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린생활시설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보로노이 기법과 밀도분석을 활용한 미세먼지 측정소 공간적 위치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osition Problem of PM Monitoring Stations Using Voronoi Technique and Density Analysis)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185-195
    • /
    • 2018
  • 서울시에서 시민들이 사용하는 미세먼지 앱은 위치기반으로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를 제공받는다. 현재 환경부에서 고려하는 미세먼지 측정망 선정 방법은 측정소의 분포 및 인구밀도를 고려한 방식과 지도상의 표현방식이 주 결정방법이나 인위적인 변수 및 다른 환경요인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측정소와 행정동의 대표성을 보여주는 행정동 중심점을 활용하여 측정소와 동중심의 거리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측정값을 제공하는 측정소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보로노이 알고리즘과 헥사곤 격자를 활용하여 각 측정소의 제공범위를 면적으로 나타내며 현 측정소의 공간적인 위치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환경변수는 단독주택,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권, 제2종 근린생활권, 쓰레기처리장, 위험물처리시설, 공장이며 분석결과로 만들어진 신규 측정소 위치는 기존의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선정기준이 아닌 추가적인 변수를 고려한 선정기준을 제시하였다.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

  • 장철규;정성관;이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8-80
    • /
    • 2016
  •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할 경우, 물리적 환경에 관한 인식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14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평가에서는 거주지로부터 공원까지의 접근 및 보행환경에 관한 항목들이 4.04로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볼거리에 관한 항목들은 각각 2.32, 2.66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22개의 물리적 환경 인식요소들을 대표 요인으로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 시각성 등 5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쾌적성이 0.315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성과 쾌적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용성이 0.396으로 쾌적성 0.293보다 더 높은 영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 장소로서 공원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녹지면적 확보, 수목 및 시설 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원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거주지에서 공원까지의 보행환경 정비, 산책로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택지개발지구 특성에 따른 거주자의 생활권 내 근린시설 이용행태 - 청주권 3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 (Residents' Using Behaviors of Liv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Concepts of Complexes - The Case of the 3 Complexes in Cheongju Area -)

  • 이상운;박경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3-22
    • /
    • 2010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residents' using behaviors of living facilities at 3 complex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es have been investigated by a literature study and field survey.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residents on living facilities using behavior on community environment. The tools of analysis are frequency, percentage, and cross tabulation using SPSS WIN 12.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developmental concept of 3 complexes maintained its initial identity. (1) The residence-oriented complex, having wider residential space, had better downtown access and more convenient facilities for daily life. (2) The residence-government mixed complex, constructed with an eco-friendly concept, had wider green and public service space and good downtown access but on the other hand, had less convenience facilities because of a short period from construction. (3) The residence-industry mixed complex, located in sub-urbanity and conceding more land for industries, had poor access to downtown but had more convenient facilities for workers' use. 2) The most frequently visite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shopping facilities, large or small, and banks, and activities were commonly done in the complex or adjacent area. This mean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er of the new complex locate convenience facilities in multi-core concentration types or street types rather than one-core concentration types.

1인가구 분포 및 밀집지역 유형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Highly Density Area Pattern of One-Person Household : Pusan Metropolitan's Case)

  • 최열;신종훈;박원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55-662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변화양상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1인가구 분포 특성 및 밀집지역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ArcGi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서는 군집분석 중 와드(Ward)연결법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을 분류해보고 이어서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형을 살펴보면 주로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형은 향후 1인가구를 위한 주거계획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지구중심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지하철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시설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셋째, 대학인접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대학생을 비롯하여 젊은 직장인이 원룸 빌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소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월세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공장인접지형을 살펴보면 각종 공장이 밀집된 지역으로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역세권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형을 살펴보면 도심지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주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편익시설의 부족과 교통접근성이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s of Community Greenway in Nam-Gu, Incheon)

  • 박숙현;한봉호;최진우;최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6-28
    • /
    • 2015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남구의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생활권 녹지의 확충 및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 특성으로 토지이용과 녹피율을 조사 분석하여 녹지 확보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거주지 주변 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설정하였고, 노선별 특성을 분석 및 유형화하여 유형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12.3%이었고, 녹피율은 17.51%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녹지의 반 이상이 도시외곽에 분포한 면적이 넓은 산림으로서 도시 내 주민 생활권 주변의 녹지확보가 필요하였다.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교육시설 7.7%, 공원시설 1.7%, 녹지시설이 1.9% 등으로 교육시설의 비율이 높았다. 남구의 생활권을 총 31개로 구분하였고, 생활권 내 커뮤니티 시설과 녹지를 연계할 수 있는 커뮤니형 그린웨이 20개 노선을 선정하였다.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의 유형화는 그린웨이 계획의 기능과 목적, 주변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을 고려하여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에 따른 조성방향, 주거지역과 상업업무 지역으로 구분한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향, 근린생활형, 교육형, 종교형, 레크리에이션형 등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린웨이 녹화유형별 녹화구상에 적합한 녹화방법으로 벽면녹화, 옥상녹화, 베란다 녹화와 같은 건축물 차원과 공원, 학교, 공공기관, 도로, 주차장, 자투리공간과 같은 단지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그린웨이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이 사업지구 지가변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la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on Inner Land Price Change)

