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쓰기 지식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생들의 유전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 글쓰기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Causal Explanation about a Genetic Phenomena)

  • 이신영;김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9-2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유전과 관련된 과학적 현상에 대한 설명 글쓰기에서 드러나는 개념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떠한 논변 구조와 정당화 방식을 사용하는지, 과학적 지식을 적절하게 정당화에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 162명이 '유전과 진화'를 학습한 후에 크기와 모양이 같은 초록색 피망과 빨간색 피망이 같은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 다른 주장을 하는 경쟁 논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성취 개념 성취 수준에서 전체 응답자(162명) 중 47%(77명)는 정답을, 53%(85명)는 오답을 제시하였다. 논변 수준을 살펴보면, 정답 학생들은 자료를 주장이나 결론에 연결하여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3(Constructing warrant)이 오답 학생들은 주장과 자료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증거만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2(Providing evidence)가 가장 많았다. 정당화를 하면서 과학 지식(Scientific idea)의 사용을 학생들의 조사한 결과, 인과적 설명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로 과학 지식을 사용한 학생 중 36%가 옳은 과학 지식(Correct scientific knowledge)을 사용하였으나, 나머지 학생들은 옳지 않은 과학 지식이나 특정되지 않은 과학 지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인식적 실행인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논변적 글쓰기를 장려하기 위해서 논변의 구조에 대한 영역 일반적인 지식의 교수 실행을 통해 관련된 특정 과학 지식을 적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증거와 주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C통신과 웹에서 지역알림정보의 작성을 돕는 전문가적인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지역주민의 견문을 중심으로 (Expertise Service Model Aiding Local Information Writing on the Web)

  • 이태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9-117
    • /
    • 1999
  • 지역정보 쓰기에서 이용자들을 돕기 위해 (1) 글 구조, (2) 단락 구성, (3) 문장 작성, (4) 어휘 구사에 대한지식을 글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글 구상과 단락 구성을 각각 도와주는 글틀과 단락틀 지식베이스가 고안되었고 단어, 절, 문장의 구현에 필요한 단어와 절 및 문장의 예들을 모은 사전 데이터베이스도 만들었다.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지향적인 시스템을 추구하였다. PC통신과 웹에서 실용적인 시스템이 되려면 앞으로 (1) 글틀과 단락틀의 주제 추출, (2) 문장의 대표어 작성, (3) 각종 규칙의 정제, (4) 정밀한 지식베이스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사려된다.

  • PDF

Chat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에서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고찰 (College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in Reflective Writing Classes Utilizing ChatGPT)

  • 강정구;표시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71-479
    • /
    • 2024
  • 본 연구는 Chat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에 인지, 정의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 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경기도 소재 S 대학교에서 교양 필수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Chat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여 5주동안 10차시에 걸쳐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면밀하게 검토하였고, 부가적으로 ChatGPT를 활용하기 전과 후에 측정한 쓰기 효능감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Chat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ChatGPT를 활용하면서 흥미와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으며, 개요 짜기, 단락구성의 측면에서 ChatGPT로 생성된 샘플들을 통해 글쓰기와 관련된 지식·기능의 인지적 도움을 받고, 표절 문제에 대한 명백한 인식을 하였다. 쓰기 효능감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인지, 정의 영역의 모든 항목에서 평균의 상승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것은 '표절 대응' 항목이었다. ChatGPT로 생성된 글의 샘플들을 자기화 하는 과정은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유용한 도구 사용에 대한 체계적 지침이 보강되어야 할 것을 향후 과제로 제언한다.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Explaining Cell)

