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성공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 정책 가이드 36 - 금연사업의 평가

  • 박정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84호
    • /
    • pp.24-34
    • /
    • 2011
  • 여기서는 사업장 금연프로그램의 성공을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들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연성공을 평가하기 위한 추적기간을 어느 정도로 정할 것인가? 금연성공을 과연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금연성공여부를 증빙할 수 있는 생의학적 검사 수단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흡연자들의 금연상태 지속여부와 중도탈락률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다양한 금연성공 평가지표들의 장단점과 효용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금연사업의 상황에서 어떤 평가지표가 선호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로 다루고자 한다.

  • PDF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관한 연구 (Long-term Effect of Campus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이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42-451
    • /
    • 2019
  • 본 연구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금연에 성공한 대학생들의 장기금연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에서 36주에 걸쳐 진행되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의 2차 자료와 참여 후 금연에 성공한 전체 금연성공자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30명이었다. 캠퍼스내에서의 흡연이 전면 금지되어 있는 서울시내 일개 대학교의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금연관련 교육과 상담, 주1회 소변 내 Cotinine 검사, 금연장학금 지급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의 평균 금연 성공률은 1차시 50.17%, 2차시 44.16%, 3차시 77.30%로 나타났으며, 2차 성공이후에 금연이 고착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금연에 성공한 이후, 12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참여자는 51.22%, 흡연 재발한 참여자는 무응답 흡연자를 포함하여 48.78%이었다. 금연유지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금연의지(28.57%)였으며, 금연유지의 가장 큰 실패요인은 스트레스(66.67%)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주도적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유도 뿐 아니라 금연을 습관화하여 장기금연 유지자로 전환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역시 소재 일개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6개월 금연 성공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After a 6 Month Cess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of One Metropolitan City)

  • 이무식;홍지영;황혜정;배석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1-3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대전시 보건소 금연 클리닉 이용자 중 금연 성공자와 금연 실패자의 일반적 특성과 흡연특성, 금연특성, 그리고 중재요인 등을 분석하여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했다. 2007년 대전시 보건소 금연 클리닉에 등록된 2,125명을 분석하였다. 참가자의 특성파악을 위한 빈도분석과 특성에 따른 금연성공률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X^2$-검정, 그리고 각각의 특성이 금연성공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6개월간의 전체 금연 성공률은 39.8% 이었다. 금연 성공 집단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또 65세 이상인 집단이 40세 미만인 집단보다 더 금연 성공률이 높았다. 중구보건소가 다른 곳에 비해 높은 금연성공률을 보였다. 금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나이, 보건소, 2단계 니코틴 패치, 총 상담횟수와 유의성을 보였다. 금연성공률에 대한 총 상담횟수는 다른 유의성 있는 요인보다 높은 비차비를 보였다. 따라서 우리는 총 상담횟수가 금연 성공률과 높은 연관을 가지며 상담이 금연클리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일개 지역금연지원센터에 등록된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금연 성공 요인 (Successful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for Male Workers from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Registered with Local Tobacco Control Center)

