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연지도자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기고 - 전자담배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 Park, Jeong-Rae
    • 월간산업보건
    • /
    • s.278
    • /
    • pp.46-55
    • /
    • 2011
  • 최근 국내에서도 전자담배 이용자 수가 늘면서 사업장 금연지도자 보건관리자들로부터 전자담배와 관련한 문의를 부쩍 많이 받고 있다. 필자는 2009년 전자담배 안전실태조사에 전문가 자문을 맡아 참여하였는데, 현 삼성병원 산업의학과 그 연구진행 과정을 대한금연학회에 발표하였고 작년 12월 '전자담배 현황과 대책'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여 전자담배의 안전성과 정부의 관리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올해 전자담배에 대한 언론이 더욱 증폭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관련 부처에서도 전자담배의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서는 사업장의 금언지도자 보건관리자들에게 전자담배 논란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근거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담배와 관련한 국내 외의 최근 연구동향과 성과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 PDF

건협 소식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8 no.12 s.313
    • /
    • pp.39-39
    • /
    • 2004
  • PDF

건협 소식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8 no.8 s.309
    • /
    • pp.41-41
    • /
    • 2004
  • PDF

A Research on the Actual Smoking State and Awareness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흡연실태 및 인식도 조사)

  • Kim, Hee-Kyoung;Kim, Eun-Ju;Lee, Min-Sun;Um, Mi-Ran;Ma, Deuk-Sang;Choi, Yong-Keum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9 no.2
    • /
    • pp.241-247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its use as a basic material to induc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o quit smoking, by raising the awareness of tobacco cessation as well as the actual smoking state. The graduating undergraduates from 10 universities (including colleges) based on their 61 major departments across the country took pan in thi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basically consists of the understanding of smoking, a state of smoking or tobacco cessation(5 questions), and the advisory guidance on quit smoking(4 questions). The questionnaire on the awareness of smoking relating to those work for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s based upon the papers published from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ich is aimed to find out the smoking rate of those involved in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an adequate education for smoking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and hygien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n effort to raise the awareness of smoking and the necessity of tobacco cessation.

  • PDF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on Smoking Cessation Leadership Progra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보건의료인을 위한 금연지도자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 Shin, Sung-Rae;Suh, Hong-Wan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2 no.6
    • /
    • pp.582-593
    • /
    • 2010
  • Purpose: Health care professionals represent an immediately available resource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 content in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courses in most institutions is insufficiently covere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lass hou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tobacco cessation-web-based, multimedia, educational program for a range of medical professionals. Methods: Based on Jung's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Plan Model, a development process was proposed comprising four stages: (1) analysis, (2) planning, (3) production, and (4) operation/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tested using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required to complete the program. Changes in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were measured. Results: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cludes nine topics and 26 sub-topics. A total of 180 storyboards, 15 videos, and 27 pictures were made. After the education, the level of knowled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is web-based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 potential mediu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use in counseling smoking cessation. The study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program may be either offered as a teaching aid or utilized concurrently with lectures for students studying health care-related topics.

The Smoking Status and Its Associated Factors of Some Army Soldiers (일부(一部) 병사(兵士)들의 흡연실태(吸煙實態)와 관련요인(關聯要因))

  • Jung, S.J.;Lee, C.G.;Ryu, S.Y.;Kim, K.S.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1 no.5
    • /
    • pp.426-436
    • /
    • 200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moking statu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military life among young Korean men to provide data for smoking prevention in military areas as a par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oldiers. Methods : 1,033 infantrymen serving in 17 military units, which are located in suburbs of K c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on the soldiers smoking status and other various characteristics was obtained from October 2nd to 12th, 200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various variables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smoking. Results : 1) 830(80.3%) out of 1033 subjects had smoked cigarettes and 759 persons(73.4%) were regular smokers. 2) Among the 734 soldiers who started smoking before their military service, 714 soldiers(97.2%) continued to smoke after, while 45 soldiers(15.0%) among the 299 non-smokers started smoking after joining the army. 3)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ducation level. specialty in the army. smoking amongst the friends they met before military service, smoking amongst soldiers in the army. dating girl friends, drinking, satisfaction with their army lives and the presence of convenient smoking places at the barracks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smoking in soldiers. Conclusion : The factors related with incidence of smoking in the army are the complicated interactions among the individuals personal backgrou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ldier and the special environment in the barracks. Therefore, to improve national soldiers' health, an active non-smoking campaign and education should be pushed to discourage smoking in the barracks.

  • PD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California, USA (미국 California 주의 건강증진사업 사례)

  • Song Hwang,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21-149
    • /
    • 2005
  •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건강문제로는 흡연, HIV/AIDS, 천식, 정신질환, 아동비만, 유방암, API, 건강한 생활양식 형성, 인종간의 건강격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주에서 진행되는 지역사회 중재전략은 지역사회 단체와의 협력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도시지역의 노인이나 다양한 인종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의 경우는 교회를 통한 접근방법이 빈번하게 활용된다. 중재 프로그램들은 지역사회 조직모형과 역량강화의 개념을 활용하며,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는 이들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형태로 기존의 프로그램을 채택하는 것이 아닌 이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도록 수정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개인 간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망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일반인이 건강지도자가 되는 교육모형도 활용하고 있다.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Korean Community Advisory Board, KCAB)는 CDCPRC(CFCH)의 기금으로 진행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할 목적으로 1993년 설립되었다. 장기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하여 전문가와 일반인 지도자들이 지역사회에서 협력하는 방법을 활용하며 요구도 진단, 수행 평가, 건강옹호와 같은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 회원들은 핵심 회원과 일반회원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사업의 수행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가 수행한 프로그램은 'Health is Strength', 'Virtual Village Program'이 있으며, 현재는 'Quitting is Winning'이라는 미국거주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금연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 거주 한국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이 하는 주요 업무는 지역에서 발생되는 건강문제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한국교민들의 건강요구를 파악하고 사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센터에서 진행되는 한국교민 대상 연구나 사업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항이나 적절성 여부에 대한 확인을 하며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확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다양한 인종들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문화적 민감성이나 문화적 대응전략, 문화적 적절성은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할 경우에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또한 이들은 소수민족인 경우가 많아 언어장벽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능숙하게 다루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술이란 문화가 다른 사람들 간에는 갈등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건강관련 믿음과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대안적 해결책을 제시하며,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역에서 health care interpreter는 소수인종의 보건의료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을 위하여 매우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