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호강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도시권하천의 수자원 최적관리방안

  • 심순보;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6.07a
    • /
    • pp.179-180
    • /
    • 1986
  • 우리나라 도시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하천의 분류를 끼고 그 중·하류에 위치하여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역활을 하는 다목적 댐을 가진 경우와, 큰 하천의 지류이거나 자체 유역내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능력을 가진 시설을 갖지 못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한강 분류와 부산권의 낙동강 하류, 대청댐 하류-금강 하구언 지역 등은 모두 다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조절 능력을 가진 다목적 댐을 가진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구권은 낙동강 제1 지류 금호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권은 금강의 지류인 무심천 하류에 대전권은 대전천 하류 및 갑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류에 수자원 조절용 댐이나 도시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적정 시설물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인 문제점은 해당 도시로부터 많은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성이 크다는 것이다. 직상류에 팔당댐이 운용되고 있는 한강의 경우, 팔당댐은 한전에 의하여 발전전용댐으로 건설되어 저수 및 갈수기엔 하류의 각종 요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천 유지 용수의 공급을 현재로서는 제도상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금강 하류의 인접지역(전주, 이리, 군산 등)에 광역 금강 상수도 망으로서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대청댐으로서는 하류지역의 요구에 맞추어 댐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권이 있는 금호강은 상류에 영천댐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유역 변경하여 포항 지역에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막상 금호강 자체유역에는 안정된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Effect of metals(Cd & Zn) and its nitrogen compounds on growth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three tributaries and lower reach(Mulgum)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물금)와 세 지류에서 분리된 우점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속(Cd & Zn) 및 그 질소 화합물의 영향)

  • Park, Jae-Rim;Son, Yeon-Ju;Ha, Kyung;Park, Joong-Chul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1 no.3
    • /
    • pp.183-189
    • /
    • 2002
  •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ominant bacteria and the effect of metals(Cd & Zn) and its nitrate compound on growth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three tributaries and low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Mean CFU(log$_{10}$) level was highest in Kumho River(8.30 CFU), Nam River, Hwang River, and Mulgum followed. Staphylococcus xylosus, Staph. lentus, Pasteurella pneumotropica, Aeromonas hydrophilla were dominant species in each study site. Cadmium powder and Zinc powder showed strong effect to inhibit the growth of Micrococcus spp., Pasteurella pneumotropica, Aeromonas hydrophilla. But, nitrate compounds of Cd and Zn(Cd(NO$_3$)$_2$4$H_2O$, Zn(NO$_3$)$_2$6$H_2O$) did not clearly show the strong effect to inhibit the growth of dominants.s.

Evaluation of Flood Runoff Hydrographs by Selection the Estimation Method for Time of Concentration (도달시간 산정기법의 선정에 따른 홍수유출 수문곡선의 평가)

  • Kim, Ki-Dong;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75-137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의 홍수유출을 계산하는데 있어 입력인자로 사용되는 도달시간과 저류상수 등을 산정하는 데 있어 사용되는 경험식들의 조합에 따른 도달시간을 구하고 홍수유출량의 변화양상과 도달시간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RIEND 대표유역인 금호강 유역에 대해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여기서, 각 소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산정은 단일 도달시간 공식의 적용과 도달시간을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고려한 적용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도달시간 및 유입시간 산정에는 Kirpich, Kerby, Kraven, Rziha, Friend 및 Bransby 공식을 적용하였고 유하시간 산정은 SCS 평균유속법을 적용하였다. 국내의 경우 도달시간의 산정은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며, 유입시간 및 유하시간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에 적합한 도달시간 산정에 대한 경험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도달시간의 산정기법은 외국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경험공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각 경험공식의 제한사항 및 검토결과 등을 감안하여 해당유역에 적절한 공식을 수자원 기술자의 판단을 통해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2D Finite Element Analysis in Nakdong-Kumho River Jun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 Hwang, Jae-Hong;Han, Kun-Yeun;Nam, Ki-Young;Choi,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21-34
    • /
    • 2009
  • Usually in flood flow problems, one-dimensional approach does not provide the required details of complex flow phenomena such as the flow in braided rivers and river junction.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sh is constructed using DEM and GIS tool, and applied to RMA-2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dimensional model in natural rivers an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iver flow due to the change of cross section. For model calibration, the result of unsteady flow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ccordingly, the SMS model in this study prove to be very effective and reliable tool for the simulation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low conditions.