  • 류일화;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53-265
    • /
    • 2021
  • 이 연구는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 흡연근로자의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G금연지원센터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경남지역의 중소규모 사업장 흡연 남성 근로자 7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소규모 사업장 흡연 남성 근로자의 6개월 금연 성공률은 20.2%였다. 6개월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의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령은 29세 이하, 40~49세는 50세 이상에 비해 성공률이 더 낮았다(OR 0.10, 95% CI 0.03-0.29), (OR 0.43, 95% CI 0.24-0.76). 하루 평균 흡연량이 11~20개비, 21개비 이상이 1~10개비에 비해 성공률이 더 낮았다(OR 0.52, 95% CI 0.34-0.80), (OR 0.46, 95% CI 0.24-0.90). 가족 금연지지자는 배우자와 기타 가족 군이 가족 금연지지자가 없는 군에 비해 성공률이 더 높았다(OR 1.99, 95% CI 1.18-3.34). 본 연구 결과를 보면 가족 금연지지자가 배우자와 기타 가족이 함께 금연지지를 할 때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중소규모 사업장 흡연 남성 근로자의 금연 상담을 위한 금연프로그램 개발 시 금연지지자와 함께 할 수 있는 상담 내용을 개발하고, 상담에 함께 참여하여야 한다. 둘째, 금연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금연지지자들에게 제공하여 금연을 하는 대상자에게 적용한다면 금연 성공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의 금연성공 요인 비교 분석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 이기호;정영철;김계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445-455
    • /
    • 2014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의 금연성공 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9년 7월 16일부터 2010년 7월 15일까지 전국 253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흡연자 319,908명이며, 재등록자와 신규등록자로 구분한 후, 6개월 금연성공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chi}^2$검정과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의 6개월 금연성공률은 재등록자(51.6%)가 신규등록자(48.7%) 보다 높게 나타났고,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는 성, 연령, 사회보장유형, 거주지역, 하루 평균 흡연량, 처음 흡연연령, 니코틴 의존도, 서비스 내용 등이었다. 특히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 중 신규등록자는 행동요법만 제공하는 경우가 금연성공률이 높은 반면 재등록자는 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는 경우가 금연성공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운영함에 있어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등록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전문치료형 캠프 참가자의 캠프 전 후의 심리변화 (서울금연지원센터 금연캠프 참가자 대상으로) (Psychological changes in residential treatment for heavy smokers in Seoul Tobacco Control Center)

  • 천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15-32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전문치료형 금연캠프를 이용한 중,고도 흡연자들의 전, 후 동기변화를 보고 6개월 성공 및 실패집단 간 동기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설계는 금연동기척도의 금연캠프 전, 후 변화와 6개월 금연성공 및 실패집단의 차이를 비교했고, 연구기간은 2015년 8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317명이며, 남자는 1248명(94.8%), 여자는 69명(5.2%)이며, 흡연기간은 31~40년이 413명(31.3%)으로 가장 많았다. 캠프 후 동기가 향상되었으며, 6개월 성공집단이 실패집단보다 전반적인 금연동기(F=6.52, p=.011), 하위영역인 전숙고단계(F=5.12, p=.024)와 숙고단계(F=.90, p=.341), 준비1단계(F=5.79, p=.016), 준비2단계(F=1.33, p=.24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고도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 캠프 프로그램이 금연동기를 향상시키며 6개월 금연성공집단이 더 금연동기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신 의학정보 - 금연, 의지만으로 어렵다면 금연보조제 사용은?

  • 김철중
    • 건강소식
    • /
    • 제37권5호
    • /
    • pp.40-41
    • /
    • 2013
  • 의지만으로 성공하기 쉽지 않는 것이 금연이다. 주변에 흡연자가 많고 흡연 장소가 다양하다면 금연은 더욱 힘들어진다. 그럴때면 한번 쯤 떠올려 보는 생각, '금연보조제 사용해볼까?' 하지만 금연보조제는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한다.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PDF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금연성공 관련요인 (Factors relating to Success to Quit Smoking among Citizens Receiving Smoking-Cessation Clinics Services in a Public Health Center)

  • 임영실;이무식;홍지영;김현수;김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69-5175
    • /
    • 2014
  • 이 연구는 일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이용자의 금연관련 요인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007년 일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된 이용자 2,125명이었다.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장,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이 이용되었다. 6개월 금연 성공률은 39.8%였다. 남성, 65세 이상에서 금연률이 높았다. 고혈압, 주 2회 이상 음주자, 규칙적인 운동자, 10ppm 이상의 일산화탄소량 일수록 금연성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독립변수는 금연성공률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연령, 사용된 니코틴패치 수, 총 의뢰횟수 등이 금연성공과 유의한 기여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총 의뢰횟수가 가장 높은 오즈비를 보였다. 규칙적인 의뢰가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에서 금연성공의 가장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