  • 장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98-7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이 사업지구의 지가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택지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청주시 택지개발사업 추진단계별 지가변동 규모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지가변동에 영향을 주는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 요소 16개((1)지가변동률, (2)사업구역 면적, (3)주거용지 비율, (4)상업용지 비율, (5)준주거용지 비율, (6)근린생활시설용지 비율, (7)공동주택 비율, (8)도로율, (9)공원 녹지율, (10)학교 비율, (11)$1m^2$당 조성비, (12)일반주거지역 비율, (13)준주거지역 비율, (14)상업지역 비율, (15)준공업지역 비율, (16)자연녹지지역 비율)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계획특성 요소 16개 중 지가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0.0 Version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가변동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지구가 지정되기 2년 전부터 지가가 상승되기 시작하였고 준공이후 지가상승이 안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가변동에 영향을 주는 계획특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2)사업구역 면적, (4)상업용지 비율, (6)근린생활시설용지 비율, (8)도로율, (11)$1m^2$당 조성비, (12)일반주거지역 비율이 지가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의 관점에서 본 동네환경의 노인친화도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연구 -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aspects of the Aged -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Area and Rural Area -)

  • 오찬옥;김수영;강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7-226
    • /
    • 2015
  • As the aging society is globally increasing, the guide for the aged-friendly city is suggested by WHO and many cities are preparing to meet with it. The base of this guide for an age-friendly city is an active aging. This study examined how degre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s age-friendly from older persons' standpoi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old persons who aged more than 65 years, 117 persons in an urban area and 110 ones in a rural area.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examined from two aspects. One is how close 12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from the elderly's houses. Another one is how degree the elderly were considered in 4 areas: pedestrian road, traffic,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pace layouts of their house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related neighborhood facilities in urban area were closer located to old persons' houses than in rural area, except the senior center. Second, in case of the age-friendly degree of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space layout of house was the highest, and then traffic, pedestrian road, and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order. The consideration degree of wheelchair users was the lowest. Third, the age-friendly degree of pedestrian road, traffic, and room layout of house in rural area were higher than in urban area. However,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

비내진 근린생활시설의 노후도를 고려한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seismic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Considering Deterioration)

  • 이영천;정채명;이은진;김명훈;최기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5-63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인 중소규모의 비내진 상세를 가진 건축물을 대상으로, 노후도를 고려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준공 후 24년이 경과되었으나 노후도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1차, 2차 내진성능평가는 기준지표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내진성능평가에서는 층간변위비를 기준으로 목표성능은 만족하지만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 건축물에 벽체보강, 가새보강, 댐퍼보강을 한 후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보강방법에 상관없이 층간변위비는 현저히 감소하여 즉시거주수준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벽체보강의 경우 밑면전단력이 2배 이상 증가되어 기존기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주차분석존(Parking Analysis Zone) 기반 주차 공급 및 운영 계획 모형 (PAZ-based Parking Supply and Operation Planning Model Considering Land Use)

  • 유정훈;허겸;류인곤;전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659-669
    • /
    • 2022
  • 최근 주차문제는 구도심의 주택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계획도시인 신도시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 근린생활시설, 상업지역 주변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문제를 신도시 지구계획 단계에서 검토하여 신도시 건설 전에 주차문제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주차문제는 공급기반과 운영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해결전략을 공급 및 운영측면에서 검토하여 효과성과 적용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해결전략 적용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문제 검토 단위를 보다 세분화하는 PAZ (Parking Analysis Zone)를 분석 기초 단위로 제안하였으며, 하남 교산지구 토지이용계획을 기본으로 공급기반 주차난 우려지역을 검토하고, 하남 교산지구에 맞게 수립된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PAZ별 주차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공동주택과 근린생활 시설의 환경방사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Radiation of Concrete Apartments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 지태정;곽병준;민병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0-104
    • /
    • 2009
  • In this study, the space gamma dose rates in the apartments structured with concrete wer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construction year.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radiation rates coming from the subway platforms and the road tunnels were analyzed in the equivalent dose by multiplying the absorbed dose with the radiation weighting factors. The space gamma dose rates measured in apar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outdoor which was $0.08{\sim}0.11uSv/h$ in the natural conditions. Especially, the older construction year is, the higher becomes space gamma dose rate. The average gamma dose rates in the subway platforms were measured. In the case of Busan and Daegu subway, the earlier the opening year is, the higher becomes dose rate. However, the dose rates of Seoul subway Lines were high overall, regardless of opening year. Seoul subway Line 6 showed the highest value of 0.21uSv/h. The gamma dose rate in road tunnels was higher than one of the outdoor and increased with opening year like as apartment. In dose rate comparison of the concrete structures with the outdoor, therefore, the space gamma dose rate of indoor is higher than one of the outdoor and the older structures have a higher dos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