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적외선

Search Result 52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hitin 및 Chitosan의 탈단백 및 탈아세틸화도 측정과 지방흡착특성의 확인을 위한 근적외선 분석법의 이용

  • 송호수;김경태;황선영;박성민;이근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95-96
    • /
    • 2001
  • 수산식품의 품질검사를 위한 기존의 분석법들은 대부분 각종 무기 및 유기 시약을 이용한화학적 분석이 주로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학적 분석 방법들은 시료의 전처리부터 최종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분석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재현성이 달라지는 단점들을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분광학적 분석 방법중의 하나인 근적외선(Near-Infrared) 분광분석법은 식품의 구성성분을 분석하는 비파과 측정법 중에서 가장 발전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Rancidity Estimation of Perilla Seed Oil using NIR Spectroscopy and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s (근적외선 분광기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식용유지의 산패 분석)

  • Lee, Ah-Yeong;Hong, Suk-Ju;Rho, Shin-Jung;Park, Heesoo;Kim, Yong-Ro;Kim, Gh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8-98
    • /
    • 2017
  • 대부분의 가정과 요식업체, 식품가공업계에서 이용하고 있는 식용유지는 저장 및 가공과정 중에 산패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기존에는 유지 산패를 측정하기 위해 산가, 과산화물가 등을 측정하는 이화학적인 적정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실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반복실험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등 여러 제약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식용유지의 산패를 실시간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유지의 저장조건에 따른 산패정도를 비파괴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과 인공신경망 분석기술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식물성 식용유지인 들기름을 특정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적정방법을 통해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시료의 근적외선 투과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지 산패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기법 (주성분 회귀분석, 최소자승 회귀분석과 인공신경망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신경망 분석모델이 산가 ($R^2_{tra}:0.9037$, $R^2_{val}:0.8175$, $R^2_{test}:0.8555$)와 과산화물가 ($R^2_{tra}:0.9210$, $R^2_{val}:0.9341$, $R^2_{test}:0.8286$)의 예측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농산물과 식품의 성분 측정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a and Mechanical Sensory Score of Commercial Brand Rice Produced in Jeonbuk (전북산 브랜드 쌀의 근적외선 분광스펙트럼과 기계적 식미치간의 상호관계)

  • Song, Young-Ju;Song, Young-Eun;Oh, Nam-Ki;Choi, Yeong-Geun;Cho, Kyu-Cha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1 no.spc1
    • /
    • pp.42-4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mechanical sensory score by Toyo Midometer can be substituted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method in whole-grain milled rice samples. Toyo values of collected commercial brand rice (n=127) had comparatively wide ranges from 62.9 to 84.2 (Mean=70.5; S.D.=4.0). Calibration equation was developed using 73 samples.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SEC) for sensory score equation and $R^2$ were 0.95, and 0.94, respectively, however, percentage of variation in the reference method values (1-VR) which give a true indication of equation performance was slightly lower (1-VR=0.81) than calibration equa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even though NIRS has potential as a rapid tools to predict rice sensory score, the prediction of sensory score in rice by NIRS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ion on a large number of sample with different varieties and growing locations.

A Study on The Change of NIR(Near-Infrared Reflectance) value of The Natural Sample by Landform Division (주변 자연 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NIR 반사율값 비교)

  • Lee, Hae-Jung;Kim, Mi-Ri;Ko, Jae-Hoon;Park, Y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0-90
    • /
    • 2011
  • 스텔스 기능성 섬유의 위장은 주간의 경우, 육안 및 망원경 관측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color matching과 패턴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가시광선 영역 스텔스로 표현할 수 있으며, 군 위장 체계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술 분야로 모든 군 위장제품에 활용되는 필수적인 기술 분야이다. 따라서 가시영역의 위장은 다양한 색상의 위장포와 포의 펀칭 등에 의한 파형특성을 부여하고 주위환경과 특성 조화를 이룸으로써 대상을 위장한다. 주요인자는 색상별 색도, 색차이다. 야간 위장은 근적외선 관측 장비의 탐지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NIR 반사율과 위장제품의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근적외선(NIR) 영역 스텔스로 표시할 수 있으며, NIR 스텔스는 대개의 경우 기본적으로 섬유제품이 NIR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므로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선 영역(600~1250nm)의 적외선 반사특성을 산림지역의 반사특성과 조화시켜 위장효과를 부여한다. 위장포에서는 적외선 흡수 색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반사특성을 나타나게 해야 한다. 위장용섬유가 detector의 탐지에서 벗어나려면 현재 700~1250nm의 근적외선파장영역에서 주변환경과 유사한 반사율을 지녀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연구소" 및 서울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의 자문을 받아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자연환경시료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료의 근적외선영역에서의 반사율을 분석하였다. 자연시료는 산간, 해안, 평야지형으로 각각 구분하여 주변 자연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근적외선영역의 반사율값을 비교하였다. 북한산에서 산간지형의 시료를 채취하였고, 해안지형의 시료는 강화도 동막해수욕장 부근, 평야지형의 시료는 인천 강화도 평야지역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지형별 자연시료의 근적외선 반사율값의 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하여 기존의 위장복과의 비교 적용 및 차후 개선사항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NEAR-INFRARED OBSERVING CONDITIONS AT THE BOAO AND THE SOAO (보현산천문대와 소백산천문대에서의 근적외선 관측 조건)

