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Identity of Hangul Typography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안상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Hangul came to life as part of the East Asian culture of the Chinese ideograph. Korean letter-culture is starkly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letter-culture. In the Orient, letters were sacred and incantory; they were objects of awe, which incorporated elements of the majestic, mysterious, and of ritual. Here we had cultural tradition that acknowledged the intrinsic value of the letters. And it was in this context that Hangul was born as a completely phonetic system of writing.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ese ideographs, which are designed to convey a certain meaning. Despite the fact that Hangul is phonetic, its roots lie most definitely in the image of Chinese ideographs. This is something that contrasts with the roots of the Latin alphabet, which have been lost in its long journey of evolution. As a phonetic writing system, a notable characteristic of Hangul is that it has this and the attributes of image. In other words, in that Hangul is a compound, it shares some of the same attributes as Chinese ideographs, but also in that it is a phonetic writing system it is dose to the Latin alphabet. Hangul is definitely a visual writing system that has its origins in the visual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being functionally a highly developed phonetic writing system. In short, Hangul has both of these attributes in one writing system. These characteristics of Hangul, for us living in the era of the image, are parts that awaken us to the meaning of existence in our visual culture. Unique among the world's writing systems, the identity of Hangul typography will become none other than the essence of our visual culture.

한글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서 태어났다. 우리의 글자문화는 서양 글자 문화는 엄연히 다른 전통이 있었다. 동양에서 글자란 영물이자 주술이었으며, 존엄과 신비 그리고 제의가 함유된 경외의 대상이었다. 동양에서는 글씨 그 자체의 엄연한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적 전통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글자관 세계속에서 완벽한 소리글자로서 한글은 태어났다. 그러나 한글의 특성은 뜻글자로서의 한자적 배경과 사뭇 다르며 독특하다. 한글은 소리글자임에도 불구하고 한자적 이미지의 고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이것은 라틴 알파벳이 그 진화의 오랜 여정 속에서 이미지의 고향을 잃어버린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며, 소리글자로서의 한글이 이미지의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은 한글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글 형태는 조합 방식에서 한자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소리글자로서의 특성은 라틴 알파벳에 가깝다. 한글은 곧 시간적으로 한자 문화에 바탕을 둔 시각 이미지 글자의 배경으로서의 기억을 생생히 가지고 있고, 또 기능적으로는 매우 발달된 형태의 소리글자로서의 글자의 두 가지 속성을 모두 한몸에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한글의 특징은 이미지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바로 우리 시각문화의 존재 의미를 일깨워주는 부분이라 하겠다. 곧 세계 글자문화 속에서 돋보이는 이러한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정체성이야 말로 바로 우리 시각문화의 본질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