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관

Search Result 42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f repair of porcelain-fused to metal restorations (치과용 도재용착주조관(陶材溶着鑄造冠)의 수리에 대한 실험적 고찰)

  • Kim, Jin-Wan
    •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
    • v.2 no.1
    • /
    • pp.55-59
    • /
    • 1980
  • 이와 같은 세 기술은 많은 도재용착주조관의 수리에 이용된다고 할 수 있고 이런 기술은 완전한 보철물을 다시 만들지 않고 연장된 도재용착주조관의 수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금속덮개(over casting)와 핀에서 유지를 얻는 금속 전장판에 의한 수리의 성공은 다시 제작한 도재용착주조관의 그것과 비교할 만하다. 그러나 도재에 합성수지(composite resin)를 결합시켜 수리하는 방법은 합성수지(composite resin)가 도재보다 잘 닳을 뿐만 아니라 색깔의 안정성도 좋지 않으며 도재가 금속판에 용착될 때 창조되는 결합력보다 silance bonding agent를 사용하여 창조되는 결합력 즉 화학적 결합(chemical bond)이 약하기 때문에 좋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silance bond repair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도 여러분들과 함께 더욱 더 연구할 과제가 아닌가 생각되는 바입니다.

  • PDF

Development of Residual Tensile Strength Prediction Model for Metallic Water Pipes (상수도 금속관의 잔존 인장강도 추정모델 개발)

  • Bae, Chulho;Kim, Jeonghyun;Woo, Hyungmin;Hong,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3
    • /
    • pp.17-28
    • /
    • 2008
  • In this study, the residual strength prediction models were proposed by measuring various residual strength according to pit characteristics for metallic water pipes such as cast iron pipe (CIP), ductile iron pipe (DIP), and steel pipe (SP). The exponential prediction model was better fitted to measured residual tensile strength for CIP. In case of DIP and SP, the prediction model using loss of strength was more exactly predicted compared with other model types. The fracture toughness were averagely $40.46kgf/mm^2{\sqrt{mm}}$ for CIP, $85.27kgf/mm^2{\sqrt{mm}}$ for DIP, and $92.27kgf/mm^2{\sqrt{mm}}$ for SP,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of between measured residual tensile strength and predicted values for residual strength prediction models using fracture toughness was estimated from 0.44 to 0.86. Especially, the proposed residual tensile strength prediction models were applied for the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to CIPs and DIPs at 14 site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between measured residual tensile strength and predicted values was estimated from 0.76 to 0.78.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proposed residual tensile strength models could help to support resonable and economical decision of rehabilitation/replacement.

  • PDF

A Fundamentals Study on Heat Exchanger using Deep Ocean Water: Effects of Material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심층수 이용 열교환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교환기 재질이 열교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

  • Kwon, Jeong-Tae;Lee, Chang-Kyung;Huh, Cheol;Cho, Meang-Ik;Kim, Ki-Young;Kwo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4658-4664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the tube materials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double-tube heat exchangers for the development of heat exchangers using deep sea water. Heat exchangers made of titanium, aluminum. stainless steel, iron, copper, and aluminum with carbon black 0.015mm and 0.15mm coating were tested. Also, the heat transfer rate of each heat exchanger was calculated by using EES program. The calculat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ones, and the deviations were less than 10%. From the above experiment and analysis, aluminum with carbon black 15 coating can be considered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for the replacement of titanium heat exchanger.

금속 핵연료와 HT9 피복관의 상호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관 내면 도금 연구

  • Yeo, Seung-Hwan;Kim, Jun-Hwan;Kim,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8.1-98.1
    • /
    • 2018
  • 소듐냉각 고속로 (SFR)는 원자력 발전의 가장 시급한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 하여 가동하는 원자로 이다. Generation IV로 명명되는 차세대 원자로 중에 하나로 국제 공동연구와 자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기술이 축적되고 개발되고 있다. 현재 소듐냉각 고속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금속핵연료와 피복관의 상호반응이다. 상호반응이 일어나면 공융현상을 일으켜 피복관의 녹는점이 낮아지고 피복관의 두께가 얇아져 원자로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해도금 (electro-plating)을 활용하여 HT9 피복관 내면에 크롬을 도금하여 금속핵연료와 피복관의 상호반응을 억제하는 연구가 본 연구팀에서 진행되고 있다. 크롬과 전해도금을 코팅 물질과 코팅 방법으로 선정한 이유는 튜브 내면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경제적인 코팅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전해도금 인자 중 온도와 pulse 전류의 파형이 상호반응 방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도금액의 온도를 $50{\sim}80^{\circ}C$, 전류 파형 중 on/off time을 1:1, 10:1, 1:10으로 하여 여러 HT9 시편을 도금하였고 모의 금속 핵연료 합금인 Ce-Nd와 확산 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상호반응 방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 결과 도금액의 온도가 $65^{\circ}C$ 이하인 시편에서는 미세균열이 심하게 발생하였고 그 균열을 통해서 물질이 확산하고 상호반응을 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65^{\circ}C$보다 높은 도금액의 온도에서 형성된 크롬막은 균열이 없고 상호반응 방지 효과가 좋은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전류 파형의 on/off time이 1:1일 때 상호반응 방지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크롬 전해도금의 코팅 조건이 상호반응 방지 효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PDF

