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사식

Search Result 70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Parabolic Model to the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수정 완경사 파랑식에 대한 포물형 근사식 모형)

  • Seo, Seung-Nam;Lee, Jong-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4
    • /
    • pp.360-371
    • /
    • 2006
  • In order to calculate waves propagating into the shallow water region, a generalized parabolic approximate model is presented. The model is derived from the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and includes all the existing parabolic models presented in the paper.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in comparison to laboratory data of Berkhoff et al.(1982). The existing parabolic model shows almost same accuracy against the modified parabolic model and both results of models stand in closer agreement to the laboratory data. Therefore the existing parabolic model based on mild slope equation is a useful tool to compute shallow water waves which turns out to be more fast and stable in computational aspect.

Variance Mismatched Quantization of a Generalized Gamma Source (일반화된 감마 신호원의 분산 불일치된 양치화)

  • 구기일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0A
    • /
    • pp.1566-1575
    • /
    • 2000
  • This paper studies mismatched scalar quantization of a generalized gamma source by a quantizer that is optimally (in the mean square error sense) designed for another generalized gamma source. Specifically, it considers variance-mismatched quantization which occurs when the variance of the source to be quantized differs from tat of the designed-for source. The main result is the two distortion formulas derived from Bennett's integral. The first formula is an approximation expression that uses the outermost threshold of an optimum scalar quantizer, and the second formula, in turn, uses an approximation formula for this outermost threshold. Numerical results are obtained for Laplacian sources, which are example of a generalized gamma source, and comparisons are made between actual mismatched distortions and the two formulas. Thes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two formulas become more accurate, as the number of quantization points gets larger and the ratio of the source variance to that of the designed-for source gets bigger. For example, the formulas are within 2~4% of the actual distortion for approximately 64 quantization points or more. In conclusion, the proposed approximation formulas are considered to have contribution as closed formulas and for their accuracy.

  • PDF

Reverse Link Interference Sounds in COMA Cellular Systems (COMA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간섭 한계)

  • 김호준;윤상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28-30
    • /
    • 2003
  • COMA셀룰라 시스템의 용량은 간섭의 양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 간섭량을 정확히 계산해야 시스템 성능 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COMA셀룰라 시스템의 역방향 타셀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해 Riemann-Zeta 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의 전파 감쇄 지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근사식을 제시하고 시abf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효용을 살펴 보았다. 제안된 근사식을 이용해 계산한 시스템 용량 상한식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용량과 근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타셀 간섭 근사식은 복합적인 전파 환경이 고려되어야 할 계층셀 시스템에서의 간섭 일 용량 계산과 알고리즘 검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olution Comparisons of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and EFEM Plane-wave Approximation (수정 완경사파랑식과 EFEM 평면파 근사식의 해 비교)

  • Seo, Seung-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2
    • /
    • pp.117-126
    • /
    • 2009
  • In order to test the accuracy between the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MMSE) without evanescent modes and the plane-wave approximation (PA) of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various numerical results from both model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analytical solutions of two models are employed, one based on the MMSE derived by Porter (2003) and the other on the scatterer method of PA by Seo (2008a). Judging from direct comparisons against existing results of rapidly varying topography, the PA model gives better predictions of the wave propagation than the MMSE model.

At-site Low 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ayesian MCMC: II. Application and Comparative Studies (Bayesian MCMC를 이용한 저수량 점 빈도분석: II. 빈도분석의 적용 및 결과의 평가)

  • Kim, Sang-Ug;Lee, Kil-Seong;Kim, K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25-1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MCMC 방법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방법 방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본류지점인 낙동, 왜관, 고령교, 진동지점에 대한 점 빈도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써 불확실성을 포함한 빈도곡선을 작성하였다. 통계적 실험을 통한 두 가지 추정방법의 분석을 위하여 먼저 자료의 길이가 100인 8개의 합성 유량자료 셋을 생성하여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자료길이 36인 실측 유량자료의 추정결과와 비교하였다. Bayesian MCMC 방법에 의한 평균값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취우추정방법에 의한 모드에서의 2모수 Weibull 분포의 모수 추정값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하한값과 상한값의 차이는 Bayesian MCMC 방법이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취우추정방법보다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측 유량자료를 이용한 결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방법의 경우 자료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불확실성의 범위가 합성 유량자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되지만, Bayesian MCMC 방법의 경우에는 자료의 길이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저수량 빈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없는 국내의 상황을 감안할 때, 위와 같은 결론으로부터 Bayesian MCMC 방법이 불확실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방법에 비해 합리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Biconical antenna Consisting of 4m conical wires (다소선 Biconical antenna 특성 임피던스)