  • PDF

Analysis of near-field mixing by tracing EC concentration in natural rivers (자연하천에서 EC 농도 추적을 통한 초기 혼합 구간 해석)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3-123
    • /
    • 2016
  • 만곡부, 합류부 등의 복잡한 지형을 갖는 자연하천에서의 오염물의 혼합 거동에 대한 이해는 수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하폐수처리장과 같은 처리시설의 방류수와 같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경우 하천 생태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러한 방류수는 대부분 지류를 통해 본류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지류로부터 본류로 합류되는 초기구간(near-field)의 경우, 횡방향 및 연직방향의 혼합 거동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과 진천천이 좌안으로부터 합류되는 낙동강 중류 구간에서의 초기 혼합 구간의 연구를 위하여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이용한 농도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온, 전기전도도, 이온화 물질 등과 같은 자연 추적자(natural tracers)를 이용하는 농도 추적 실험은 인공추적자 물질을 이용한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기존 추적자 실험과 비교하여 경제적, 환경적인 효과와 하폭이 넓은 중규모 이상의 하천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험 구간에서 합류되는 2개의 지류 모두 인근 하폐수처리장으로부터 방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본류에서 정해진 측선을 따라 센서가 설치된 보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농도, 수리량 데이터를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취득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지류인 금호강과 진천천의 EC 농도가 합류 전 낙동강 본류의 EC 기저농도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후 지류가 합류된 직후의 측선에서 측정한 EC 농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직방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량이 낮을수록 연직 방향 편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수심이 깊은 구간의 저층부로 갈수록 전기전도도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흐름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연직 편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횡방향 혼합의 경우 지류의 유입으로 인하여 본류 좌안 쪽에서 전기전도도의 값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류로 이동할수록 불균등했던 전기전도도의 분포가 횡방향 혼합을 통하여 균등한 분포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iew of Landform revealed in School Songs: Based o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교가(校歌)에 나타난 대구의 지형관 - 대구 초·중등학교를 사례로 -)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4
    • /
    • pp.83-96
    • /
    • 2012
  • This paper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investigating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on the school songs of the primary 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1)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old-established schools are the traditional physical geographical names such as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The Mt. Biseul and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the identity of Daegu such as Dalgubeol, The Mt. Taebaek, Seorabeol and so forth. 2)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primary schools are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Mt. Biseul in order, while those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secondary schools are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Mt. Biseul in order. 3) Since The Mt. Taebaek and Seorabeol relatively often appear in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we can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 and Silla Dynasty, and that between The Mt. Palgong and The Mt. Taebaek from the viewpoint of feng shui. 4) In case of the school songs in the schools distributed around the area of Suseong-Gu and DalSeo-Gu which are newly developed,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within the two area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physical geographical names(including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the identity of Daegu)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5) The Mt. Palgo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hysical geographical name of Daegu, almost did not appear on the school songs of the schools within the Dalseong-Gun. In other words, the residents in the Dalseong-Gun have recognized the mountain based on The Mt. Biseul rather than The Mt. Palgong. 6) It is special that The Sincheon amounting to the central stream in Daegu almost did not appear on the school songs. 7) It is concluded that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found in this paper can be not only set as main ecological space in Daegu area but also considered in top priority as ecological space in the various plans of development.

