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전이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7초

동시성 단지성 관절 근접 다발성 연골 육종 -증례 보고- (Synchronous Monomelic Juxta-articular Multicentric Chondrosarcoma -A Case Report-)

  • 오주한;김재윤;공현식;김우성;김태윤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77
    • /
    • 2006
  • 연골 육종은 가장 흔한 원발성 골육종 중 하나로, 간엽성 연골육종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 악성도 병변이며, 다발성 발현이나 원격 전이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발성 내연골종(Ollier's disease)과 Maffucci's 증후군에서 다발성 연골육종이 발생한 례가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아직까지 한 관절을 사이에 두고 그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연골육종이 동시에 발생한 례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저자들은 30세 남자 환자에서 폐나 내장의 전이를 동반하지 않고, 한쪽 견관절을 사이에 두고 견갑골의 견봉과 상완골에서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연골육종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동시성 다발성 관절 근접 연골육종"이라 명하였다. 견봉에 위치한 병변은 소파술과 함께 동종 골이식과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병변은 설상 절제술과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8개월까지 재발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통증 없이 전 범위 운동이 가능하였다.

  • PDF

미분화 조기위암의 내시경 절제술 (Endoscopic Resection of Undifferentiated Early Gastric Cancer)

  • 김지현;이용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71-77
    • /
    • 2009
  • 내시경 절제술은 림프절 전이의 위험도가 낮은 조기위암에 대한 근치적 국소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조기위암의 림프절 전이에 대한 연구결과들과 내시경 수기 및 부속기구의 발전에 기초하여 내시경 절제의 적용 범위는 확대되는 추세이다. 현재 조기위암의 내시경 절제의 확대 적응증으로는 궤양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의 점막암이나, 궤양이 동반된 3 cm 이하의 점막암, 궤양이 없는 3 cm 이하의 미분화 점막암, 3 cm 이하의 궤양을 동반하지 않은 분화가 좋은 미세점막하암으로 림프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이다. 이 중 미분화암은 분화가 좋은 암과 비교하여 다른 생물학적 행태를 가진다는 관점에서 내시경 절제의 확대 적응증으로 포함하는 것에 있어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미분화 조기위암의 생물학적 행태와 내시경 절제술 결과에 기초하여 미분화 조기위암에서의 내시경 절제술 적용에 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 PDF

급성 폐동맥 색전증으로 의심된 원발성 폐동맥 골육종 -1예 보고- (Primary Pulmonary Artery Osteosarcoma Mimicking Acute Pulmonary Artery Embolism - A case report-)

  • 박상현;손정환;지현근;신윤철;유병수;박우정;박혜림;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29-932
    • /
    • 2004
  • 원발성 폐육종은 미국의 경우 전체 원발성 폐암 발생률의 0.4% 정도의 비율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며 이중 원발성 폐동맥 골육종은 전 세계적으로 극히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63세 여자 환자로 흉통과 호흡곤란, 어지러움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여 검사 중 갑자기 쇼크상태에 빠졌다. 반복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며 심초음파를 실시한 결과 급성 폐동맥 색전증으로 인한 우심부전증으로 진단하여 인공심폐기 가동하에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주폐동맥을 절개하였을 때 혈전이 주폐동맥에서 좌우 폐동맥에 걸쳐 존재하였고 종괴가 주폐동맥의 우상부쪽 내막에 붙어 있어서 종괴와 혈전을 제거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문제없이 회복되었으며 술 후 조직검사에서 종괴는 폐동맥 골육종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시행한 검사에서 폐 이외의 장기에서는 골육종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좌하행 폐동맥 내에 잔존하는 종괴와 좌우 폐야에서 다발성 결절들이 관찰되어 혈행성 전이가 의심되어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6개월에 환자는 잔존하는 종괴와 전이성 결절들의 크기는 줄어든 상태로 특별한 증상 없이 지내고 있다.