  • 박정기;이두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1 no.2
    • /
    • pp.27-32
    • /
    • 1974
  •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a biconical antenna which is the conical cage consisting of 4m conical wires is obtained analytically under some assumption. The effect of the number of the elements o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is observed according to the equation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derived in this paper. The equation is not convenient for practical use. However, a compact form of the equation is obtained by assuming that the apexangle is not very large. The numerical solution of this approximate equation is found to show errors no more than 2% over a wide range of the apex angle .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ed-Soomon Codes (Reed-Solomon 부호의 성능분석)

  • 정제홍;박진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
    • /
    • pp.20-26
    • /
    • 1993
  • 본 논문은 Reed-Solomon부호의 복호가능어 가중치 분포에 대한 명시적 식과 근사식을 구하여 이를 복호기 오류확률 PE(u)에 적용하고, 복호기 오류확률의 상한식을 구하고 분석하였다. t+1개 이상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복호기 오류확률의 추정치 Q와 Q'를 개선하여 식 Q를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가중치 u가 커질 때 복호기 오류확률은 추정치 Q와 Q'에는 접근하였으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Q와는 일치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중치 u가 부호의 길이 n에 접근할 때, 복호가능어의 명시적 식 Du와 근사식 Du'가 서로 일치하고, 복호기 오류확률 Pe(u)와 근사오류확률 Pe(u')가 일치함을 보였다. 또하 t+1개 이상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복호기 오류확률은 1/t!보다 작으며, 가중치분포 Au에 Vn(t)를 곱한 결과는 근사복호가능어 Du'와 일치함도 확인하였다.

  • PDF

Sensitivity Analyses on Breakdown Voltage of Cylindrical PN Junctions to the Doping Concentrations (원통형 PN접합의 항복전압의 농도에 대한 민감도)

  • Seo, Hyun-Seok;Jo, Jung-Yol;Ahn, Hee-Tae;Choi, Yearn-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59-60
    • /
    • 2006
  • 원통형 PN접합의 Baliga의 해석적인 항복전압에 대한 근사식을 유도하였다. 근사식은 접합길이, $r_j$와 공핍층 깊이, $W_{pp}$의 비 ($r_i/W_{pp}$)가 0.1보다 작은 경우 Baliga식과 잘 일치하였다. 농도에 대한 원통형 접합의 항복전압의 민감도를 유도하였으며, 근사식을 사용한 경우가 Baliga식의 경우보다 민감도식이 더 간단하기 때문에, 민감도를 고려한 소자 설계 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민감도 식을 이용하여 설계한 결과 항복전압의 편차가 10% 이내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핑농도가 $10^{15}cm^{-3}$이고 접합깊이가 $5{\mu}m$ 인 원통형 접합인 경우 농도 편차가 12.8%이내 이어야한다.

  • PDF

Elliptic Numerical Wave Model Using Generalized Conjugate Gradient Method (GCGM을 이용한 타원형 수치 파랑모형)

  • 윤종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0 no.2
    • /
    • pp.93-99
    • /
    • 1998
  • Parabolic approximation and sponge layer are applied as open boundary condition for elliptic finite difference wave model. Generalized conjugate gradient method is used as a solution procedure. Using parabolic approximation a large part of spurious reflection is removed at the spherical shoal experiment and sponge layer boundary condition needs more than 2 wave lengths of sponge layer to give similar results. Simulating the propagation of waves on a rectangular harbor, it is identified that iterative scheme can be applied easily for the non-rectangular computational region.

  • PDF

Analytic Expression of the Signal Distortion in Dispersion-Managed Optical Transmission (최적으로 색분산 보상된 광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왜곡에 관한 근사적 수학식 연구)

  • Kim, Su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8
    • /
    • pp.1235-1240
    • /
    • 2013
  • We investigate an approximate analytic expression of signal distortion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lf-phase modulation (SPM) and dispersion in the dispersion-managed optical transmission where the dispersion is optimally compensated. From the analytic study, we obtain the analytic expression of the signal distortion in dispersion-manag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analytic expression, we show that the eye-opening penalties calculated by the analytic expression correspon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e analytic result, we can easily estimate the signal distortion without complex nonlinear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