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화재실 문이 열린 경우 25 $m^3/s$, 화재실과 부속실 문이 동시에 열린 경우 50 $m^3/s$의 제연 댐퍼송풍량은 화재 안전 기준 NFSC 501-A를 만족하며 충분히 제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속실문이 열린 경우, 화재실의 문이 닫혀 있더라도 문과 벽 사이의 틈새 면적으로 연기가 피난 안전 구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50 $m^3/s$ 높은 송풍량으로 제연 중 화재실 문이 닫힐 경우 피난자가 화재실에 고립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피난자의 안전을 위해 제연 송풍량의 조절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피난 시나리오에 따른 적절한 송풍량을 제안한다.

층류 반응기를 이용한 수분함량에 따른 석탄 휘발분의 점화 특성에 관한 연구 (Observation of Ignition Characteristics of Coals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 in Laminar Flow Reactor)

  • 김재동;정성재;김규보;장영준;송주헌;전충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5호
    • /
    • pp.451-457
    • /
    • 201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연료 수분 미소 정량 공급기를 장착한 층류 반응기(LFR)에서 수분함량 변화에 따른 석탄의 휘발분 점화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제 발전소의 미분기 출구 분위기와 비슷한 수분량이 석탄량의 20, 30, 40%로 LFR에 석탄과 함께 공급했을 때 휘발분의 점화 위치와 시간을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석탄이 공급되는 층류 반응기 정 중앙의 수직방향으로 $70{\mu}m$ R-type 열전대를 이용하여 복사 열손실을 고려한 가스온도를 측정하였고, 휘발분 점화 위치는 CCD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15~20개의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얻은 평균 값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수분량이 증가할수록 가스 온도는 감소하였고, 점화 위치는 2.92, 3.36, 3.96, 4.65mm로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이론적으로 adiabatic thermal explosion에서의 점화 지연 시간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1kW급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설계 및 스택 성능 예측 모델 개발 (1kW RPG design and its stack performance model development)

  • 김민진;손영준;이원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287
    • /
    • 2009
  • 연료전지는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고 유해 배기물이 거의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고효율 친환경의 연료 전지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보일러와 계통선에서 열과 전기를 공급받는 기존방식에 비해 연료전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의 경우 20%이상 에너지 절감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10kW이하의 소용량 발전설비의 경우 대형 발전소와 같은 수준인 30%이상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없으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적용할 경우 1kW급에서도 35%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열회수까지 고려할 경우 80%에 가까운 열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4)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이외에, 연료변환장치, 급기설비, 열 및 물관리 설비, 전력변환장치 그리고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은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에 가장 의존적인데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은 같은 스택이라도 운전 및 제어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실제로 연료전지 스택 자체의 전기 변환 효율은 최대 40% 까지로 매우 높으나,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라 효율이 30~40% 수준에서 변화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는 종합화된 시스템 측면에서의 운전까지 고려한 설계와 성능 해석이 필요하다. 그간 연료전지를 활용한 가정용 열병합 발전분야에서는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성능 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연료전지 스택의 경우 간이화된 성능 모델식을 사용하여 이로 인한 성능 예측모델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 최적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설계 개발하였으며 이 중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모델을 실험기반으로 구축하였다. 먼저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설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며 이는 1) 시스템 개념 설계, 2) 연료전지 스택 설계, 3) 주변장치 설계, 4) 제어시스템 설계로 이뤄진다.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모델은 고분자연료전지의 성능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스택 성능을 예측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는 간단한 이론 모델의 구조에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기법으로 이뤄졌다.

  • PDF

풍도 내 유동 교란과 자동차압 댐퍼의 성능 특성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Pressure-difference Control Damper Affected by Flow Disturbance in a Wind Tunnel)

  • 윤영민;이민정;김남일;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6-23
    • /
    • 2009
  • 화재 시 피난로의 연기의 확산 침투를 막기 위한 제연 댐퍼의 성능 특성은 FIS 001 규정에 의해 시험되고 있지만 시험 방법 및 규정에 대한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시되었다. 유체역학적인 관점에서 급기 시스템의 끝단에 위치한 제연 댐퍼의 특성은 전체 제연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압댐퍼에 관한 FIS 001 규정의 취약점을 논하고 댐퍼의 주요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 시험 장치 내의 유속 교란은 댐퍼의 성능 특성 시험에 영향이 적음을 확인하였으며 누기량 및 방연 풍속 확보 등과 관련된 실험을 추가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동차압댐퍼의 성능 시험을 위한 설비 구축 및 시험 규정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의 환기기 제어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control method of road tunnel for small vehicles)

  • 류지오;이후영;장지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49-762
    • /
    • 2019
  • 최근 들어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 및 녹지공간 확보를 위해서 도로의 지하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대형차 혼입률이 낮기 때문에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로 계획되거나 건설되고 있다. 또한, 도시에 건설되고 있는 터널은 간선도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장대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환기시스템의 용량이 증대하고 다양한 환기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환기기 운전비용 등 터널준공 후,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따라서 환기기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한 운전단계의 최적화나 환기기 운전제어로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차 전용도로 터널에 ① 제트팬방식과 조합환기방식, ② 제트팬 + 공기정화방식, ③ 제트팬 + 수직갱방식, ④ 제트팬 + 급기반횡류환기방식을 적용하여 에너지 절약적인 환기기 운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운전단계 및 제어로직 최적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조합환기방식의 터널의 경우, 다양한 운전조합이 있을 수 있으며, 발생되는 환기량이 동일할 지라도 운전조합에 따라 소요동력이 크게 차이가 나며, 일반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제트팬 우선 운전방식보다는 축류팬을 우선 운전하는 것이 동력절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