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로벌화 수준조사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and Analysis of Software Globalization Capability in Korea (국내 소프트웨어의 글로벌화 수준 평가 및 분석)

  • Lee, Sei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1 no.1
    • /
    • pp.9-17
    • /
    • 2011
  • While software globaliz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into what is meant by globalization and the degree of globalization capability in the Korean software industry.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among software engineering professionals, gathering the data from 31 IT companies across 7 large-scale project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valuation score for globalization capability is 2.51 out of 5 points, which is the lowest compared to other areas of software engineering such as team capability (2.88), process and tool supports (2.96), project management (2.97) and development (3.64). We also discuss how to introduce software globalization technologies in Korea based on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leading global IT companie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Globalization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소프트웨어 글로벌화 품질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Lee, Sei-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9D no.1
    • /
    • pp.29-38
    • /
    • 2012
  • Software globaliz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worldwide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globalization technologies are actually carried out in the Korean software industry.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Globalization Quality Management (GQM) framework and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industry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GQM provides a structured and effective way for software organizations to adopt globalization practices and evaluate the results. GQM consists of three main components: 1) software quality management process, 2) globalization support model and 3) globalization assessment model. This framework also supports both plan-driven and iterative/incremental development methods. On the basis of the GQM,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among software engineering professionals, gathering the data from 31 IT companies across 7 large-scale projects in Korea.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evaluation score for globalization capability is 2.47 and global readiness is 2.55 out of 5 points. Also It said that internationalized product design (32.9%) and global/local product requirements analysis (28%) are needed to be taken care of first.

A study on establish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green energy technologies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대외협력 맵 구축)

  • Koo, Kikwan;Choi, Bongha;Hong, Seongjun;Lee, Seongkon;Lee, Deokki;Park, Su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52.2-152.2
    • /
    • 2010
  • 기후변화, 석유자원 고갈 우려 등으로 인하여 그린에너지기술 개발에 대한 중요성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 가운데, 글로벌화된 경쟁구도 확대와 급속한 기술개발 속도로 인하여 국가간 또는 기업간 기술 개발 경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그린에너지기술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각 국은 제도적, 경제적 지원을 통한 그린에너지기술 개발 및 국제협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기술 관련 R&D 예산 중 국제공동연구 비중은 0.6%로 선진국에 비해 지원 규모가 부족한 실정이며,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기초 정보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에너지기술 분야의 국외 선도 업체 및 기관을 대상으로 기술수준 및 협력의향을 조사하여 대외협력 맵을 구축하였다. 우선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상의 15대 기술 분류에서 상세 분석을 위한 주요 에너지기술을 선정하고 기술별 하위 전략품목별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2차 설문을 통하여 국제협력 추천 업체 및 기관, 기술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조사된 국외 추천 선도 업체 및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협력의향과 협력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해 기술수준과 협력의향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대외협력 맵을 구성하고 구축된 대외협력 맵을 통해 국제협력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New Trend of China's Beauty and Cosmetic Packaging Design (핫이슈 - 중국 미용 및 화장품 포장디자인의 신 트렌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81
    • /
    • pp.79-85
    • /
    • 2016
  • 최근 소득 수준 향상, 삶의 질 개선에 의해 중국 화장품산업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화장품 포장 디자인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로레알 등 글로벌 브랜드 외에도 많은 로컬기업들이 제품의 글로벌 포장화를 이끌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음에 코트라 방정 상하이무역관의'중국 미용 화장품시장 기획조사(2) : 시선 사로잡는 정밀포장, 화장품에 가치를 더하다'보고서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화장품시장 동향과 포장 디자인의 최신 트렌드를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 조사를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Song, U-Yong;Gw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8a
    • /
    • pp.69-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의 도전적 창업문화 정착, 대학생의 창업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 확대에 필요한 창업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업의 국가경제적 의의와 함께 대학생의 진로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학생의 창업아이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만큼의 창의성이 뒷받침된 기술기반 창업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최근 정부 및 대학에서 창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지원정책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문화 확산을 통한 창업도전의 저변 확대, 시장과 산업 트랜드를 바꿀만큼의 시장 전환적이며, 창조적 파괴가 동반된 창업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 신입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 창업인식을 분석하고 대학의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유의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생애주기적 진로대안으로서 창업의 의의 인식, 둘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셋째, 창업 전문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대학 내 외부 전문가들을 네트워킹하여 이론-실무의 우수한 창업 교육자 풀 구성 넷째, 효과적 창업교육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 창업교육 목적의 명확화,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실천적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국내외 우수 창업교육 콘텐츠의 적극적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학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의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Information Support Strategy for Glob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SME by Analysis of the Glob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grams (해외 글로벌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중소기업 글로벌 기술사업화 정보지원 방안)

