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자디자인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작은 크기의 한글 디지털 글자디자인 연구 - Noto Sans Korean 폰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igital Typeface Design for small sizes in Hangeul - focus on Noto Sans Korean Font)

  • 박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3-5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작은 크기의 한글 디지털 글자디자인의 형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제안한다. 이 제안은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은 크기의 한글 디지털 글자디자인의 판독성(Legibility)과 가독성(Readability) 향상시킨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작은 크기의 한글을 읽을 때 우리 눈의 피로도를 덜어주고 보기 편안한 글자디자인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한글 디지털 폰트는 기존 구글 폰트인 Noto Sans Korean 디지털 폰트를 기반으로 작은 크기 한글 글자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작은 크기의 글자디자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 한글 디지털 폰트의 비례보다 첫째, 제안하는 글자의 비례가 넓어지고. 둘째, 글자의 획 두께가 두꺼워지며, 셋째, 글자 돌기의 크기가 증가하고, 넷째, 글자의 여백이 증가해야 한다.

  • PDF

한글디자인과 라틴 알파벳디자인의 형태유사성 고찰 1 - 윤디자인 폰트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of the Shape Similarity between Hangeul Typeface Design and Latin Alphabet Typeface Design - focused on YoonDesign Fonts)

  • 박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123-124
    • /
    • 2021
  • 본 논문은 기존 폰트 디자인을 고찰하여 한글과 라틴 알파벳 디자인의 형태 유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고찰을 위해 윤디자인 대표 폰트 20종을 선정하였다. 형태적 관점에서 글자 디자인적 유사성을 찾기 위해 낱자, 낱글자, 낱말, 문장을 기준으로 고찰하였다. 윤디자인 대표 폰트 20종의 한글과 라틴 알파벳 글자 디자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낱자(자소) 디자인은 동일한 형태이지만, 크기와 비례가 변화할 수 있다. 둘째, 낱글자(음절) 디자인은 낱글자 전체의 디자인을 위해 부분적으로 다른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셋째, 낱말(단어) 디자인은 낱말의 우월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문장의 디자인은 글줄의 흐름을 고려하여 글자의 크기, 비례와 기준선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 PDF

제한된 글자 디자인에 의한 한글 조합형 글꼴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Hangul Johap typeface using small character set)

  • 강상수;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17-222
    • /
    • 1994
  • 한글 글꼴을 새롭게 만들려면 지금까지는 기본 글자인 자소를 디자인하든지 아니면 완성된 글자 전체를 디자인해야 했다. 조합형의 글자디자인의 경우, 전체 글자가 아니라 부분적인 한글 전자사전은 많은 양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하며, 빠른 검색 속도를 제공해야 한다. 기존의 트라이는 공통접두사만을 압축하기 때문에 사전의 크기가 방대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DAWG(Directed Acyclic Word Graph)를 이용하여 공통접미사까지 압축하였고, 검색과 기억장소의 효율을 위하여, 링크드리스트 구조의 DAWG를 유형별 배열 구조로 바꾸었다. 전국의 각 학교 이름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DAWG를 이용한 배열 구조의 사전은 트라이와 비교하여 볼 때, 검색 연산의 성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기억 장소의 효율과 압축율에서 효과적이었다. 또한, 트라이보다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의 블록 입출력횟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검색 시간을 낮출 수 있었다.소를 디자인하기 때문에 전체 글자의 모양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고 완성형의 경우 완성된 글자 전체를 모두 디자인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 글꼴 개발의 한 방법으로 제한된 글자의 디자인에 의한 전체 글꼴 생성에 관한 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표준으로 설정된 몇 글자를 디자인하면 그 글자를 분석하여 자소들을 위한 글꼴 화일이 만들어지고 자소 글꼴 화일로부터 다른 모든 글자를 만들어 낸다.

  • PDF

A Lightweight Deep Learning Model for Text Detection in Fashion Design Sketch Imag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 Ju-Seok Shin;Hyun-Woo K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7-2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의류 디자인 도면 이미지의 글자 검출을 위한 경량화된 딥러닝 네트워크를 제안하였다. 최근 의류 디자인 산업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류 디자인 도면 작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디지털화된 의류 디자인 도면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도면에서 글자 검출과 인식이 중요한 첫 단계로 간주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글자 검출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의류 도면 이미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량화된 네트워크를 설계하였으며, 별도로 수집한 의류 도면 데이터 셋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켰다. 실험 결과, 제안한 딥러닝 모델은 의류 도면 이미지에서 기존 글자 검출 모델보다 약 20% 높은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딥러닝 모델의 최적화와 특수한 글자 정보 검출 등의 연구를 통해 의류 디자인 분야에서의 Digital Transformation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기안내식(自己案內式) 해설판(解說板) 글자의 가독성(可讀性)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들 (Influential Factors o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 김상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362-369
    • /
    • 2005
  •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가독성은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정보전달 수단으로서의 효과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들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해설판 디자인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03년 8-11월중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탐방로 방문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탐방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 중 94.7%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19개 속성 중 5개의 속성, 즉 글자수, 글자체의 수, 전 해설판에서 그림이 차지하는 면적율, 글자간격 및 글자크기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속성의 가독성에 대한 설명력은 글자수, 글자체의 수, 그림 면적율, 글자간격, 글자크기 순으로 크게 조사되었다. 이들 5개 속성이 해설판 가독성의 50.0%를 설명하였다. 해설판의 가독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들에 대한 보다 큰 관심과 관리노력을 집중시킴으로써 해설판의 효과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글자꼴의 법적보호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15호
    • /
    • pp.80-85
    • /
    • 2003
  • 법적인 보호장치 미비로 복제에 대해 무방비 상태에 머물된 인쇄용 글자꼴(Typeface)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진다. 특허청은 하나의 글자꼴 개발을 위해 상당한 연구와 시간, 비용이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글자꼴이 아무런 대가 없이 컴퓨터 등에 의해 손쉽게 모방, 복사되어 사용됨에 따라 '의장(Design)법'에 의한 개발자의 재산권을 보호하기로 했다. 특허청은 이를 위해 지난 7월 23일 서울 역삼동 한국지식재산센터에서 경희대 이상정 교수, 서울여대 디자인 학부 한재준 교수 등이 참가한 가운데 '의장법 개정 공청회'를 갖고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들었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경희대 법대 이상정 교수의 주제 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 PDF

