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무연수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2초

연 재생공장 인접 근로자들의 연 폭로정도에 관한 조사 (Exposed level of workers in the factory next to a lead recycling factory)

  • 김진하;이덕희;이용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693-700
    • /
    • 1996
  • 부산 시내 모 공단에 위치한 폐밧데리로 연을 재생하는 산업장에 인접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연 폭로 정도를 알기 위하여 연 폭로원에 인접한 작업장 A의 39명과 연 폭로원에서 8.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동일한 원료, 공정,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작업장 B의 6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고 표준화된 설문지 조사와 혈중 연 농도를 분석, 비교하였다. 또한 두 산업장의 세 작업장 기중 연 농도를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업장 A의 평균연령 (38.7세)이 산업장 B(29.5세)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근무연수의 차이는 없었다. 2. 평균 기중 연 농도는 산업장 A $2.6{\mu}g/m^3$, 산업장 B $1.2{\mu}g/m^3$로 산업장 A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산업장 A의 평균 기중 연 농도는 실내작업장, 실외작업장, 사무실 순으로 연 폭로원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았고 세 작업장 사이에 유의한 농도차가 있었다(P<0.05). 3. 평균 혈중 연 농도는 산업장 A $14.9{\mu}g/dl$, 산업장 B $12.2{\mu}g/dl$로 산업장 A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작업장 A의 세 작업 분야별 평균 혈중 연 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통계적 차이(P<0.05)가 있었지만 작업장 B는 없었고 작업장 A의 평균 혈중 연 농도 순은 기중 연 농도 순과 연 폭로원과 떨어진 거리 순과 일치하였다. 4. 혈중 연 농도와 연령, 근무연수 사이의 상관관계는 산업장 A의 경우 상관이 낮았고, 산업장 B에서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r=0.382, P=0.0023)을 보였고, 연령을 보정하여도 두 산업장간 평균 혈중 연 농도 차는 유지되었다(P<0.001). 산업장 A에서 보인 작업장소간, Part간 농도의 차이는 연 폭로원에 인접한 산업장의 경우 연 폭로원의 작업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해산업장의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접산업장 근로자들의 유해물질에 대한 환경적 폭로는 해당 유해산업장의 환경개선 노력에 의하여 적절히 예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유해산업장의 작업환경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철저한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alculator-Based Laboratory system과 실험 Kit를 이용한 과학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to the Utilization of Calculator Based Laboratory System with Experimental Kit in Science Experiments)

  • 서혜애;윤기순;손종경;정화숙;송방호;양홍준;박성호;권덕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3-304
    • /
    • 1999
  • Calculator-Based Laboratory(CBL) system을 중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을 현직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 54명에게 소개하고, 직접 실습하게 한 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및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교사의 성별, 학교, 지역, 최종학위 및 교사 경력 연수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의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이 우수하며,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의 성별, 학위소지, 근무학교 경력 등의 차이에 따라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세분화하고 교사들의 흥미, 관심 및 필요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사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CBL system을 과학교육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단원별 현장 적용 및 효율성을 검정하여, 우리 나라 과학 교육 현장에 적합한 CBL system 과학 실험 모형의 개발이 촉구되며, 현행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 PDF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일개 병원 임상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washing practice of a clinical nurse in a hospital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김가현;권용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32-539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162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PSS Version 20.0, IBM, U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수행도는 모든 영역에서 평균은 3.1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은 연령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근무연수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섯 개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행을 위한 동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한 지속적인 병원에서의 감염관리교육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진행한다면 손씻기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에 관한 연구 (Nurse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 Regard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박준호;장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12-223
    • /
    • 2019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의 4개 종합병원에서 총 111명의 간호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와 관련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대상자뿐만 아니라 대상자를 각각 학력수준, 근무병동 및 병원규모로 나누어 집단별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집단별 분석 결과에서는 '학사이상'이거나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행위 수준이 높았고, '외과병동 및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학사이상'인 간호사는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수준을 개선함으로써 욕창예방 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교육수준, 근무부서, 병원규모를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 김순애;김수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7-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배경 변인 분석을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48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1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결혼여부에서, 근무여건 변인인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월평균보수, 반 원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역시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제, 학부모, 업무, 원아, 개인, 행정업무 순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동료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개인변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 이수한 연수회수에서, 근무여건 변인은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반 원아수, 월평균보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서울지역 간호사 보수교육 실시 분석 -오프라인교육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Raw Data of Completion of Off-Line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in Seoul, 2008-2012)

