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골격 질환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33초

Advance in Musculoskeletal MR Imaging

  • 이영준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5-45
    • /
    • 2001
  • 근골격계 관련 질환은 자기공명영상(MRI)에 있어서 중요한 적응증 중 하나이다. 조직간 대조도가 우수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한 자기공명영상은 근골격계 부위의 촬영에 적합하고 탁월한 역할을 나타낸다. 특히 최근까지 MRI는 표면코일, 경사자기(gradient)관련 기기 및 박동연쇄(pulse sequence)의 지속적이고 빠른 발달에 힘입어 영상의 질과 진단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MR장비의 세대교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 PDF

라디에이터 커버 제조공정의 근골격계 질환 유발 작업분석 (Job Analysis induc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on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Radiator Case)

  • 김대식;김세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7권1호
    • /
    • pp.33-4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o jobs induc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MD)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at S company where makes radiator case of heavy profile equipment. Most of works are plating and welding. Bending and welding are works which induce MD. The adjustable workstation and fatigue prevention mat were recommended for the welding and bending. A standing posture was recommended for the welding.

  • PDF

전.의경의 방사선 검사를 통한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iot Police and Conscripted Policeman in Radiologic Examination)

  • 조재환;강맹진;석종민;전성준;임윤식;정재교;김현주;주명식;동경래;박철수;이진;이해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15-324
    • /
    • 2011
  • 본 연구는 전 의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의 성격을 갖는다. 우선 전 의경과 경찰관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 중 단순 X-선검사, CT 검사,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환별 분류에 있어서는 신체부위별로 일반 질환과 근 골격계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근 골격계 질환은 다시 검사 부위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경찰관과 전 의경의 정량적 비교에 있어서는 단순 X-선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술, 자기공명영상검사의 부위별 평균 인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 의경은 단순 X선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 세 검사 모두 Lower extremity 검사가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Lower extremity 검사 중에서 특히 Knee 검사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소규모 작업장 작업자들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정량적 부하 평가 -한과작업장을 중심으로- (Assessment of Working Posture Using RULA and REBA in Small Plants with Agricultural Products)

  • 구혜란;김효철;신용석;이경숙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1021-103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농산물 가공공장 중 하나인 한과작업장의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평가를 위해 실내 근전도 실험을 하여 어떤 작업에서 어떤 근육에 근골격계질환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인간공학적 평가도구인 RULA 및 REBA를 이용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 작업을 추출하고, 신체건강한 성인 남성 6명을 대상으로 근전도 실험을 하였다.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건조작업이 근골격계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 작업자세, 수세 작업자세, 고물 묻히는 작업자세 중 수세 작업자세가 근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특히, 건조작업에서 하지근육인 대퇴이두근과 비복근이 다른 근육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활성도가 높았다. 따라서 추후에 한과작업장 설계시 허리를 깊게 숙인 채 장시간 작업하는 자세가 없도록 해야 한다.

대학병원 보건의료인의 근골격계 증상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Musculoskelectal Symptoms in University Hospital Workers)

  • 한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28-193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병원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직무 관련 요인들과 근골격계 증상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병원 보건의료인 313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PC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는 201명(64.2%)였다.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 통증에서는 어깨부위가 116명(37%)로 가장 많았다. 또한 35세 미만인 경우와 근무경력 6년 이상, 육체적 부담정도가 많을수록 근골격계 통증 호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근골격계 증상이 질환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종과 근무경력에 따른 예방활동을 계획하거나, 업무 중에 수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등의 중재와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한국의 두 가지 사례 - 아토피와 근골격계 질환- (A New Form of Public Particip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Two Cases of Doing 'Undone Science' in Korea)

  • 한재각;장영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31
    • /
    • 2009
  • 과학기술 분야의 시민참여의 필요성과 정당성은 이미 충분히 인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여러 국가에서 이를 제도화하고 있으며 많은 STS학자들은 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비제도화된 시민참여 혹은 사회운동적 성격을 지닌 시민참여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진행된 제도화된 시민참여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포괄하지 못한 것으로서 시민참여의 다양한 양상과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비제도화된 시민참여와 이와 유사한 문제의식을 나타내고 있는 '수행되지 않은 과학(Undone Science)'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한국의 2가지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볼 것이다. 첫 번째 사례는 '환경보건' 분야로서, 이 분야는 한국에서 200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정책 연구의제로 등장하였고 이어서 법제도화 되었다. 두 번째 사례는 산업보건 분야에서 2000년대 초부터 크게 쟁점화 되었던 '근골격계 직업병' 문제이다. 우리는 이 두 사례를 통해서 시민사회 노동조합이 '환경보건'과 근골격계 직업병' 문제를 제기하면서 어떻게 이 문제들을 정부의 정책 연구 의제로 만들었는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 비제도화된 시민참여 혹은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가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 PDF

숲가꾸기를 위한 풀베기와 칡덩굴제거작업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 (Postural Risk Assessment of Weed and Kudzu Removal Operations)

  • 이은재;백승안;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95-201
    • /
    • 2020
  • 산림작업은 비정형화된 작업 환경(날씨, 지형)에서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에 취약하다. 특히, 조림목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 실행하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은 여전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 작업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예초기를 이용한 풀베기 작업과 낫·손톱을 이용한 칡덩굴제거 작업의 신체부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작업자세 위험도 지수(Postural risk index: PRI)를 통하여 산림작업의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에 대한 작업자세를 분석한 결과, 칡덩굴제거작업의 작업자세 위험성이 풀베기작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칡덩굴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 중에서 다리에서는 두 다리를 구부리는 자세와 무릎 꿇는 자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근골격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의 작업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을 저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수재배 농업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Fruit Farm Workers)

  • 박소연;김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66-276
    • /
    • 2014
  • 본 연구는 사과, 배 작목 농업인을 위해 개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이 농업인의 신체적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 자각증상(NIOSH 기준1)이 있는 농업인 25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7일부터 7월 1일까지 12주간 예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수재배 농업인들을 위해 실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은 농업인들의 신체적인 능력(상지지구력, 하지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삶의 질은 요통장애지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농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근골격계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및 시스템 구현 (A Study on the Monitoring Technique for Musculoskeletal Safety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 신영주;주하영;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67-276
    • /
    • 2020
  • 제조업 근로자는 근무 환경에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직업 특성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하지만 현재 감시 및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매년 위험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작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를 착용 후, 근골격계 움직임에 따른 회전 값을 받아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낸다. 이때, 바이어스 제거와 누적 오차를 제거해 정교한 데이터 취득하여 이를 동적 임곗값 형식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회전 운동 횟수를 측정해내어 위험도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 팔꿈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회전 횟수를 측정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근골격계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치료의 개관 (Overviews on the Clinical Use of Stem Cells in Orthopaedics)

  • 임군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75-477
    • /
    • 2019
  • 줄기세포를 임상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원래 종래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치명적인 난치질환을 이용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근골격계질환들은 그로 인하여 사망하지는 않지만 발생빈도가 높고 임상실험이 비교적 용이한 점이 있어 이 분야의 임상적용이 타분야에 비하여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골격계에서 줄기세포 치료에 의한 재생치료와 관련되어 시험관 내 연구와 전임상 연구가 많은 것과 비교하면 임상적용에 있어 신뢰할 만한 높은 신뢰도를 가진 연구결과는 드물다. 근골격계에서 골, 연골, 건의 재생을 위하여 줄기세포 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데 골의 대규모 결손,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골연골결손, 골관절염, 회전근개 파열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주로 증례보고나 후향적 논문이 대부분이지만 향후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 등 높은 증거능력을 가진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