  • Eo, Jin-Won;Jeong, Suk-Jae;Han, Hyuk;Choi, Yun-Jeong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2 no.2
    • /
    • pp.27-34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goal. Goal is to do the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glob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gencies and program. In the era of global competition, The change to the innovation-driven economy through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technology is accelerating in the world. For the global technology and market changes and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local SMEs is required. To this end, w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level of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trends in major foreign countries, and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grams. Based on this, we draw the domestic SMEs' expansion strategy and information support plan to enter the global market.

  • PDF

A Study of Creative Strategy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International Advertising Message Recognitions: Intended for Local Consumers in Korea, China, and United-States (국제광고의 메시지 인식 비교를 통한 표현전략 연구 : 한국·중국·미국 현지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 Rhee, Sang Ho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95-222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degree in message recognitions with respect to the same global brand Ad. campaign intended for local consumers in Korea, China, and United-States, and applying the results to the forseeable message production of global Ad. campaig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by providing those consumers with Anycall Ads. of Samsung mobile phones, which were inserted in local printed advertisements. We concluded that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of markets represent different degrees in message recognition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localization based on local cultures and market situations is more important than the general standardization in the future global brand Ad. campaigns.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Globalization of Korean Venture Business (한국의 벤처기업은 태생적 글로벌기업인가: 벤처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Kim, Jong W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37-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export intensity of Korean venture business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export intensity on corporate performance. We use 1,970 firm data (from Venture Business Survey by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nalyze the possible factors of the CEO characteristics,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ur analysis shows that Korean venture business' CEO characteristics, such as his/her doctoral degree and marketing work experiences, increase their export intensit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ile their age does not. In addition, the companies who outsource their products have a higher export intensity, and, as the firm age increases, the export intensity decreases significantly. It is also analyzed that, as the number of export regions or FDI regions increases, their export intensity goes higher. However, firms' higher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does not bring higher performance of the venture firms, while it does significantly for the venture firms that are older than 10 years. The result implies that CEO's education or work experiences and strategic approaches are important for corporate globalization, and that it takes time for globalizing venture firms to be able to garner profits from their global investments.

  • PDF

An Analysis of the proliferation Case of TOPCIT(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CT) and policy implications (ICT 실무능력 평가 모델(TOPCIT)의 확산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Lee, Hyun Seek;Seo, Young 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1-12
    • /
    • 2018
  •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background and model for the 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CT(TOPCIT), which is designed to diagnose and assess the competency of ICT industry related workers and software(SW) developers, and also attempt to deriv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global level of ICT SW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across the different cas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TOPCIT. First, we analyze the test results from surveys conducted a preliminary test (or a pilot test) for the process of global dissemination of the TOPCIT in 2015. Then, we attempt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domestic test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test takers was similar, but in the highest score group, the number of domestic test take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number of foreign test takers. Moreover, the average score can be varied by the language ability, especially fluent in English, of test takers.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ocalization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for building upon the global TOPCIT system.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Potential Estimations from Korean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LCA (LCA를 통한 국내 원전의 환경영향 평가 수행사례 비교)

  • 정환삼;김성호;하재주;김태운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7-2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환경경영의 중요한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는 전과정분석(Life Cycle Analysis; LCA)을 통해 원자력 발전기술을 평가한 주요 사례의 분석과정과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이는 선진국들이나 글로벌 선진기업들에서 채택하기 시작한 글로벌 환경친화성의 입증 요구 추세 속에서, 모든 재화의 생산에 전력은 필수 투입물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력의 40% 이상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원자력발전 기술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를 간 비교 결과 그 값의 차이는 최대 10^5 정도에 이르러, 이는 외국의 경우 10^1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데 비해 다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사례에 따라 모형의 단순화 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전력의 타산업 기반성이나 국내 전력LCA 분석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점에 비추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