A MORPHOMETRIC STUDY ON THE PRIMARY MOLARS AND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유구치 치관 및 기성금속관의 크기에 관한 계측학적 연구)

  • Choi, Ji-Eun;Cheong, Tae-Sung;Kim, Sh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8 no.3
    • /
    • pp.355-362
    • /
    • 2001
  • Data derived from odontometric studies are useful in many areas. Especially crown diameter of primary teeth is important in not only anthropology but also clinical dentist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children with those of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and examine raci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children.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of primary molars were measured on dental casts taken from 235 children(male 105, female 131), with digital calipers. And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members of antimeric teeth and all primary molars of male were larger than those of female. 2. The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are smaller than those of Austrailian aborigin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and those of other populations. 3. There were size differences between diameters of maxillary, mandibular first molar and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than other primary molars, relatively.

  • PDF

Retrospective Study on the Survival Rate of Preformed Metal Crowns in Permanent First Molars (제1대구치 기성금속관 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 Oh, Nayoung;Nam, Soonhyeun;Lee, Jaesik;Kim,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7 no.2
    • /
    • pp.140-147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longevity of preformed metal crowns (PMCs) in first permanent molars and evaluated factors influencing their survival during a long-term follow-up period. In all, 115 first permanent molars treated with PMCs between June 2008 and June 2018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overall combined success rate for the study group was 84.3%. The 5-year survival rate was 82.8%.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es identified distal cavities and mandibular PMC placement as risk factors for restoration failure. Careful placement of PMCs at the final try-in stage augments the longevity of the crown.

The Study of Short Circuit Capacity for Under Ground Cable Joint (지중 전력 케이블 접속함의 단락용량 정토)

  • Ahn, M.K.;Kim, J.N.;Kim, S.Y.;Son, S.H.;Kim, J.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71-173
    • /
    • 2006
  • 지중 전력케이블의 접속함은 금속보호관(Casing or Protective Tube)의 전기적 검토를 통해서 적정 단면적을 산정하여 고장시 고장전류를 흘려주어야 한다. 현재 국내외 금속보호관은 그 재료로서 Copper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시공성 및 취급 용이성 때문에 알루미늄 보호관으로 재질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opper보호관과 Alumlnium보호관에서의 비교검토를 통해서 Aluminium보호관의 유효성을 검토하고 구리에서 알루미늄으로 재질 변경이 이루어 졌을 때 열적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적정단면적을 재 산정한다. 또한 산정된 단면적은 단락시험을 통해서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자재업체탐방 - KS 인증 획득, 관이음쇠 업계 선도 기반 마련 - (주)영화테크 -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8
    • /
    • pp.75-80
    • /
    • 2014
  • 나사식 가단주철제 관이음쇠는 신한메탈, 영화테크(전신 영화금속) 외 국산 8개사, 중국산 9개사 등 모두 17개사가 공급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심한 가격경쟁으로 짝퉁과 중국산 제품이 판치는 시장에서 100% 국내 가공으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며 고객과 신뢰를 쌓아가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나사식 가단주철제 관이음쇠 분야의 명품을 꼽으라면 설비건설업계는 대부분 다이아몬드가 표시된 제품을 집는다. 다이아몬드 표시로 더 알려진 관이음쇠 생산업체인 (주)신한메탈(대표 전진화)은 작년에 영화금속의 나사식 관이음쇠 부문을 인수한 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데 이어 최근에는 엘보, 티 등 스테인리스 조인트 가공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생산시설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PDF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Primary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 (상악 유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 수복을 위한 3차원 분석)

  • Lee, Jungmin;Lee, Hyoseol;Nam, Okhyung;Kim, Misun;Choi, S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3 no.2
    • /
    • pp.176-186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hape and dimension of anterior zirconia crowns to other pediatric crowns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to investigate adequate amount of tooth preparation. Prim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s, stainless steel crowns and celluloid strip crowns were scanned by a three-dimensional scanner. Outer and inner surfaces of zirconia and stainless steel crowns, and outer surface of celluloid strip crowns were analyzed. In outer scanned images, all sizes of central and lateral size 1 zirconia crown had the largest labiolingual diameter among the three crowns. In inner scanned images, zirconia crown's mesiodistal diameter was 0.7-1.0 mm smaller and crown length was approximately 1 mm shorter than those of stainless steel crowns. Zirconia crown's labiolingual diameter was larger in central crowns whereas it was smaller in lateral crowns than that of stainless steel crowns. Recommended preparation required for zirconia crown is incisal 2.5-3.0 mm, mesiodistal 1.5-2.0 mm, labial 0.5-1.0 mm. Cingulum should be trimmed parallel to the long axis. No more lingual reduction is needed in central incisors whereas additional 0.5 mm reduction is suggested in lateral inci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