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활성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9초

Warming up 운동과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 활성도의 비교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Warm-up (Head to Toe) Exercise Compared to Tongue-stretching Exercise)

  • 김미선;황병용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35-542
    • /
    • 2010
  • 연구의 목적 :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에게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 (head to toe)와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는 12명의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남 5, 여 7)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복근에 sEMG 도자를 부착하여 두 운동 적용 시 복부 근활성도에 대한 남녀의 차이와 개별 운동 시 각 근육간의 근활성도 차이를 SPS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운동 적용 시 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을 1이라 가정하고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운동을 적용 시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운동 적용 시각 근육간 근활성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배속빗근(internal oblique)는 차이를 보였다. 3) 두 운동 적용 시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은 배곧은근(rectus abdominis)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3으로 배속빗근이 배 곧은근의 근활성도 보다 컸음을 보였으며, 배바깥빗근(exernal oblique)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약 1.5로 배속빗근의 활성도가 컸다. 연구의 결론 :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과 tongue-stretching 운동을 적용 시 복근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local 근육 강화 운동 시 두 운동의 효과를 향후 분석하여 요통환자와 같이 복부 강화가 필요한 환자의 프로그램에 적용되어져 할 것이다.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을 적용한 편평발을 가진 20대 성인의 하지 근육활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adults in their 20s with flat foot that applied low-dye taping and foot intrinsic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유경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3-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편평발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이 한 발 서기 동안 앞정강근, 장딴지근, 긴종아리근의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편평발을 가진 20대 성인 16명이며, Low-dye 테이핑(LTG; n=8) 및 발 내재근육 강화 운동(FSG; n=8)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은 해당되는 중재를 주 2회 6주간 실시하였다.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및 안쪽 장딴지근의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재 전·후 근육활성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된 이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근육활성도 측정 결과, LTG에서는 모든 근육에서 실험 전·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FSG에서는 실험 전·후 사이에 앞정강근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따라서, Low-dye 테이핑과 발 내재근 육강화 운동은 편평발 환자에게 효율적인 하지 근육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C2C12 근육아세포에서 trichostatin A에 의한 NF-κB DNA 결합 활성과 근육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chostatin A on NF-κB DNA binding activity and myogenesis in C2Cl2 skeletal muscle Precursor cell)

  • 임운기;김경창;신혜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0
    • /
    • 2002
  • 골격근 세포의 분화는 근육특이 유전자들의 전사적 활성과 근육아세포에서 근육소관으로의 형태적 분화로 특징지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TSA가 근육형성의 일련의 과정에서 NF-kB DNA 결합 활성과 융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해서 TSA가 처리된 C2C12 myoblast는 융합하여 근육소관을 형성할 수 없었으며 NF-kB DNA 결합 활성은 억제되었다. 이런 현상들이 TSA에 의한 직접적인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TSA가 처리되지 않고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된 배지를 농축하여 C2C12 myoblast에 TSA와 함께 동시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세포는 융합하여 근육소관을 형성하였으며 NF-kB DNA 결합 활성이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SA가 아마도 여러 관련 인자들을 통해 myoblast의 융합과 NF-kB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함으로 근육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두근의 근전도 출력과 동기화된 뇌파의 활성도 변화와 신호의 제어 가능성 (Changes in EEG Activity Synchronized with EMG output of Biceps and Signal Control Possibility)

  • 전부일;조현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95-1201
    • /
    • 2018
  • 본 논문은 인간의 신체활동에 있어서 뇌의 신호가 연결된 근육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받아오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지에 관한 관계를 해석한다. 사람의 의식적 활동은 활동에 필요한 근육의 동작을 위하여 뇌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의 전달에 의해 가능해 진다. 근육의 활성정보를 가지고 있는 근전도 신호는 근육활성화의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데, 이 출력은 보통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근육활성 정보를 출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뇌전도와 근전도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눈으로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두 신호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물의 양과 온도가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Volume and Temperature on Muscle Activity of the Supra and Infrahyoid Muscles)

  • 김태훈;김다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삼킴 시 물의 온도와 양에 따른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임상에서 삼킴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건강한 성인 27명을 대상으로 물의 양과 온도에 따른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은 3 mL, 20 mL로, 온도는 $4^{\circ}C$, $22^{\circ}C$, $40^{\circ}C$로 각각 설정하였고, 대상자별로 기준값(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을 설정하기 위하여, 침을 삼키는 동안 오른쪽 및 왼쪽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 장비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전도 측정 장비인 2EM(4D-MT, Relive, Gimhae, Korea)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하였다. 결과 : 양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왼쪽 목뿔아래근육은 $4^{\circ}C$, $22^{\circ}C$, $40^{\circ}C$에서 (p=.00; p=.00; p=.00), 오른쪽 목뿔아래근육은 $22^{\circ}C$$40^{\circ}C$에서 (p=.01; p=.01), 왼쪽 목뿔위근육은 $4^{\circ}C$에서 (p=.03), 3 mL 물보다는 20 mL 물을 삼킬 때 근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온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20 mL의 물을 삼킬 때 $4^{\circ}C$, $22^{\circ}C$ 보다는 $40^{\circ}C$ 조건에서 오른쪽 목뿔위근육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4). 결론 : 20 mL가 3 mL보다 오른쪽 및 왼쪽 목뿔아래근육, 왼쪽 목뿔위근육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40^{\circ}C$$4^{\circ}C$, $22^{\circ}C$보다 오른쪽 목뿔위근육에서 근활성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양과 온도를 모두 고려한 일부조건에서만 의미가 있었다. 추후에는 점도, 맛 등의 다른 변수를 고려하여 건강한 대상자 뿐 아니라 신경계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침탕방법을 달리한 오리근육의 Actomyosin의 추출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Actomyosin of Duck Muscle by Difference Scalding Method)