사례분석에 기초한 말뚝시공법 및 재하시험방법에 따른 하중지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ad Bear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Pile Construction Methods and Pile Load Test Methods Based on Case Analyses)

  • 홍석우;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5-21
    • /
    • 2012
  • 국내의 경우 종래의 말뚝기초의 설계에서는 주로 선단지지력에만 의존하는 설계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장에서 실제 크기 말뚝에 대한 하중전이측정실험이 이루어진 이후 많은 하중전이측정실험 자료들을 통하여 마찰력이 크게 발휘되는 것이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타강관말뚝 및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 시 측정된 축하중전이 사례들을 분석하여 재하시험방법에 따른 말뚝기초의 하중지지양상을 구명하였다. 사례 말뚝들의 평균마찰력 분담율을 말뚝의 종류, 재하시험방법, 상대근입길이, 말뚝의 직경, 지반의 종류 등의 함수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곤란하였다. 평균 마찰력 분담율은 50%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므로 사례 말뚝기초는 대체로 마찰지지말뚝으로 거동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극히 일부 사례말뚝은 혼합지지말뚝으로 거동하였다.

객혈을 동반한 양성 전이성 폐 평활근종 1예 (Benign Metastasizing Pulmonary Leiomyoma with Hemoptysis)

  • 박소영;임은주;장지선;김창환;지현근;조성진;박용범;이재영;모은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92-96
    • /
    • 2006
  • 자궁근종으로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는 43세 여자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다발성 폐결절이 발견되어 흉강경하에서 조직검사 시행 후 양성 전이성 폐평활근종을 진단받았다. 폐경 전 환자로 GnRH analogues 치료를 시도하였고 3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폐결절의 크기는 이전과 변화가 없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객혈도 없는 안정된 상태로 경과 관찰중이다.

골육종의 도약전이 진단에서 골스캔의 보완검사로서의 FDG-PET/CT: 증례 보고 (FDG-PET/CT Complements Bone Scan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 of Skip Metastasis of Osteosarcoma: A Case Report)

  • 천기정;최재걸;채인정;이대희;송상헌;김묘종;박종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49
    • /
    • 2012
  • 골육종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도약전이 병소는 불량한 예후 인자로서 중요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골육종 환자의 광범위 절제술 시에 절제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술 전 검사에서 골육종의 골수 내 침범에 대한 정밀한 평가가 필수적이며, 골스캔 검사는 도약전이의 발견에 있어서는 높은 위음성률을 보일수 있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종양이 위치한 골 전체를 촬영하지 않는 경우 임상적인 증거가 없으면 간과하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주 종양 부위만을 포함한 국소 자기공명영상 촬영과 골스캔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나 FDG-PET/CT에서 도약 전이가 진단된 대퇴 원위부의 골육종 증례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 및 재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 분석 (Risk 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is and Recurrence in Early Gastric Cancer)

  • 신종근;신영도;윤충;주흥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119-123
    • /
    • 2001
  • Purpose: The prognosis of operated early gastric cancer is quite excellent and the 5-year survival rate shows to be over $90\%$. The less extensive treat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attractive. However, lymph node metastasis remains a main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The author performed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which clinicopathologic factors of early gastric cancer influence lymph node metastasis and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222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ho had been treated by gastrectomy combined with D2 or more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7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Results: Lymph node metastasis was observed in 26 patients ($11.7\%$), and the depth of tumor invasion and tumor size among clinicopathologic factors affected lymph node metastasis. The 5-year recurrence rate was $4.4\%$, and it was revealed that lymph node metastasis and depth of tumor invasion had a greater effect on recurrence than other clinicopathologic factors. Conclusion: The high risk factors of early gastric cancer in recurrence were submucosal tumor invasion, tumor size more than 2 cm, and lymph node metastasis. Patients of early gastric cancer with such high risk factors should undergo radical gastric resection than limited surge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1;1:119-123)