  • 고정희;한미라;허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27-53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에서 2012년에 대한간호협회 서울특별시간호사회에서 실시된 간호사 보수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2012년 4월부터 전면시행 중인 의료인 면허신고제와 간호사 보수교육 운영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4,086건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165,759명의 자료를 SPSS 12.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보수교육 프로그램, 면허취득경과기간을 기술통계, 면허취득경과기관에 따른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차이를 t-Test, ANOVA,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08년에 비해 2012년의 보수교육 이수자는 27.6% 증가하였고, 개발된 보수교육 프로그램수는 61.0% 증가하였다. 보수교육 이수자의 78.6%는 40세 미만이며, 89.5%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실시된 보수교육 내용 중 임상간호 내용이 65.6%로 가장 많았고, 보수교육 유형 중 82.6%가 기관개발교육이었다. 이수자의 면허취득경과연수에 따라 보수교육 프로그램, 보수교육 유형, 보수교육 내용의 참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면허취득경과연수가 길수록 근무지가 병원이 아닌 기타기관에 종사하는 대상자가 많았고 이수한 교육내용을 보면 지역보건, 직무역량이 증가하여 경력단계별 교육내용 요구도 파악 및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에 관한 연구 : 연계경험 및 예측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moting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Focusing on Linkage Experiences and Predictors)

  • 이금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5-6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삼각측정방식(triangulation)으로 진행되었다. 근거이론에 바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절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122개 기관의 연계실태와 연계시도요인, 연계강좌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계경험은 '다른 기관에 관심돌리기', 즉 '협력추구'과정을 도출되었으며, 협력추구유형으로는 '주도형 협조형 권위형 반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계실태는 전반적으로 Tobin(1986)의 연계긴밀도 5단계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들은 3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시기로 나타났으며, 정신보건기관과 전통적 재활기관사이에는 '협조(Cooperation)'가 정신보건기관간, 전통적 재활기관간에는'조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시도'와 '연계강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성을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청'이 있을 경우, 조직의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현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관련기관 사업인지도'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안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에 '직업재활전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호텔경영 정보시스템(HMIS)에 대한 사용자 인식 (Recognition of the End User to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Hotels)

  • 정태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86-395
    • /
    • 2008
  • 호텔경영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인식수준을 통해 IT(system)의 업무기여 정도를 파악하고, Business와 정보기술의 연관관계를 규명하여 경영정보시스템의 향상을 도모코자 진행된 연구로, 연구결과 시스템을 통한 업무처리는 우수하나, 활용율 제고를 위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숙박업의 형태에 있어 호텔과 리조트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개발방식에 있어서는 외국산 PKG보다 자체개발한 시스템이 화면조작이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스템 에러와 관련해서는 근무연수가 낮은 직원과 그렇지 않은 직원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객후불지원의 경우 프런트와 예약부서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시스템 이용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처리나, 시스템 지원체계의 구축 등에 낮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최근 기업들의 IT S/M조직(시스템지원부서)을 outsourcing함으로써 자사직원이 아닌 외부용역업체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호텔경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업의 현재 실행하고 있는 업무의 지원수준은 상당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조사결과에서 처럼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인 대처와 현업의 업무를 끌어가며 선진적 업무의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창출을 지원하고, 현행업무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유아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영태;장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78-4486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하여 첫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 다문화태도, 다문화효능감이 근무지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 다문화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되어야 다문화효능감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들을 위하여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주지역 특급호텔에 종사하는 조리사들의 직무에 대한 실태와 의식조사연구(I) -조리사들의 근무현황, 자격증, 근무처에 대한 불만, 해외연수 경험에 관한 분석- (A Study on the Job Attitude of Cook at Deluxe Hotel in Kyongju (I) - An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Job of the Cook -)

  • 신애숙;고기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7-16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an information on hotel Cook. We need to have a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Cook to improve a culinary art training program and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surveyed by 203 Cook to work for deluxe hotels at Bomun, Kyongju.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eat part (81.8%) of the Cook were a male, a half (53.2%) of the Cook were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In academic background, 56.7% of the Cook graduated from senior high school and in career background, 44.4% of the Cook had under 5 years at food enterprise. 2. The almost of the Cook (83.3%) worked with restaurant for 8∼9 hours/day and 66.3% of the Cook earned a million won in a month. The higher grade Cook worked longer hours and earned more money than a lower grade one. 3. The most popular workplace of the male Cook were Western style restaurant, but one of the female Cook were a Korean style restaurant. 4. The Cook have 0.9 unit Cook qualification per one person and the most popular Cook qualification were a Western style culinary art. 5. A half of the Cook asserted their expert skill in Western style Cook, and a third Cook asserted their expert skill in Korean style Cook. 6. A great part of the Cook was unsatisfied with pay (49.2%), work environment (16.6%), human relation (10.4%), and if they have a chance of workplace transfer, 38.8% of the Cook wished to manage their one restaurant. 7. 66.5% of the Cook had a workplace transfer more than a time. The higher grade Cook had more chance to change workplace. Almost of the Cook had no chance to study a culinary art at overs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