  • 이혜정;심규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1-1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설명하는 글쓰기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세포에 대한 설명을 분석한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공통적인 특징과 구별되는 특징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과학 영재 학생은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 중 한 가지 세포의 특성만을 설명하거나, 세포막과 세포벽의 기능을 같게 보거나,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라는 등 세포에 대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과학 영재 학생들이 설명문의 체재를 명확히 알지 못한 채 설명하는 글쓰기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 방법을 분석한 결과, 50% 이상의 학생들이 분류, 비교, 대조, 예시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글쓰기를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영재 학생들이 그림을 이용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은 독창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식 평가 도구로 설명하는 글쓰기가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설명하는 글쓰기를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요소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한 수업 설계 및 효과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 Integrating Writing Education a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00-5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기반한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한 수업 설계 내용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 운영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서비스러닝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지역사회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봄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의 발전과 자기계발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교과목을 운영한 후 참여한 대학생들, 봉사 대상자들, 봉사 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봉사 대상자들과 봉사 기관에서도 긍정적인 효과와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와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각도에서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고려한 교수법인 만큼 서비스러닝의 양적, 질적 성과분석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리영희의 '언론사상'과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Idea of Journalism' and 'Practise' of Lee Yeung-Hi)

  • 최영묵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9권
    • /
    • pp.7-30
    • /
    • 2012
  • 리영희 선생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지식인 중의 한사람이다. 리 선생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사회에서 '사상의 은사' 혹은 '의식화의 원흉'이라는 극단적 평가를 받았다. 리영희 철학과 언론사상의 핵심은 휴머니즘과 자유,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리영희 선생은 평생 언론사 기자, 언론학 교수로 살았지만 리 선생의 언론활동, 언론실천, 언론사상 등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보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언론인, 언론학자로서 리영희 선생의 언론 사상과 실천 활동을 정리하고자 했다. 리 선생의 '언론인 50년'을 관통하는 핵심 의제는 사상의 자유를 위한 투쟁, 이론과 실천의 통일로서의 글쓰기, 언론과 언론인 비판이었다.

  • PDF

과학교과서 텍스트의 계량적 분석을 이용한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 방안 탐색 (Exploring Teaching Method for Productive Knowledge of Scientific Concept Words through Science Textbook Quantitative Analysis)

  • 윤은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50
    • /
    • 2020
  •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학생들이 과학 개념어에 대한 깊고 정교한 이해와 더불어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 교육에서 과학 개념어에 대한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이 잘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주목하고,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몇 가지의 계량 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 텍스트로 부터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고, 둘째, 각 방법의 결과로 추출된 단어 관계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살펴본 뒤, 셋째, 이를 이용하여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쓰기 활동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 텍스트를 클러스터 분석, 공기 빈도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워드임베딩의 네 가지 계량 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클러스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문장 완성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기 빈도 분석 결과를 이용한 빈 칸 채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재 중심 글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넷째, 워드임베딩을 이용한 학습 중요 단어 목록 작성을 제안하였다.

탈식민주의 글쓰기와 장서 연구 -도서관 장서의 편향성에 관한 사회사상사적 접근 (De-colonialism and the Collection Study - Research on Bias of Library Collection with Reference to History of Social Thoughts)

  • 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3-193
    • /
    • 2005
  • 현대사회는 지식$\cdot$정보사회이며,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가 전달되는 중요한 경로 중의 하나이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도서관의 장서는 그 생산과 수집, 그리고 축적의 과정에서부터 편견과 왜곡으로 인한 굴절과 편향을 멀 수밖에 없었으며. 그것은 결과적으로 도서관이 현대사회의 지식$\cdot$정보의 유통기관으로서의 본질을 흐리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 되어왔다. 이 연구는 장서연구의 필요성과 주요 해결 과제, 그리고 그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다. 장서 연구는 도서관장서의 축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장서가 편향성을 띠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 편향성의 현단계를 밝히는 작업이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입력강화와 출력강화 형태초점교수 상황에서의 한국 EFL 학습자들의 언어형태 지식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EFL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Development under Input-enhanced FFI and Output-enhanced FFI Conditions)

  • 황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4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초점교수법이 학습자의 언어형태에 관한 지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학습자들이 그 형태에 관한 지식을 출력활동인 글쓰기에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122명의 대학생들로 3개의 집단 즉 입력강화집단 35명, 출력강화집단 41명, 대조집단 46명으로 나누어 평가시험과 글쓰기 과제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입력강화 형태초점교수법과 출력강화 형태초점교수법 모두 학습자의 언어형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학습자들이 이러한 형태초점교수법으로 습득한 지식을 영어글쓰기에 활용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언어형태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입력강화와 출력강화기법을 적절하게 결합한 형태초점교수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4-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