한글을 활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넥타이 및 스카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Using Hangeul -Focusing on Necktie and Scarf-)

  • 정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02-113
    • /
    • 2012
  •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 아이콘으로 한글이 급부상하고 있다. 한글은 과학적이며 현대 디자인의 지침서로서도 손색이 없을 만큼 체계적이다. 우선 점, 선, 면 등 아주 단순한 형태들로 다양하고도 아름다운 글자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대칭, 반복 등 기본적인 조형의 원리가 글자꼴에 담겨져 있다. 이러한 글자꼴이 지닌 조형적 특징을 활용하여 직물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 한글의 글자꼴이 지닌 기하학적인 형태와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활용한 넥타이 및 스카프용 직물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글 자음 'ㄱ, ㄹ, ㅁ, ㅂ, ㅅ, ㅇ, ㅍ' 과 한글 모음 'ㅑ, ㅕ'를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아도브 일러스트레이터 10.0을 이용하여 여섯 가지의 넥타이 및 스카프용 직물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을 이용한 문화상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대방송에서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 (Improving Subtitle Design of Mobile Broadcast)

  • 차현희;윤승금;이광직;최성진;이선희;박구만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8-137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 지상파 DMB의 방송자막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방송자막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청 시 방송자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글자 수의 최소화, 명료성을 높이는 글자체와 색상의 배열, 구성 요소의 재배치가 방송자막의 가독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실제 지상파 DMB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화질, 화면 구성, 색상 및 명암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낮았다. 또한 방송자막의 가독성, 정보의 전달, 자막 구성, 글자체, 글자 수 및 글자 크기 등의 평가에서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방송자막 형태 및 구성, 정보량의 제한, 글자의 선명성 및 크기, 색상 배치 및 선명성 등에서 지상파 DMB 화면에 적합하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고려한 자막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 PDF

자기안내식(自己案內式) 해설판(解說板) 글자 속성(屬性)에 따른 가독성(可讀性) 비교(比較)에 관한 연구(硏究) (Comparison of Readability by Text Attributes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 김상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12-22
    • /
    • 2006
  •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정보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설판 글자의 가독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설판의 글자속성에 따른 가독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2004년도 9-11월중 무등산도립공원 내 너덜겅 지역에서 총 139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5개 글자속성(글자체, 글자정렬, 글줄간격, 글자간격, 한 줄의 글자수)의 가독성 비교 결과, 글자크기 58포인트의 경우 글자체는 'Hy 견명조', 글자정렬은 '양단정렬', 글줄간격은 190%(한글 2002), 글자간격은 10(한글 2002), 한 줄의 글자수는 25자일 때 각 글자속성의 가독성이 최적으로 나타났다. 최적 가독성으로 나타난 각각의 글자속성을 조합하여 제작한 해설판의 글자를 예시하였으며, 가독성과 관련하여 해설판 글자디자인과 추후 연구 문제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dentity of Hangul Typography)

  • 안상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03-110
    • /
    • 2000
  • 한글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서 태어났다. 우리의 글자문화는 서양 글자 문화는 엄연히 다른 전통이 있었다. 동양에서 글자란 영물이자 주술이었으며, 존엄과 신비 그리고 제의가 함유된 경외의 대상이었다. 동양에서는 글씨 그 자체의 엄연한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적 전통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글자관 세계속에서 완벽한 소리글자로서 한글은 태어났다. 그러나 한글의 특성은 뜻글자로서의 한자적 배경과 사뭇 다르며 독특하다. 한글은 소리글자임에도 불구하고 한자적 이미지의 고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이것은 라틴 알파벳이 그 진화의 오랜 여정 속에서 이미지의 고향을 잃어버린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며, 소리글자로서의 한글이 이미지의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은 한글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글 형태는 조합 방식에서 한자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소리글자로서의 특성은 라틴 알파벳에 가깝다. 한글은 곧 시간적으로 한자 문화에 바탕을 둔 시각 이미지 글자의 배경으로서의 기억을 생생히 가지고 있고, 또 기능적으로는 매우 발달된 형태의 소리글자로서의 글자의 두 가지 속성을 모두 한몸에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한글의 특징은 이미지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바로 우리 시각문화의 존재 의미를 일깨워주는 부분이라 하겠다. 곧 세계 글자문화 속에서 돋보이는 이러한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정체성이야 말로 바로 우리 시각문화의 본질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