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두께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지속형 유전자 재조합 pST(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rpST) 투여가 비육돈의 성장, 혈중 pST 및 IGF-1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ow Release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rpST) Administr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pST and IGF-1 of Blood in Finishing Pigs)

  • 김영화;문홍길;박준철;정현정;김인철;이상진;장병선;정정수;정일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63-670
    • /
    • 2006
  • 국내에서 제조된 서방출형 유전자재조합 돼지 성장호르몬 (porcine somatotropin; pST)이 돼지의 성장과 등지방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평균체중이 78kg인 랜드레이스 거세돈 48두를 공시하여 대조구, 4:1제형 rpST구 (6회 투여), 1:1제형 rpST구 (4회 투여), 4:1제형 rpST구 (4회 투여)에 각각 12두씩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pST를 투여하지 않았고, rpST 처리구는 1주일에 1회, 목 근육에 서방형 제재를 주입하였는데, 6회 투여구는 개시부터 2주까지는 100mg을, 3주부터 6주까지는 125mg을, 4회 투여구는 개시부터 2주까지는 100mg을, 3주부터 4주까지는 125mg을 투여하였다. 시험사료는 라이신 함량이 0.9%인 시판 육성돈사료를 무제한 급여한 결과 (주) LG 화학에서 제조한 서방출형 유전자재조합 pST는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개선시켜 생산성 향상과 등지방두께 감소로 육질이 향상되었다.

한우육의 도체특성, 근절길이 및 품질특성이 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cass Traits, Sarcomere Length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n Beef Longissimus Tenderness at 24 hr Postmortem)

  • 문성실;강근호;허선진;정진연;양한술;김진성;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4
    • /
    • 2003
  • 연도그룹에 따른 도체특성의 차이는 tender 그룹이 tough 그룹에 비해 무거운 도체중과 두꺼운 등지방 두께, 우수한 근내지방도, 밝은 육색, 흰 지방 및 좋은 조직감을 나타내었다(<0.05). 근절길이의 변화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사후 3시간 이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연도에 따른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사후 3, 6 및 24시간에서 tender 그룹이 tough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긴 근절길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ender 그룹은 tough 그룹에 비해 낮은 IMCT 전단가를 나타내었고(p<0.05), 관능적으로 우수한 연도와 기호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육의 연도는 다른 도체특성에 비해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및 조직감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사후초기인 3과 6시간에서의 근절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사후 24시간째 연도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동일한 나이에서 연도와의 관련성은 총 콜라겐 및 가용성 콜라겐 함량보다는 근육내 결체조직의 강도와 더 높은 관련성 (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반딧불이의 발광기관 구조 (Studies on the Light Organ of the Firefly,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 이대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6
    • /
    • 1991
  • 애반닷불이 (Luciola lateraιs Mot.) 성충과 유충 발광기관의 현미경 관찰결과와 발광기관과 신경계의 관계는 다음파 같다. 유충의 발광기관은 복부 8번째 마디 좌우 등쪽 측면에 한 쌍이 존재하였으며 복부 8번째 신경 절로부터 나온 한쌍의 말초신경에 지배받는다. 발광기관의 모양은 구형 혹은 구형과 유사한 형태이며 발광기관 주변에는 과립들이 있었다. 이러한 과립들은 유충령기가 높아갈수록 많아져 용화하기 위하여 지상에 상륙한 유충의 경우,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발광기관에는 근육이 존재하며 기관과 기관소지도 발견되었다. 성층의 발광기관은 수컷의 경우 복부 5, 6째 마디에 있으며 암컷의 경우는 5째마디에만 존재했다. 성충의 발광기관은 발광세포 충(약 70$\mu m$의 두께)과 반사충(약 40$\mu m$의 두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유충의 발광기관 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관지소기관(tracheal end organ)이 존재하였다. 복부 5째 마디의 발광기관 은 복합신경절 (유층의 6째, 7째,8째 복부마디의 신경절들이 융합된) 앞쪽에서 나온 두 쌍의 말 초신경에 의해 지배되며, 복부 6째 마디(수컷)의 발광기관은 복합신경절의 뒤쪽에서 나온 한쌍 의 말초신경에 지배받는다.

