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Explaining Cell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 Received : 2012.02.10
  • Accepted : 2012.03.2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characteristics of explanatory writing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ifted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aspect of content of their explanations about cell, many of them expla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animal and plant cells, but a few of them did cellular characteristics of one kind of animal and plant. Some gifted students regarded cell membrane function as that of cell wall, and had a misconception that the cell was the smallest unit to consist human body.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explanation, most of them didn't kno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xplanatory writing. Finally, more than 50% of them had written using various ways to explain cell such as classifying, comparing, contrasting and exemplifying. Especially, all biologically gifted students had creatively explained drawing a picture. It was findings that the explanatory writing could be used as the instrument to evaluate knowledges of gifted students and suggested the elements of writing to teach scientific explanatory wri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설명하는 글쓰기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세포에 대한 설명을 분석한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공통적인 특징과 구별되는 특징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과학 영재 학생은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 중 한 가지 세포의 특성만을 설명하거나, 세포막과 세포벽의 기능을 같게 보거나,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라는 등 세포에 대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과학 영재 학생들이 설명문의 체재를 명확히 알지 못한 채 설명하는 글쓰기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 방법을 분석한 결과, 50% 이상의 학생들이 분류, 비교, 대조, 예시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글쓰기를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영재 학생들이 그림을 이용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은 독창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식 평가 도구로 설명하는 글쓰기가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설명하는 글쓰기를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요소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주, 박희경 (2011).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09-335.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1. 서울: 금성출판사.
  4.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 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5. 김영정, 권종철, 최경석 (2004). 비판적 사고와 학술적 글쓰기. 서울: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
  6. 김흥집, 송신철, 심규철 (2011). 생물 수업에서 비평 기법의 활용이 학업 성취와 수업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597-607.
  7. 남경식 (2008). 과학용어로 인한 중학생의 어려움과 과학용어 활용 글쓰기를 통한 해결 방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박승배 (2006). 과학에서의 이야기식 설명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 22, 399-416.
  9. 박은희, 홍훈기 (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163-174.
  10. 박지영, 신영준 (2007). 초등학교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적 사고력을 토대로 한 과학 글쓰기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99-112.
  11. 배희숙, 전영석, 홍준희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12. 손정우 (2010). 영재 선발을 위한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글쓰기 경향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0(1), 131-150.
  13. 신현숙 (2008a). 분석적 평가에 의한 논증글 쓰기 수행의 발달적 차이. 교육학연구, 46(1), 1-29.
  14. 신현숙 (2008b). 청소년의 설명글과 논증글 쓰기에서 내용 조직의 성차. 청소년학연구, 15(4), 1-24.
  15. 심규철, 송신철 (2011). 생명 윤리 쟁점에 관한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2), 288-296.
  16. 이성영 (2000).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초등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6, 27-50. 국어국문학회.
  17. 이성영 (2001).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내용 생성'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4, 321-349.
  18. 이은희 (2002).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조직'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5, 375-404.
  19. 이호진, 최경희 (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20. 이혜정, 심규철 (2011).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연구, 21(1), 193-207.
  21. 임천택 (2005). 초등학생의 설명 텍스트에 나타난 쓰기 발달 특성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지, 32, 123-151.
  22. 정완호, 차희영, 최진복 (1992). 교사들이 제시한 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23-33.
  23. 정혁 (2003). 물리 개념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학 글쓰기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지영숙 (2006). '지구와 달' 단원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활동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Butterfield, E. C., Hacker, D. J., & Plumb, C. (1994). Topic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and revision skill as determinator of text revision. Advances in Cogni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2, 83-141.
  26. Dikmenli, M. (2010). Misconceptions of cell division held by student teachers in biology: A drawing analysis. Scientific Research and Essay, 5(2), 235-247.
  27. Edens, K. M., & Potter, E. F.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as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3), 135-144.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30.x
  28. Engelhard, G., Walker, E. V. S., Gordon, B., & Gabrielson, S. (1994). Writing tasks and gender: Influences on writing quality of black and whit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7(4), 197-209. https://doi.org/10.1080/00220671.1994.9941244
  29. Furtak, E. M., & Ruiz-Primo, M. A. (2008). Making students' thinking explicit in writing and discussion: An analysis of formative assessment prompt. Science Education, 92(5), 799-824. https://doi.org/10.1002/sce.20270
  30. Hohenshell, L. M. & Hand, B. (2006).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Secondary School Cell Biology: A mixed metho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61-289.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965
  31.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32. Klein. P. (2000). Elementary students' strategies for writing-to-learn in science. Cognition and Instruction, 18, 317-348.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803_2
  33. Lewis, J., Leach, J., & Wood-Robinson, C. (2000). Chromosomes: The missing link-young people's understanding of mitosis, meiosis and fertilizatio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4(4), 189-199. https://doi.org/10.1080/00219266.2000.9655717
  34.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35. Rennie, L. J., & Jarvis, T. (1995). English and Australian children's perceptions about technology. Research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13(1), 37-52. https://doi.org/10.1080/0263514950130104
  36.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0
  37. Voss, J. F., Vesonder, G. T., & Spilich, G. J. (1980). Text generation and recall by high-knowledge and low-knowledge individual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9(6), 651-667. https://doi.org/10.1016/S0022-5371(80)90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