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전적 효용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콘텐츠 불법복제의 상대적 편익과 비용이 불법복제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Relative Benefits and Costs of Piracy of Digital Contents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Illegal Duplication)

  • 박경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89-4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합법복제와 비교한 불법복제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을 중심으로, 온라인 디지털콘텐츠 불법복제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과 행동예측이론 기반의 선행연구들에서 주요하게 제시되었던 요인들을 통합하여 비용-편익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합법복제에 비해 불법복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상대적 이익에 관한 결과로, 금전적 효용과 심리적 효용은 불법복제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전적 효용은 불법복제행동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나 불법복제를 행하는 이유가 금전적인 이유에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불법복제의 상대적 손실요인 중 도덕적 비용은 불법복제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술적 비용은 불법복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법복제에 대한 태도와 복제행동은 밀접한 영향관계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태도가 의도를 매개하지 않고도 행동을 이끄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할인점 PB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와 선호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erceived Value and Preference toward the Private Brand of the Discount Store)

  • 김종의;한동여;김소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5-56
    • /
    • 2006
  • PB제품은 NB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 때문에 주로 경제성 추구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가의 프리미엄급 PB제품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PB제품의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둘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가 PB제품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한 후 PB에 대한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 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PB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풍부하고, PB제품을 사용해 본 후 만족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PB제품의 품질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통업체의 점포이미지는 PB제품의 품질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모푸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이 금전효용가치보다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B제품 선호도에는 동일 점포에 입점되어 있는 NB제품의 경쟁력(부의 영향), PB제품 경험 후 태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 그리고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분석 사례를 통해 본 네트워크 포렌식의 동향과 기술

  • 김혁준;이상진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8
    • /
    • 2008
  • 최근 인터넷의 가용성을 위협하는 대형 침해사고는 줄어들고 있으나 스팸, 피싱, 금전적 이익을 위한 분산서비스거부공격 등 악성행위의 양상은 더욱 정교하고 교묘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터넷 이용에 수반되는 잠재적인 위협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악성행위자와 이에 대응하는 보안전문가 간의 비대칭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네트워크 포렌식은 보호하고자 하는 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과 잠재 위협을 정확히 산정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기존의 대응 방법에서 발생하는 비대칭성을 상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포렌식의 동향과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분석 사례를 통해 네트워크 포렌식의 효용을 설명하였다.

원자력 사고시 초기 비상대응 결정지원을 위한 다속성 효용 분석법의 적용 (Application of Multi-Attribute Utility Analysis for the Decision Support of Countermeasures in Early Phase of a Nuclear Emergency)

  • 황원태;김은한;서경석;정효준;한문희;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65-71
    • /
    • 2004
  • 원자력 시설의 사고시 환경으로 방출된 방사성물질로부터 초기 주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행위 결정지원 방안으로 다속성 효용분석 법이 고찰되었다. 속성의 효용함수는 비선형 2차 함수로 가정하였으며, 속성의 가중계수는 swing weighting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원자력시설의 사고시 초기 대응행위 결정지원을 위한 다속성 효용분석법의 적용성에 한정하며, 스트레스 등과 같은 비정량적 속성은 아직까지 자료의 부족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가상사고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무대응, 대피, 소개에 대해 속성 값의 변화에 따른 행위에 대한 총 효응 값을 고찰하였다. 적용한 결과, 피폭선량과 선량의 금전가의 변화에 따라 행위의 총 효용 값은 뚜렷이 다르게 나타났다. 피폭선량과 선량의 금전가의 증가에 따라 대피보다 사회적 영향 등 여러 측면에서 보다 극단적인 대응행위인 소개의 총 효용 값의 순위는 뚜렷이 증가한 반면, 무 대응의 순위는 감소하였다. 선량의 기대 확률도 대응행위 결정지원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상대적으로 고선량의 기대 확률이 높을수록 행위의 우선 순위가 바뀌는 교차점에서 선량의 금전가는 보다 낮게 나타냈다. 또한 선량에 대한 회피심리가 강하게 적응할수록 행위의 우선 순위가 바뀌는 선량의 교차점은 보다 낮게 나타났다.