  • PDF

제주도 한우 집단에서 Galactose mutarotase (GALM) 유전자의 삽입/결실 다형성과 도체형질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s between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s in Galactose Mutarotaseand Carcass Traits in the Hanwoo Population of Jeju Island)

  • 김유경;이종안;신상민;고응규;유지현;원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987-994
    • /
    • 2023
  • 이 연구는 제주도 한우집단에서 galactose mutarotase (GALM) 유전자형과 도체형질의 연관성을 시험하였다. GALM 유전자형은 3'-비해독부위(3'-UTR)의 14-bp (5'-GGTCTAATGACCAG-3') 삽입/결실 다형성을 이용하였다. 한우 비육우 집단에서 GALM 유전자의 세 가지 유전자형(LL, LS, SS)이 모두 관찰되었다. 연관성 분석결과는 근내지방의 함량과 밀접한 상관을 보이는 육질등급과 근내지방도의 수준과, 등지방두께의 수준이 유전자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동형접합인 SS 유전자형을 보유한 도체에서 LL 또는 LS 유전자형인 도체에 비해 근내지방 함량 수준은 더 높고, 등지방두께도 더 얇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도체중, 등심단면적, 육색, 지방색 등은 GALM 유전자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UTR에서 14-bp 절편의 결실은 RNA의 2차 구조의 변형과 RNA-결합 단백질, microRNA와의 결합능력에 대한 방해를 통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GALM 유전자의 3'-UTR 영역에서 14-bp 삽입/결실 다형성에 대한 이번 연구결과는 소에서 근육과 등지방 조직에서 galactose 대사에 의한 지방 축적을 통해 성장형질, 도체형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 2종의 상악 수염의 조직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Mandibular Barbels of Two Species of Catfish (Siluridae) from Korea)

  • 박인석;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2
    • /
    • 2005
  •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의 수염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메기, Silurus asotus의 상악 수염은 연골성 중축을 감싸는 진피와 표피로 구성 되었다. 표피층에는 점액세포, 과립형세포 및 미뢰가 있었다. 세포질이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는 점액세포와 호염기성을 보이는 미뢰는 각각 표피의 표면과 표피 말단 부위에 위치 하였다. 표피와 진피는 기저막으로 구분되며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 되었으며 신경세포와 혈관이 내재하고 있었다. 수염의 가장 내부에 연골성 중축이 존재 하였으며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미유기, S.microdorsalis의 상악 수염 구조는 메기의 상악 수염 구조와 비교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상악 상부와 하부에서의 표피 % 두께 및 상악 상부와 중부에서의 미뢰 수에 있어 미유기는 메기에 비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메기와 미유기의 상악 수염은 딱딱하고 굴절성형(stiff and flexible type)으로 파악 되었다.

플랭크 운동과 케겔 운동이 코어 근육 두께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lank and Kegel Exercises on Core Muscle Thickness)

  • 배원식;옥정민;임도균;신솔;이건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98
    • /
    • 2018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hanges to the thickness of core muscles, e.g., transversus abdominis (TrA), external oblique (EO), and internal oblique (IO), after plank and Kegel exercises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two exercise methods. Method : The study divid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to two groups, Kegel and plank, by randomly allocating 30 males and 30 females to the targeted group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thickness of core muscles after the participants performed plank or Kegel exercises. Results : 1. In the Kegel group,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creased with tim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TrA. 2. In the plank group,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creased with tim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TrA. 3. After the experiment, muscl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 in the plank exercise group were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egel exercise group and the plank exercise group. Conclusion : Both plank and Kegel exercises are recommended for core muscle stabiliz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gel exercise is either used as a core stabilizing exercise or as a plank exercise for the weaker patients or women.

한우에서 Pituitary-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PIT1) 유전자와 경제 형질과의 연관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PIT1 Polymorphisms and Its Association with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Korean Cattles (Hanwoo))