  • 정인철;이형걸;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8-352
    • /
    • 1992
  • 오리를 고온침탕법과 중온침탕법에 의해 털을 제거하고 다리 및 가슴부위의 골격근에서 actomyosin을 추출하여 몇가지 특성을 비교하엿다. 고온침탕 처리한 근육으로부터 추출된 actomyosin의 추출성은 다리와 가슴근육이 각각 7.84, 39.48mg/g, 중온침탕한 것은 각각 4.79, 28.04mg/g고온침탕법의 추출성이 더 높았다. Actomyosin의 $Ca^{2+}-ATPase$ 활성은 고온침탕법이 다리근육의 경우에서는 중온침탕법보다 낮았으나 가슴근육은 이온강도 0.08 이하에서 중온침탕법이 높았고 그 이상에서는 고온침탕법이 높았다. Actomyosin의 $Mg^{2+}-ATPase$ 활성은 저이온강도에서 활성이 컸으며 가슴근육이 다리근육의 경우보다 침탕법에 의한 활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용해도는 침탕방법과 부위에 관계없이 용해시점과 완료시점이 비슷하였다. 그리고 고온침탕 처리한 근육과 다리보다 가슴근육이 thin filament에 있는 단백질이 많이 추출되어 나오는 현상을 보였다.

  • PDF

가쪽위관절융기의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상지의 통증과 근활성도 미치는 즉각적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Immediat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upper extremity pain and muscle activation of lateral epicondyle DOMS)

  • 인태성;김경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3-8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쪽위관절융기 지연성 근육통 유발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상지의 통증과 근활성도의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단일맹검법을 적용하였다. 24명의 대상들이 참가 하였으며 무작위 방법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KT군), 플라시보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으로 나뉘었다. 가쪽위관절융기에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한 후 키네시오 테이핑 방법을 적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상지의 압통역치검사와 근활성도를 테이핑 적용 전·후에 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군이 플라시보 테이핑을 적용한 군보다 통증과 상지의 근활성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가쪽위관절융기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여 상지 통증과 근활성도의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지연성근육통의 지속적인 융합중재연구개발이 요구된다.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X. 남해산 홍합 (Mytilus coruscus)의 산소 라디칼 및 제거효소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X. Changes i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of the Mussel (Mytilus coruscus) in the South Sea)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박청길;양동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6-281
    • /
    • 1999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오염이 심각한 남해산 홍합(Mytilus coruscus)의 근육중의 활성산소종 및 그들의 제거효소의 활성을 $분석{\times}평가하였다.$ 이들 홍합의 근육중의 단백질의 향량은 남해안 양식산 홍합의 근육중의 단백질 함량이 동해안의 포항의 자연산 홍합(대조군)의 단백질 함량에 비해 4~14%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0.01).남해안의 양식산 홍합의 근육중의 수퍼옥시드 라디칼의 생성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홍합의 근육중의 수퍼옥시드 라디칼의 생성량 대비 82~138%정도나 높앗다. 또한 남해안의 양식산 홍합의 근육중의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홍합의 근육중의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서량 대비 9~25%정도나 높았다.남해안의 양식산 홍합의 근육중의 SOD의 활성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홍합의 근육중의 SOD의 활성대비 16~28%정도나 낮았다. 이상의 영구결과에서 볼 때 남해안 홍합의오염 지표로서는 단백질 함량의 감소, 활성산소종의 증가 및 활성산소의 제거효소로서 SOD의 활성감소로 평가각 가능하다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면의 유형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코어근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Muscle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Training by Ground Type)

  • 윤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483-487
    • /
    • 2020
  • 본 연구는 지면의 유형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14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2종류의 다른 지면 편평한 지면, 짐볼을 이용한 불안정한 지면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주목적인 코어 근육의 활성 특성을 연구하였다. 지면의 유형에 따른 코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EMG(Electromyography)를 활용하였고 측정부위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하부요추 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변인은 각각의 코어 근육 별로 지면의 유형에 따라 근전도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해 %MVC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면의 유형에 따른 코어 근육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지면에 따른 코어 근육의 활성도에 관한 특성을 측정한 결과 두 지면 사이의 근육 별, 지면 별 차이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코어 근육의 트레이닝의 적용 시 반드시 불안정한 형태의 지면에서의 트레이닝 효과가 안정된 지면에서의 효과보다 우월하다는 통념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결과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미는 불안정한 지면이나 안정된 지면이 코어 근육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어떠한 운동프로그램이던지 정규화된 코어근육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해도 근육의 활성화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