개인여객 효용의 극대화 및 운송특성공간상의 무차별곡선의 형태와 그 추정 (Utility Maximization, The Shapes of the Indifference Curve on the Characteristic Space and its Estimation: A Theoretical Approach)

  • 김종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8
    • /
    • 2009
  • 개인여객이 운송수단을 선택하여 얻는 효용은 시간, 비용 등의 운송특성과 소득 등 개인특성의 함수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송특성이 여객효용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송특성변수에 대해 선형인 효용함수를 전제로 한 무작위 효용모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여객의 효용극대화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운송수단선택행위가 소비, 여가, 소득창출 등 보다 본원적인 활동으로부터 파생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다시 말해, 개인의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극대화 관점에서 운송수단선택에 따른 효용이 진정으로 선형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결론은 첫째,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이 소비와 여가만의 함수일 때 선형가정은 운송시간의 일부구간에서 진실이다. 둘째, 만일 효용이 노동활동이나 운송시간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을 경우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선형성은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선 선형이 아닌 보다 일반화된 함수에서의 근사가 요구된다.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 이학준;허식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3호
    • /
    • pp.3-30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행복결정요인에 있어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2014 서울서베이"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는 개인의 행복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 자체에서 즐거움이 발생하며 향유 과정에서 또한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이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수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을 고 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저소득 저학력 집단은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문화예술소비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를 통해 얻는 효용의 크기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금전 및 시간적 제약에서 비롯하는 기회비용이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저소득 저학력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소득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출금액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있어 저소득 집단에서 금전적 제약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생산기반 가정아래서의 통행선택행위분석 (A Production-Based Approach to Travel Choice Modeling)

  • 문동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09-231
    • /
    • 2007
  • 이 논문은 통행선택행위를 간접효용함수 대신 체감비용을 비교하는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체감비용 비교방법은 가계생산이론을 통행자가 통행비용과 시간 등 정량적 요소와 함께 안락성과 안전성 등 정량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에 적용하여 도출되었다. 이 분석에서는 통행행위가 통행목적 달성과 함께 여러 정성적 요소를 동시에 산출하는 과정을 기술하는 특수한 형태의 동차 공동생산함수를 고안하여 이용하였다. 통행대안별 체감비용은 금전적인 통행비용에 시간가치 중에서 정량적 요소에 대해 통행자가 느끼는 기회비용을 제한 값을 합하여 산출하였다. 이러한 체감비용은 통계적 측정가능조건을 충족시킬뿐더러 통행선택행위를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통행선택에 대한 통계분석에서 간접효용함수에 비해 통계측정 대상으로서 보다 우수하다.

호텔 종사원의 직원가치와 직무순환 중요도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 Value Pro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Job Rotation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 권나경;김혜린;이인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1-304
    • /
    • 2013
  • 본 연구는 호텔산업에서 종업원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기초하여, 기업의 제안된 직원가치(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와 직무순환의 중요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 특 1,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하였고, 유효표본 379명의 자료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요인분석결과, EVP의 요인으로 '성장개발,' '상호신뢰,' '근무환경,' '역량인정' '급여와 보상' 등 5개 요인이, 직무순환의 요인으로 '개인의 발전과 효용성,' '운영절차,' '경력관리' 등 3개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EVP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EVP의 5개 요인 중 '급여와 보상'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P가 직무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도 '급여와 보상'을 제외한 EVP의 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직무순환의 하위 요소인 '개인의 발전과 효용성', '운영절차', '경력관리' 모두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관적 경력성공 및 직무순환의 인식에 있어 종업원들은 금전적인 보상 보다는 비금전적 보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예, 조직문화의 창출)이 결론 부분에 제시되었다.

  • PDF

하이테크 신제품 구매에 있어 브랜드 혹은 성능 위주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

  • 김상훈;임재연;박현정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5-1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하이테크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와 제품 성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영향 요인들은 크게 제품 요인과 소비자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제품 변수로는 제품의 평가 용이성과 제품의 혁신성을 고려하였고, 소비자 요인으로는 소비자 관여도, 소비자 지식,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제품의 쾌락성/이성성 정도와 제품의 노출 정도에 의해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유형이 변수들의 영향력에 미치는 조절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 제품 전반적으로 소비자 혁신성, 소비자 지식, 제품 평가의 용이성, 제품의 혁신성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평가 용이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브랜드 위주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쾌락성 정도에 따라서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달라지는데, 쾌락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나, 실용재의 경우에는 제품 평가의 용이성과 제품 혁신성, 그리고 소비자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제품 평가 용이성, 제품 혁신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개인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지식과 제품 평가 용이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