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대공간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odernism and Postmodernism of the Korean Museum in Historical Development (한국 박물관의 역사적 변천에서 나타나는 근대성과 탈근대성)

  • Kang, Ch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4
    • /
    • pp.833-850
    • /
    • 2004
  • Modernism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differentiation. Postmodernism or postmodernity, by contrast, involves de-differentiation. Recently, most museums have many social function, a central defining feature is its 'inscapes', or the spaces, architecture, material objects, texts, and meanings of exhibitions. Aim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ion and de-differentiation of the korean museums in historical development. The processes of differentiation and de-differentiation of the korean museums are divided into three phases: a establish stage of modem museum(l945$\sim$1974), a establish stage of postmodern museum(1975$\sim$1989), a diffusion stage of postmodern museum(1990$\sim$2003).

  • PDF

An Exploration on the Applicative Potentials of the Late Modern Social Space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Mental Health Field (정신보건영역의 탈시설화에 대한 사회적 공간이론의 탐색적 적용)

  • Choi, Myung Min;Kwon, Ja Young;Kim, Gi Du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8 no.4
    • /
    • pp.225-246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tentials of the late modern social space theories concerning deinstitutionalization issues in the field of the Mental Health. Deinstitutionalizatio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iving space mentally ill people from facilities to the community, is a meaningful event realizing the modern ideology of human rights and welfare in social work territory. Although the continuos and accumulative efforts to realize the ideas of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have focused on the ideological validity and the conditions and administrative supports needed for materialization, however, discussing the issues without analyzing late modern societal space neglects the constraints of the generic and comprehensive 'space' in which the deinstitutionalization can actually occur. Thus, this study attempts the following by analyzing the concrete reality of social space: focusing on deinstitutionalization in a larger social context,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it on a normative and fragmentary level; and more concretely analyzing the realistic limits and challenges facing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do this,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deinstitutionalization is laid out and theories of late modern social space are studied. Based on this, the kinds of phenomenon that occur when this sort of late modern social space meets with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mentally ill people are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to realize the rights and welfare of mentally in the late modern space concerning deinstitutionalization.

  • PDF

A Study on Time-space of Thesis in modern arcitecture space - Focus on concept of modem time - (근대 건축공간에서 시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근대적 시간의 개념을 중심으로 -)

  • 장세연;이성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1.05a
    • /
    • pp.69-72
    • /
    • 2001
  • We are defined a space as the activities of creating value in harmonic relations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fter Industrial Revolution, relations between human and space is changing because of speed and visualization's power in contemporary society. We we known information where is far by means of visualization. There is only difference of speed. Movement in space means the line of vision and circulation. But it is tried to think relations between human and space again in result to experience indirectly. This study aims at the analysis of expression of the modem Architecture space in Giedion' Space, Time, Architecture and aesthetic systems applied to it. On the basis of that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Bergson' consideration from Modern Architecture about movement.

  • PDF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How does Welfare State Colonize the Private Spheres : Political Fragmentation and Depoliticization (복지국가는 사적 공간을 어떻게 식민화하는가 : 정치의 분절화와 탈정치화)

  • Han, Dongwoo;Choi, Hyej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2
    • /
    • pp.161-181
    • /
    • 2015
  •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the regulating mechanism of the welfare states on the private sphere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When the welfare state is to be understood a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which is based upon the 'modernity', the reflectivity on the welfare state is about to be on the modernity and on the institutions as well. Authors assume the welfare state as an historical and developmental type of modern states. The critical components of modernity embedded in birth and growth of modern welfare states projected to their institutions are identified. Welfare states dissociates the political dynamics which have built the foundation of the welfare state itself, and faces against the new political dynamics of the individualized society. Finally, welfare state confronts the institution failure due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tly individuals and families come across the institution dependency. Individuals in the overly rationalized spheres are being depoliticized, and they are identified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status-struggles of the institutions other than the subjects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welfare states.

  • PDF

A Study on Colonial Modernity of Commercial Space in the Case of Commercial Companies in Kyungsung(Seou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경성(京城) 상업공간의 식민지 근대성: 상업회사를 중심으로)

  • Park Se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3 s.114
    • /
    • pp.301-3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colonial modernity of commercial space in the case of commercial companies in Kyungsung(Seou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Commercial companies in Bonjung2jungmok had the greatest growth in the numbers and the scale of company's capital from 1920s to 1930s. Japanese's commercial companies had concentrated in Bonjung1jungmok and the scale of Japanese's capital had been the greatest in Hwanggumjung2jungmok. Korean merchants had tried to change their commercial organization to modern and capitalistic system in the face of infiltration of Japanese merchant capital in Kyungsung. They had established some modern stock companies and had managed a few companies of large capital such as Hwasbinyeonshejum(a multiple shop) in Jongro2jungmok. We may observe the modernity of commercial companies in some modern stock commercial companies and the activities of commercial merchants in Kyungsung. But Korean's commercial companies had been small-scale businesses in comparison with Japanese's commercial companies. Colonialism in commercial space in Kyungsung had been appeared doubly in ethnical segregation of commercial activities and the scale of commercial capital.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09-(완)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3 s.431
    • /
    • pp.62-75
    • /
    • 2005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4)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0 s.426
    • /
    • pp.65-71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5)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1 s.427
    • /
    • pp.100-108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1)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7 s.423
    • /
    • pp.86-92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Donald I. Grinberg)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