  • PDF

위암의 근치적 절제 후 발생한 뇌 전이 (Brain Metastasis after a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김용일;이준호;윤성현;노성훈;민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113-118
    • /
    • 2001
  • Purpose: The common features of brain metastases from gastric cancer are unknown because brain metastasis is an uncommon pattern of metast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and th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after a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21) cases of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of gastric cancer, who had been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age was $55.8\pm9.6$ years (range: $34\~70$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2.5 : .1. The most common neurologic symptom was headache ($38.5\%$), and no patient was free from the neurologic symptoms. The incidence of parenchymal metastasis (PM: $76.2\%$) was higher than that of leptomeningeal metastasis (LM: $19.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brain metastasis showed high rates of blood and lymphatic vessel invasion (lymphatic vessel invasion: $85.7\%$; blood vessel invasion: $80.9\%$). According to Lauren's classification, the incidence of intestinal types was 14/21 ($66.7\%$), that of diffuse types was 3/21 ($14.3\%$) and that of mixed types was 4/21 ($19.0\%$).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gastrectomy and the diagnosis of brain metastasis was $24.7\pm4.0$ months (PM: 26.8 months; LM: 20.3 months). The median period of survival after diagnosis of brain metastasis was 2 months for paren chymal metastasis and 0 months for leptomeningeal metastasis. Conclusion:.. During a follow-up period, patients with neurologic symptoms should be suspected of having brain metastasi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the only hope to prolong survival in such patients.

  • PDF

전이동 78예 및 전이 피부 부속기 28예에 대한 임상 경험 (Experience with 78 Cases with Preauricular Sinus and 28 Cases with Preauricular Skin Tag)

  • 이경근;김민수;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9권1호
    • /
    • pp.1-5
    • /
    • 2003
  • Preauricular sinus and preauricular skin tag are common childhood congenital anomalies. It is important for the pediatric surgeon to be familiar with the embryology and differentiation of head and neck structure to accurately diagnose and treat these lesions. Seventy eight patients with preauricular sinus and twenty-eight with preauricular skin tag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1 to May 2002 were reviewed to determine relative frequency, clinical classifica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The male to female ratio of preauricular sinus was 1:1.2, and preauricular skin tag was 1:1. The most commonly presenting age of sinus and skin tag was before 5 year (62.8%) and before 1 year (53.6%). Twenty nine of 78 cases of preauricular sinuses were on the left, 25 on the right and 24 bilateral. Signs of infection were seen in 73.0% of patients with preauricular sinus at operation. Only 31.3% of lesions were infected in patients less than one year of age, but 89.5% between 3-5 years and 100% between 5-8 years. Cartilage was present in five patients with preauricular skin tag. Although re-operation due to wound infection was necessary in four cases, no recurrences were found. The preauricular sinus is a common anomaly in childhood, and has had a relatively high recurrence rate. But most of the recurrences were due to incomplete resection because of combined infection. Initial proper diagnosis and early operation are very important. Identification of the exact anatomical location of sinus tract is necessary because total excision of the lesions including those tracts is the only way to prevent recurrence.

  • PDF

Ag 잉크의 미세접촉인쇄에 있어서 동역학적 파라미터가 인쇄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Kinetic Parameter Effects on Printing Property in Micro-Contact Printing of Ag Ink)

  • 박성률;송정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2호
    • /
    • pp.7-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금속 전극을 미세접촉인쇄방식으로 Ag ink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있어서 접착속도, 분리속도, 접촉시간의 세 가지의 동역학적 파라미터가 잉크 전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최적의 공정조건을 도출하였다. 잉킹공정에서는 접촉속도는 1 mm/s 이하, 접촉 후 유지시간은 짧게 하며, 분리속도는 1000 mm/s로 빠르게 해야 잉크의 전이율이 98%이상 높았다. 프린팅 공정에서는 반대로 접촉속도는 100mm/s 이상의 빠르게, 접촉 후 유지시간은 30초 이상, 분리속도는 1mm/s 이하로 느리게 할 때 최고의 인쇄특성을 보였다. 이를 이용해 전체 $5cm{\times}5cm$ 면적에 최소 선폭 $30{\mu}m$, 두께는 300~500nm, 50nm이하의 약 $15{\sim}16{\mu\Omega\cdot}cm$ 비저항을 가지는 전극을 인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