Studies on the Water Quality along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in $1978{\sim}80$ (낙동강(洛東江) 중류수계(中流水系)의 수질조사(水質調査) 연구(硏究)$(1978{\sim}80$년(年)))

  • Choi, Eon-Ho;Lee, Su-R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 no.1
    • /
    • pp.31-38
    • /
    • 1982
  • The water quality at the Nakdong River stream was surveyed for 3 years from 1978 to 1980 at quarterly intervals of January, April, June and October at 12 sites along the main stream from Sangju to Imhaejin and at 2 sites of Geumho and Nam River tributaries. The overal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s of dissolved oxygen in the Geumho River tributary on the basis of three-year average were 0.7 ppm in January, 1.3 ppm in April, 4.0 ppm in July and 0.8 ppm in October. BOD concentrations in the same period were 91 ppm in January, 37 ppm in April, 6 ppm in July and 24 ppm in October. The water of Geumho River was so highly contaminated that the water seems to be unsuitable for any type of water use. 2) The relatively clean water in the upstream of the main Nakdong River was rapidly polluted by the highly contaminated water of Geumho tributary. That is, dissolved oxygen and BOD at Hwawon site right after junction of the tributary were 10.4, 8.8 ppm in January, 5.8, 6.5 ppm in April, 6.3, 3.2 ppm in July and 7.0, 5.3 ppm in October, respectively. The values of turbidity, ammoniacal nitroge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also observed to be quite high.

  • PDF

Assessment of Soil-Erosion in Keumho River Watershed (금호강유역의 유사발생 발생 평가)

  • Kim, Seong won;Jeong, Anchul;Yu, Wansi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0-280
    • /
    • 2017
  • 국내의 사면안정평가는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산림청 등의 주요 기관에서 사면을 구성하고 있는 토양특성과 사면경사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대부분 경우 이 기준을 가지고 자연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관리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획이 수립되고 실행되고 있으며 이 중 산지와 기타 지역에서 유입유사는 그 정도에 따라 하천의 통수능력 감소와 하천생태계 교란 등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사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그러나 현재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사면의 붕괴 및 취약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나 유역의 유사발생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상당한 오류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평가기준을 통한 1차적인 평가와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과 퇴적을 분석 결과를 적용한 종합적인 2차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1)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사면안정평가기준을 가지고 대상유역인 금호강유역의 토양특성에 대한 등급을 분류한다. (2)토층, 토지이용, 빈도별 강우자료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C-SEM(Cell-based Sediment Erosion Model)을 이용하여 침식 및 퇴적 깊이를 계산한다. (3)사용하고 있는 평가기준과 침식 및 퇴적깊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금호강유역에서의 유사발생 평가를 위한 지도를 작성한다. 이 연구는 국가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역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에서 유사발생을 평가하고 유사발생 관련인자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Population Dynamics of Predator (Asplanchna spp.) and its Impact on Herbivorous Rotifers Community in Thre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 Korea) (낙동강(한국)의 세 지류에서 포식 윤충류 개체군 동태 및 초식 윤충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Woo;Chang, Kwang-Hyeon;Shin, Woon-Kyun;La, Geung-Hwan;Jeong, Kwang-Seuk;Joo, Gea-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4 s.109
    • /
    • pp.385-393
    • /
    • 2004
  • The herbivorous rotifers community (Brachionus spp.)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predator rotifer (Asplanchna spp.) in three tributaries (Kumho R., Nam R., and Hwang R.) of the Nakdong River were evaluated on biweekly intervals from Jan. 2001 and Dec. 2002. High abundance of the herbivorous rotifers (peak density: - ca.>1000 Ind. $L^{-1}$) was observed from two tributaries (Kumho R. and Nam R.)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asons, respectively. The high peaks of herbivorous rotifers were not evident in one tributary (Hwang R.). Among the herbivorous rotifers, brachionid rotifers (Brachionus spp. consisting of 7 species) were the characteristic rotifer community in this study. Brachionus spp. tended to occur together with the other perennial species, Asplanchna. Asplanchna was also present while two species of B. angularis and B. calyciflorus were highest in density. Subsequently, two populations (B. angularis and B. calyciflorus) rapidly declined, becoming rare after high peaks of Asplanchna occurred, except in one tributary (Hwang R.). We found community shifts in rotifer groups in mid-spring and mid-fall at the study site. The Asplanchna population could be appea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rotifer community and total plankton biomass in spring and fall at high trophic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