  • 최정란;오재돈;조경진;이제현;공홍식;이학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2
    • /
    • 2007
  • Pituitary-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PIT1) 유전자는 동물의 성장을 조절하고 근육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서 최근에는 단일염기다형성 변이가 한우를 비롯한 동물에서 관찰되었으며, 한우의 경제 형질과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PIT1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변이가 한우에서 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 형질에 대한 유전자형간 육종가와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체 성적을 보유하고 있는 한우 후보종모우 집단 268두를 대상으로 PIT1 유전자 A1256G 다형성을 조사하여 유전자형의 빈도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유전형에 따른 기본적인 검정 성적을 바탕으로 경제 형질과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268두의 한우에서 PIT1 유전자의 A1256G 유전자형 빈도는 MseI 제한 효소를 사용했을 때 A 유전자 빈도(0.37)보다 G 유전자 빈도(0.62)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각 유전자형에 대한 경제 형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각 유전자형 간에 12개월령 체중 (body weight 12, BW1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등지방 두께 육종가 (Backfat thickness-estimated breeding value, BF-EBV)와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0.05), marbling score (MS), carcass weight (CW), M. longissimus dorsi area (LDA) 등 다른 경제 형질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IT1 유전자의 A1256G 다형성은 한우의 성장과 도체체중에 관여하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축구선수의 진행형 요부안정화운동이 복횡근 두께와 하지근육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 o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and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in Soccer Players)

  • 이준희;박승규;강정일;양대중;김제호;정용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9-356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s and lumbar stability exercises on changes i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and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in soccer players. Ten subjects were assigned to undergo training in each of the 2 groups, namely, the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 group and lumbar stability exercise group. Each intervention session lasted for 30 min, and 4 sessions were conducted in a week for 6 weeks for soccer players of S. University in Jeonnam, Korea. Changes i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and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were measured using ultrasound and surface electromyogram. The results of the ultrasound measurement for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indicated that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s were more effective than lumbar stability exercises. The results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measurements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indicated that the fatigue index decreased in the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 group.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 is believed to have put more workload during the shaking of the limbs, leading to increased stability and increased efficiency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thereby decreasing the fatigue index. Therefore,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s can be an effective measur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improving the game performance of sports players by increasing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and decreasing the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폐흡충 표피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 of Adult Paragonimus westermani)

  • 최원영;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85
  • 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로 체표면은 굴곡에 의한 많은 돌기로서 소위 자갈밭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피극들과 유두가 체표면에 돌출하고 있었는데 피극은 끝이 하나로 되어있고 충체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었다. 그중 구흡반과 복흡반의 융기부에 있는 피극은 작았으며 선단이 몇 갈래로 갈라져 있었고 또 밀집되어 있었다. 2. 유두는 표피가 반구형으로 돌출하고 있었고, 중앙에 하나의 직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두는 단독이거나 또는 여러개가 모여 있는 것 또는 여러개가 뭉쳐서 큰 융기를 이루고 있는 등 그 모양이 다양하였다. 구흡반이나 복흡반상에 있는 유두는 타부위보다 매우 큰 유두가 있었고 여러개가 뭉쳐있는 것이 많았다. 3.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는 표피는 전자밀도가 높은 표피층으로 덮혀있었고 표피층의 유리면과 기저면은 모두 원형질막으로 싸여 있었다. 표피층의 두께는 특히 구흡반과 반흡반 사이가 두터웠다. 표피층내에는 사립체, 소포체, 공포 그리고 구형 및 관상과립이 관찰되었다. 5. 피극은 표피층의 기저면의 원형질막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돌출하였는데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무정형의 구조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구형질의 주의의 표피층에서는 복경체가 발견되었다. 5. 표피층 아래로 기저면의 원형질막에 련해서 기저막이 있고 그 아래로 소성결합조직이 있고 그 아래로 근육층, 그리고 그 밑에 유연조직이 있으며 그 속에 표피세포가 있었다. 또한 이 표피세포와 표피층은 전형질돌기로 연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의 수직 교합량이 상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D Snoring Design on Pharyngeal Airway Dimension)

  • 라인실;이장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07-3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의 종류에 따라 최소한의 수직 교합량을 각각 다르게 확보하여 1급 교합을 가진 대상이 각 장치를 착용한 뒤, 수직 교합량이 하악의 위치, 근육의 변화, 혀의 위치등을 부가적으로 변화시켜 상기도의 면적에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직량이 높을수록 상기도의 면적은 감소했으며, 혀의 위치를 후방으로 처지지 않게 할수록 상기도의 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코골이 감소를 위해 의사들은 환자들의 교합관계를 정확하게 진단하여 그 교합에 맞는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를 선택해야 하고, 선택된 장치를 제작하는 치과 기공사 또한 장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직 교합량, 후방연 설정과 장치의 두께 등 디자인 설정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