  • Moon, Bong-Kon;Lee, Sung-Ho;Park, Soo-Jong;Jin, Ho;Kim, Yong-Ha;Yuk, In-Soo;Han, Won-Y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1 no.4
    • /
    • pp.453-466
    • /
    • 2004
  • Korea Astronomy Observatory(KAO) has been developing the KAONICS, KAO Near-Infrared Camera System, which will be used for near-infrared observations in the ground-based telescopes of Korea. As a phase-A study for this work, we investigated observational environments at the Sobaek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SOAO) and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BOAO) quantitatively. In the J, H, K, and L bands, atmospheric transmission was calculated mainly depending on the PWV(Precipitable Water Vapour), and limiting magnitudes were computed for the SOAO and the BOAO,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these observatories have similar observing capabilities and domestic observations are possible in near-infrared.

Analyzing Vegetation Index Change of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의 식생지수 변화분석)

  • Kim, You Seung;Jung, Sung Eun;Lee, Woo Kyun;Kim, Jun Beom;Kwon, Tae H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6
    • /
    • pp.561-564
    • /
    • 2008
  • Pinus densiflora(red pine) stands in Korea have been faced with the serious threat by pine wilt disease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es). It is not easy to early detect and prevent the infected trees because those cannot be visually identified during the initial phase of infection. Red pine is usually infected by B. xylophilus from May to July and can be just visually detected in October or November. While the infected trees are wilted, the spectral value of Near Infrared (NIR) is supposed to be decreased. Based on this phenomena, in this paper, the vegetation vitality change of infected trees was analyzed using vegetation indices. Spectral values of Red, Green and NIR had been acquired monthly by a portable NIR camera in the same place of red pine stand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It could be proven that the vegetation index, or vegetation vitality of damaged trees starts to decrease from June, in the early infecting phase.

Rapid Characterization and Prediction of Biomass Properties via Statistical Techniques

  • Cho, Hyun-Woo
    • Clean Technology
    • /
    • v.18 no.3
    • /
    • pp.265-271
    • /
    • 2012
  • The use of renewable energies has been required to diminish the dependency on fossil fuels. As one of clean energy sources biomas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because various biomass resources necessitated rapid characterization of their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an on-line or real-time basis. For such an analysis near-infrared (NIR) spectroscopy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because of its non-invasive and in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is work, the applicability of nonlinear chemometric techniques based on biomass near infrared (NIR) data is evaluated for the rapid prediction of ash/char contents in different types of biomass. The prediction results of various prediction models and the effect of using preprocessing methods for NIR data are compared using six types of biomass NIR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nlinear prediction models yielded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than linear ones. It also turned out that by adopting the use of proper preprocessing methods the performance of prediction of biomass properties improved.

Near Infrared Laser Based on Polymer Waveguide Bragg Grating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 기반의 근적외선 레이저)

  • Kim, Kyung-Jo;Son, Nam-Seon;Kim, Jun-Whee;Oh, Min-Cheo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2 no.4
    • /
    • pp.179-183
    • /
    • 2011
  • An external cavity laser operating at near infrared wavelength is demonstrated by incorporating polymer waveguide Bragg reflectors. 3rd order Bragg grating and oversized rip waveguide structure were designed by using the effective index method and the transmission matrix method. The polymer waveguide was fabricated using polymer materials with refractive indices of 1.462 and 1.435 for the core and the cladding layers, respectively. The external feedback laser with 875-nm Bragg grating exhibits single mode lasing located at 850-nm wavelength with an output power of 0 dBm, a 20-dB bandwidth of 0.2 nm and a side mode suppression ratio of 40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