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무환경특성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도서관의 근무환경과 근무조건이 직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on the Job Satisfactions of Librarians)

  • 오동근;여지숙;임영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3-221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K도서관의 1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근무환경 및 근무조건(직무상 협력, 근무조건 업무스트레스 급여 및 보상체계, 성취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업무스트레스 급여 및 보상체계, 성취감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근무환경 및 근무조건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근무환경 및 근무조건 중 직무상 협력, 성취감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과 업무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속근무 의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to Continue Work)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47-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 업무특성, 지속근무 의도,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장애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6차년도 패널데이터 중 15세이상 임금 장애근로자 1,58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지속근무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업무특성은 지속근무 의도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지속근무 의도는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사이에 지속근무 의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업무특성과 직무만족도 사이에 지속근무 의도는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선박의 근무강도 평가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문성배;이춘기;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39
    • /
    • 2013
  • 현재 우리나라는 보유 또는 지배선박이 약 1,000척, 3천만G/T로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6위의 해운강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수많은 사관과 부원들이 다양한 선박에 승선하고 있으며 해운산업이 성장할수록 더 많은 선원들이 선박에 근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IMO와 ILO 등에서는 선원들의 선박근무환경 및 휴식 등에 관해서 최소한만을 규정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선원들이 높은 노동 강도에 시달리게 되고 피로와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해양사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 선박의 고유 특성과 운항환경 등으로 고려한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박에 장기간 승선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로 하여금 각 평가요소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평가요소와 지수를 기반으로 선원들을 각 선원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선박에 배정함으로서 선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해양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시설경비업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Facility Security Worker)

  • 정성배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255-283
    • /
    • 2019
  • 본 연구는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9년 8월 7일부터 8월 13일까지 약 7일 간 대전, 충남,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시설경비업 종사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5부의 자료 중 미응답 및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93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TATA 14.2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들의 분포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설정된 주요 변인들에 관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근무환경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근무환경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직무스트레스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이 직무만족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부(-)적 관계를, 직무요구와 직무자율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갈등(동료 격려), 직무자율성이 있으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환경, 근무촉진, 조직특성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경비업 종사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의 특성과 분포: 물리적 근로환경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eleworkable Jobs Based on Physical Working Conditions)

  • 최성웅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6-291
    • /
    • 2020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됨에 따라 재택근무를 하는 근로자가 늘고 있다. 본 논문은 물리적 근로환경에 따라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 및 산업군을 분류하고,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와 그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환경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일자리의 업무 환경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일자리 중 35%는 재택근무가 가능하며, 그 비율이 낮은 직종일수록 임금 수준이 낮고 종사상 지위가 불안정한 근로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고용이 제조업에 집중된 지역은 그 산업구조와 업무 특성으로 인해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난다.

원격근무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위협 분석 (The Analysis for Cyber Security Threats in Remote Working Environment)

  • 김소연;하영민;김성율;최상용;이종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97-98
    • /
    • 2020
  • 코로나19의 확산은 기업의 근무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재택근무, 이동원격근무, 원격근무센터와 같은 원격근무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원격근무는 특성상 기업의 보안정책의 적용범위를 벗어나 사이버위협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노출을 동반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제사회에 대규모 확산이 일어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의 영향 또는 조직의 필요에 의해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원격근무로의 근무형태로 전환하려는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보다 안전한 근무환경을 구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원격근무에 대한 위협 및 위험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조직의 보안담당자는 안전한 보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솔루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 경험자의 실내환경 인식: 음환경을 중심으로 (Remote wor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erception of indoor environment: a focus on acoustic environment)

  • 박상희;신혜경;김경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7-636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인구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였고, 이 중 하나가 재택근무의 증가였다. 앞으로도 언제든 감염병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배경으로 인해 재택근무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재택근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존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재택근무 경험자를 대상으로 실내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특별히 재택근무 경험자의 음환경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주택 내에서 근무할 때 경험하는 음환경 인식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응답자 개인의 어떠한 변수가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해당 조사를 통해 동거인 수, 방 개수와 주택 면적, 개인의 소음민감도에 따라 재택근무 시 외부소음, 이웃소음, 동거인소음을 인식하는 경향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주거용도뿐만 아니라 업무 및 학습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주택 설계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구.경북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 김영선;박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00-606
    • /
    • 2012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의 치과위생사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부실한 응답자 9명을 제외한 373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자들의 영역별 직무만족도 평균은 직업적 긍지 3.42, 업무능력 3.09, 근무환경 3.27, 보상 2.89, 동료관계 3.56, 환자관계 3.57이었고, 전체 평균은 3.30이었다. 2.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연령과 교육수준 및 근무경력이 높고, 기혼자가 경북에 근무하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3.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병원규모가 크고, 환자관리 및 상담업무를 담당하며, 월급제인 경우 유의하게 높았고, 연수기회와 장기근속자 대우로 보상이 주어지며, 기타 휴가가 있고 1년간 휴가일수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학력, 근무지역, 결혼 순으로($R^2$=0.092) 학력이 높은 기혼자가 경북지역에서 근무하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5.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연수기회, 장기근속대우, 병원규모, 업무분야, 인센티브 순이었고 ($R^2$=0.217), 인센티브가 없는 규모가 큰 병원에서 환자관리 및 상담업무를 담당하면서 연수의 기회 및 장기근속자에 대한 보상이 주어지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들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 근무환경의 합리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호텔종사원의 근무환경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Hotel Employees with Musculoskeletal Pains by Working Environment)

  • 김성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56-26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종사원의 근무환경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호텔종사원 200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근무환경, 이직의도와 일반적인 특성을 면대면 및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설문지 중 응답오류와 무응답의 4부를 제외한 196부(98%)를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은 근골격계 통증(허리통증, 어깨통증, 손목통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339~-.448, p<.01),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36, p<.01). 또한 근골격계 통증은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58~.413, p<.01). 근무환경이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직의도는 근무환경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수록 근골격계 통증이 심할수록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적절한 근무환경의 개발 및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The Study of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김현숙;김계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50-2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실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술적 조사연구가 시행되었다. 현재 광주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와 수간호사 이상의 간호관리자 포함 179명의 대상자가 임의 표출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구조화된 설문지가 연구 도구로 사용되었고, 이 설문지에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관련 특성 및 근무환경 특성이 포함되었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73.2%가 개인에 의해 설립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요양병원 인증평가를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대상자들이 근무하는 병동 내 간호사 대 간호조무사의 비율은 1:2인 경우가 많았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한달 동안 받는 평균 휴가 수는 8일이 가장 많았고, 간호사의 평균 연봉은 2,500~3.000만 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근무환경은 좋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양병원의 근무환경에 대해 간호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연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